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새누리 총선후 민생1호 정책나왔네요.집부자 세금감면.

후룩룩 조회수 : 1,023
작성일 : 2012-04-17 11:09:11
새누리당 '민생 1호'는 집부자 세금 감면 황우여,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DTI 규제 완화 강행 선언
총선에서 승리한 새누리당이 민생을 최우선시한다면서 집을 여러채 가진 부자들에게 세금을 깎아주는 부자감세를 추진하기로 해 파문이 일고 있다.
황우여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15일 출입기자단 오찬간담회에서 이달중 마지막 본회의를 열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며 “북한의 로켓 발사와 관련한 대북 결의안, 북한 인권법안, (불법사찰)특검법, 국회 선진화법, 약사법 등 처리할 게 몇 가지 남아 있다”며 특히 "부동산활성화법은 좀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원내대표가 말한 부동산활성화법이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와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를 뜻한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제도는 투기수요 억제를 위해 참여정부 중기인 지난 2005년 도입된 것으로, 3주택 이상 보유자가 집을 팔 때는 양도차익의 60%를, 2주택 보유자가 집을 팔 때는 양도차익의 50%를 각각 양도세로 부과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것을 폐지해 1주택 보유자와 마찬가지로 기본세율(6~36%)만 내도록 하겠다는 게 새누리당의 생각이며, 국토해양부는 이미 안을 만든 상태로 금명간 이를 발표할 예정이다. 부동산경기가 계속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자 마지막 카드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를 들고 나온 셈이다.
여기에다가 이미 위험수험에 도달한 가계부채 때문에 금융위원회가 강력 반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누리당과 정부는 DTI 규제 완화도 밀어붙인다는 방침이다. DTI 규제란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반영해 대출액을 규제하는 제도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DTI 규제 완화는 그동 안 아파트 여러 채를 보유하고 있는 부자들과 건설업체들의 집중적 민원사항이었다.
새누리당은 지난 2월 중순에도 DTI 규제 완화 등을 추진하려 했으나, 김종인 당시 새누리당 비대위원이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어 있지만 그런 걸 해도 부동산 경기는 인위적으로 부양되지 않는다"며 "가계대출에 대해서 많은 우려들을 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DTI를 폐기해서 무엇을 달성하려고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질타하면서 수면밑으로 잠수한 바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도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를 폐지할 경우 아파트를 여러 채 보유하고 있던 집부자들이 경쟁적으로 아파트를 내놓아 아파트값 폭락을 더욱 부채질할 위험성이 크다고 경고하고 있다.
그러나 김 비대위원이 사퇴하고 새누리당이 총선에서 예상밖 압승을 거두자, 아파트 경기 부양을 위해 밀어붙이기 시작한 모양새다.
이에 대해 대표적 경제민주화론자인 유종일 KDI 교수는 16일 트위터에 "여(與), 양도세 중과 폐지 18대 국회서 처리. 새누리 승리 후 가장 먼저 추진하는 입법저치가 다주택자 양도세 감면이라... 1%를 위한 정당의 본질을 보여주는군요"라고 질타했다.
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1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19대 국회의원이 뽑힌 상태에서 남은 문제는 19대로 넘겨서 처리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옳다”며 “황 원내대표가 이것저것 많은 얘기를 18대 국회에서 마무리하자고 한 모양인데 욕심이 지나친 것 같다”며 거부 방침을 밝혀, 새누리당이 임시국회를 열어 문제의 양도세 중과 폐지 등을 밀어붙일지 주목된다.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85636
시골노인네들은 다 집부자 이신가봐요...
IP : 117.110.xxx.58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근데
    '12.4.17 11:11 AM (27.115.xxx.24)

    다주택자 양도세중과 폐지 이거 작년 말에 나왔던 정책 아닌가요??

  • 2. 저꼴을보면
    '12.4.17 11:13 AM (175.211.xxx.206)

    강남 집값이 바닥에 바닥을 쳤으면 좋겠네요.

  • 3. 입진보는 원래
    '12.4.17 11:14 AM (125.177.xxx.59)

    입진보는 꼬투리 잡는게 특기인 사람들이예요.
    어떻게든 꼬투리 잡아서 새누리당과 MB 욕하는걸 즐기는 부류죠.
    저런 인간들이 자기 행동은 어떻겠어요, 안봐도 뻔하죠, 남들한테 좋은소리 못듣는 인간일겁니다.

  • 4. 노예들은 원래
    '12.4.17 11:16 AM (27.115.xxx.24)

    생각의 틀이 정해져있어서 푼돈이라도 주면 바로 엎드리는게 특기인 사람들이예요.
    저런 인간들이 자기 행동은... 아니다 그 사람들의 삶은 어떻겠어요... 평생 컵라면 먹어야죠 뭐...

  • 5. 그래
    '12.4.17 11:17 AM (58.145.xxx.19)

    민생을 위한다면서
    정책이 Back to the Back
    잘한다 잘해!
    고따위로만 해봐....아주 그냥!

  • 6. 새누리정권하에서
    '12.4.17 11:22 AM (110.70.xxx.93)

    부동산 대폭락하고 중산층 붕괴하고
    일본의 길을 따를거 같은 이 불길한 예감.....

  • 7. 잘한다 새누리!
    '12.4.17 11:56 AM (1.246.xxx.160)

    더 잘해라 새누리!
    새누리 뽑은 서민들 아우성치는 꼴 좀 보게.
    나도 죽을맛이지만 난 새누리 뽑으면 이리 된다는거 알고 있었던 터이니까.

  • 8. 잘한다 새누리!!
    '12.4.17 1:20 PM (211.206.xxx.231)

    더 잘해라 새누리! 2222
    꼴랑 집한채 갖고 있으면서 부자인줄 착각하는 서민들 아우성치는꼴좀 보자..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1864 곰보배추로 효소를 담그려고해요. 꼭좀알려주세요오~~~ 1 아이짜 2012/04/26 751
101863 자동차 사고 합의 문의드려요 2 자동차 사고.. 2012/04/26 967
101862 이번 연아 아이스쇼 라이사첵까지 등장하네요. 6 ㄷㄷ 2012/04/26 1,772
101861 날이 이렇게 좋은데....같이 소풍갈 사람이 없어요. 7 소풍 2012/04/26 1,559
101860 애 낳고 120일 지났는데 머리 안빠져요. 안심해도 되나요? 3 애 낳고 2012/04/26 1,023
101859 봄에 입맛 살리는 것들 뭐가 있을까요? jjing 2012/04/26 576
101858 제시카 알바(31)의 4박 5일 한국 여행은 어땠을까 2 우리는 2012/04/26 1,477
101857 초등학교 체육복 어느정도 큰거 사야되나요?| .... 2012/04/26 568
101856 짝 자신감 넘치던 여자 1호 하버드 익스텐션 8 ... 2012/04/26 4,121
101855 무교동 낙지집 원조는 어디인가요? 5 ... 2012/04/26 1,059
101854 세살아이가 특정소리에 너무 민감한거같아요.. 3 아기엄마 2012/04/26 1,154
101853 국민은행 스마트폰 예금보다 더 괜찮은 상품 11 정보 2012/04/26 3,564
101852 아이에게 모라고 말해줘야 할까요...? 4 ^^; 2012/04/26 1,117
101851 초중고생들 버스요금 얼마에요? 4 엄마 2012/04/26 4,728
101850 환전 아우래 2012/04/26 618
101849 이번에 해피엔딩에 나오는 강타! 블라불라 2012/04/26 707
101848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 5 2012/04/26 1,683
101847 초등 합창대회 나갈때 입히려고 하는데요 아이들 2012/04/26 587
101846 중국역사탐구라는 아이들 만화책 어때요? 1 ... 2012/04/26 678
101845 아이폰은 통화중 녹음기능 없나요? 1 아이폰 2012/04/26 1,219
101844 옥소랑..이케아중에서요 감자으깨기 2012/04/26 760
101843 참다 참다 한마디 했어요.ㅎㅎ 6 2012/04/26 2,759
101842 백 만년만의 화장품 추천부탁드려요~팩트형 파운데이션 혹은 비비 1 화장품 2012/04/26 1,056
101841 끔찍한 장면을 봤던 게 잊혀지질 않아요.(묘사 있으니 주의하세요.. 9 도와주세요 2012/04/26 3,147
101840 저희 시어머니, 왜 이러시는 걸까요? 29 에휴.. 2012/04/26 13,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