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예종은 어떤 학교 인가요?

과천사람 조회수 : 9,349
작성일 : 2012-04-15 15:12:47
이번 의왕과천 송호창 당선자 공약이 한예종 유치였는데
찬반여론 심심찮게 접하네요.(주로 반대 여론..)

굉장히 좋은 예술학교라고만 어렴풋이 들은 기억이 나는데요.

이 학교는 왜 이전을 하게 되는 건가요?
학교 규모가 많이 큰가요?

대학생들 들어오면 시끄럽다가 중론인 것 같긴 한데
이미 과천도 고층 아파트 들어올 일만 남아서 예전의 한적한 전원마을 분위기를 계속 간직하는 것도 어려울 것 같단 생각도 들고요.

다른 분들 생각이 궁금하네요.

IP : 121.134.xxx.239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신과함께
    '12.4.15 3:35 PM (67.248.xxx.110)

    예술계에선 이제 한국 최고 아닌가요
    예고 애들이 한예종 다음 서울대 연고대 이런 순으로 간다 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들은건 제법 유명한 피아니스트 한테 집중 상담 받은거라 다른쪽은 다른분이....

  • 2. ㄴㄴ
    '12.4.15 3:40 PM (114.202.xxx.208)

    아는 분 딸이 여기에 장학금 받고 들어갔어요. 전두환때 세운 학교라고 해요.
    예술계통에선 다른 학교와 비교 불허일 정도로 최고이고, 입학하기도 어려워요.
    좀 천재성이 있는 학생들이 들어간다는 말도 있고요.
    사실 전 이 학교 잘 몰라서 막 자랑스러워하시는 걸 보고 왜 그러나 했는데,
    나중에서야 좋은 학교라는 걸 알게 됐답니다.
    예술계의 스카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똑똑한 학생들이 들어가는 곳이에요.

  • 3. ㄴㄴ
    '12.4.15 3:42 PM (114.202.xxx.208)

    아, 학교가 두 군데에 있어요. 강남에 하나, 강북에 하나.
    학교 옮겨서 하나로 합치면 학생들도 좋겠네요.

  • 4.
    '12.4.15 3:50 PM (211.109.xxx.19)

    전두환때는 5공인데요.

    한예종은 음악원을 필두로 연차적으로 개원했고 첫 해가 93학번입니다.

    예술계에서 점점 세력이 강해지고 있는 건 맞는 말인데, 분야별로 차이가 있고 한예종 다음이 서울대라는 의견에는 아직까지 반대할 사람들이 더 많답니다.

  • 5. 돌돌엄마
    '12.4.15 3:52 PM (14.36.xxx.210)

    천재들 가는 데라고 들었어요.

  • 6. franzisk
    '12.4.15 4:07 PM (211.246.xxx.205)

    서울대보다 못한 서열이라고 하기엔 다른 성질의 학교라고 봅니다.
    예술적 기질이 뛰어난 사람들이 가는 곳?...

    타학교와 비교하긴 좀 애매하지 않나 싶습니다.
    한예종 가보면 벽도 예술하지 않을까싶은 기분^^

  • 7. ..
    '12.4.15 4:11 PM (121.139.xxx.226)

    한예종과 서울대는 학생 선발 방식이 완전 달라요.
    한예종은 아예 수능 시험조차 안보는 학교에요.
    둘이 같이 놓고 비교하기보다는 특성이 다른 학교라고 보는게 맞죠.
    그나저나 과천에 한예종 유치한다니 반갑네요.
    저희 동네랑도 가까워서 더 반가워요.

  • 8. ...
    '12.4.15 4:20 PM (211.228.xxx.205)

    한예종 첨 생겼을때 연기과에 장동건 입학해서 이슈였었죠

    그거 아니었음 나같은 사람한테는 완전 듣보잡이었을텐데...

    완전 판타스틱한 학교네요...

  • 9. ...
    '12.4.15 4:22 PM (203.226.xxx.150)

    한예종이 교수진이 우수하고 실기로 뽑아서 음악계에서는 알아준다지만 서울대 연대 이대를 더 선호하지요.
    지방으로 옮겨가면 ... 글쎄요

  • 10. ㄴㄴ
    '12.4.15 4:23 PM (114.202.xxx.208)

    저도 어디서 듣긴 김대중 대통령 때 설립되었다고 들었는데,
    한예종 학생의 엄마가 전두환때 설립되었다고 하더라구요.
    정확치 않은 정보일 수 있으니 요 부분은 패스~

  • 11. ...
    '12.4.15 4:30 PM (118.37.xxx.29)

    일반학교가 교육부관할인데 비해 한예종은 문화관광부관할임.

  • 12. 한예종이
    '12.4.15 4:30 PM (14.52.xxx.59)

    서울대 다음은 아니에요
    서울대 동국대(연영과) ..도 석박사하다가 온 애들 많아요
    한예종은 수능을 반영 안해서 순수하게 예술쪽 재능 있는 애들이 많죠
    한예종 갈 아이들과 서울대 갈 아이들은 많이 다릅니다,우열을 논하는게 아니라요
    석관동쪽이 더 먼저 설립했고,김대중정부 시절 즈음에 탄력 많이 받다가 요즘 좀 주춤하는 편이죠
    여기가 정치권 영향을 좀 받더라구요 ㅠ
    그리고 그쪽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도 납득은 되네요
    근데 애들도 거기 가기 싫어할겁니다 ㅠ

  • 13. 쥐떼를헤치고
    '12.4.15 4:50 PM (1.241.xxx.233) - 삭제된댓글

    몇년 전 한예종 졸업연극 한 번 보고 그 뒤로 대학로 연극 뭘 봐도 시시해졌어요 실력 정말 ㅎㄷㄷ하구요 문화에 급이 있다는 거 그 때 정말 절감했어요 질좋은 예술 접하면 정신수준도 고양되잖아요 과천사람들은 쌍수들고 환영하셔야 할 듯요

  • 14. 예술 영재들이 가는 곳이고요
    '12.4.15 4:56 PM (119.18.xxx.141)

    과제들이 워낙 많아 공부하는 애들보다
    더 막중한 스트레스를 안고 살아가지요
    졸업해도 성공이 보장되는 것도 아니고 ,,
    암튼 수능 보지 않고
    가능성과 열정만으로 가치를 두는 곳이기 때문에
    정말 좋은 역할을 하는 학교라고 생각해요 ,,
    대안학교에 이우격이죠 이우학교 ,,

  • 15. 장돈건
    '12.4.15 4:58 PM (211.224.xxx.193)

    이 저기 첫기수로 들어가지 않았어요? 그래서 안 학교였는데.
    그리고 비가 키우는 남자그룹에 그 이준이라는 남자애도 여기 무용과 출신이라더군요. 중간에 자퇴했다고 했던거 같지만, 예능만 보는가 봐요. 그게 맞는거죠. 예술 할 애한테 순수하게 예능만 봐야지 수능을 본다는게. 이준이란 애 책으로 배운 지식은 전무해 보이지만 춤을 진짜 자질 있더라구요

  • 16. 이준은 수석으로
    '12.4.15 5:01 PM (119.18.xxx.141)

    춤 출때 삘 ,,,,,,,,,,,,,,, 장난 아니잖아요 ,,,,,,,,

  • 17. 신과함께
    '12.4.15 5:35 PM (67.248.xxx.110)

    서울대와 비교라 글쎄요
    따님이 예원 다니시는 분들 계실텐데 말씀 드리긴 뭐하지만
    제 아들이 피아노를 좋아해서 시켜볼까 하다가 귀국해서 피아니스트 수소문해서 알아본 바로는

    예원에서 한반은 한예종가고 나머지는 서울대 연고대 이대 이렇게 간다고 하는데

    그래서 졸업생 근황 좀 살펴봤는데 요근래 보면 서울대보다 더 잘나가지 싶습니다만 졸업생이 아직 얼마 안되서 서울대하고 단순 비교는 힘들것 같네요. 하지만 현 상황에서는 서울대보다는 한예종 훨씬 선호하는것 같더군요.

    여기 다니시는 분들 보통 전세계 어디 갔다 놔도 경쟁력이 있으실겁니다. 피아노만 보면 하루에 한 7시간 치시는 분들... 다만 예원에서도 아주 특출 나시면 해외로 또 가시죠.

    음악 실기쪽 봐서는 지금 대세는 예원 예중고 - 한예종 이렇게 맞춰진것 같습니다.

    완전 후덜덜 실력들이시죠.

  • 18. ???
    '12.4.15 6:14 PM (14.52.xxx.59)

    예원엄마들과 정기모임 갖는데 거기 서울대에 목 매는데...

  • 19. ohmy
    '12.4.15 7:14 PM (112.149.xxx.10)

    1박2일 시청자투어에 나왔던, 은지원과 한팀이었던 그 매운 어묵을 아무렇지도 않게 먹었던 그 학생.. 그 학생도 한예종 갔습니다.

  • 20. 거기 한때 발담궜던사람
    '12.4.15 7:50 PM (182.211.xxx.135)

    김대중 대통령때 세워진 학교 맞아요.
    지금도 빨갱이들 교수들이라고 보수에서 손가락질 하죠.
    기자제는 대한민국 최고구요 교수진도 의식있는 실력있는 교수들 더하여 학생들도 재능있는 삼박자가 갖춰진 학교인데 그 선배인맥 땜에 졸업한 뒤에가 쫌 그래요.
    그래도 학생들이 나름대로 알아서 자기 앞가림 하고 열씸히 살더라구요.

  • 21. ..
    '12.4.15 8:13 PM (59.5.xxx.32)

    재학생입니다. 수능 안보지만 거기 상응하는 자체 필기시험 실기시험 보고요.
    보통 음악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영화 영상 미술 연극 무용 전통 국악 등등 다 있고 그에 관련된 이론 과도 따로 있기도 하고요.
    실기는 몇일씩 보는 과도 부지기수입니다. 시험도 몇차씩 걸러서 보고.
    서울대보다는 예고비율이 적은 것 같긴 한데요. 이것도 과마다 다르겠지만.
    인문계나 지방에서도 많이 오고, 자퇴나 대안학교 검정고시본 친구들도 많이 옵니다.
    좀 대안학교 느낌이 나기도 해요. 이런 면이 서울대랑 다를지도 모르겠네요. 연습 엄청 하고요...

  • 22. 제가 알기로는
    '12.4.15 8:31 PM (175.196.xxx.137)

    우리나라 명문대학?(표현이 어떨지)들은 예능계 학과라고 할지라도 일반성적을 많이 봅니다.
    내신성적과 수능 성적 등 (그러니까 국영수)을 잘해야 갈 수 있다는데 이견이 없을 것입니다.
    게다가 졸업 후 대학별로 일명 라인도 형성되겠지요

    그러니까 처음 한예종 설립 때 그 분야에서 아주 실력이 좋은 학생들 (실기)을 키워보자
    천재적 예술성이 있지만 일반 교과 성적이 부진하면 일명 명문대에 진학 못하고 라인 못잡고...
    이런 폐해를 막기 위해 처음 시작된 것으로 기억합니다.
    개교했을 때 아는 사람이 예고에서 피아노 성적이 보통인데 실기가 뛰어나서 너무 감사하며 진학했었어요

  • 23. ㅇㅇ
    '12.4.17 6:48 AM (74.66.xxx.118)

    예능계 최고 실력 가진 애들이 가는 곳이에요. 음악원, 연극원, 영상원, 전통원, 무용원 모두 탑이고요 다만 미술원은 여전히 홍대, 서울대와 비등비등합니다. 미술에 있어서 홍대 서울대의 실력과 역사, "업계 파워"가 탄탄하니까요. 최근 세계적인 국외 콩쿨 우승 성적보면 우리나라에서는 한예종이 휩씁니다. 저는 이 기사보고 좀 놀랐어요. 이상하다 싶을만큼 한예종에서만 수상... http://economy.hankooki.com/lpage/entv/201107/e20110720165944118140.htm

    일단 정말 잘 하는 부류가 있고, 그 부류가 둘로 나뉜다면, 졸업해서 국내 활동할거면 서울대, 연주자로 더 길게 도전해보겠다면 한예종입니다. 여기는 콩쿨 수상하는 애들 하도 많아서 다른 학교에서는 플랭카드 걸고 난리칠 일 이 학교에서는 왠만한 국내 콩쿨 우승은 A4 한장으로 과실에 공지하고 끝이랍니다.

    실기만 보는 것은 아니고요. 자체 고사 봅니다. 원별로 고사의 정도가 차이가 있어요. 영상원이 가장 어려운 것 같더군요. 입시 학원도 따로 있다니깐. 음악원과 무용원은 예술의 전당 부지에 같이 있고요. 나머지는 옛날 안기부쪽에.

  • 24. 거기는
    '12.7.14 11:24 AM (220.116.xxx.187)

    천재들 가는 그 학교...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0444 종신보험가입하려구요!! 2 보험 2012/06/19 1,447
120443 대문에도 책얘기가 있지만은요.. 5 책.. 2012/06/19 1,355
120442 술 얼마나 자주 드세요? 9 알코오오오올.. 2012/06/19 1,630
120441 저희집 남향인가요? 2 방향이 2012/06/19 2,034
120440 기사/14억가던 압구정 현대3차 이젠 9억에도 살사람 없어 매일경제 2012/06/19 3,539
120439 아까 자영업 하면 못배운 사람 같나요 글 읽고서 완전 공감..... 1 실제로 2012/06/19 2,148
120438 "주인 있어요"라는 낙서 지우고파요.ㅠㅠ 3 부탁해도 되.. 2012/06/19 1,834
120437 댜큐3일에 나온 떡마을 있잖아요~ 5 2012/06/19 2,532
120436 안스럽던 친구가 부러워졌네요 1 한심맘 2012/06/19 2,500
120435 책후기도 믿을거 못되더라구요 3 00 2012/06/19 1,684
120434 토마토 주스 9 아침 2012/06/19 2,846
120433 라틴계 미인, 페르시아계열 외모 특징 12 미인특징 2012/06/19 8,417
120432 오이지에 골마지가 안 껴요 1 넘짠가..?.. 2012/06/19 2,369
120431 비수술적 치료로 척추관 협착증 치료하신분 계신가요? 2 2012/06/19 2,822
120430 지금 진중권씨 트위터 ㅋㅋ 6 ㅋㅋㅋ 2012/06/19 3,245
120429 스마트 폰하고 넷북 4 별빛누리 2012/06/19 1,126
120428 영어공부 손놓은지 20년입니다. 영어공부 2012/06/19 2,240
120427 울진 금강소나무 숲길을 가려는데요 3 ?? 2012/06/19 1,662
120426 30대 중반..많은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요.(답글 부탁드려요.. 2 임용 2012/06/19 1,492
120425 "네가 그렇니까 이혼을 두번이나 하지.." 라.. 53 친구란.. 2012/06/19 19,136
120424 불규칙하게 심장이 욱조이는 느낌 4 왜이러는 걸.. 2012/06/19 4,444
120423 급질문] 전복죽 내장이 파란색이예요 1 단추 2012/06/19 3,423
120422 공부비법 쓴 원글자에요 57 공부비법 2012/06/19 5,669
120421 이렇게 고마울수가~ 단비가 내리네요 7 마사 2012/06/19 2,174
120420 드림렌즈 착용시 수면자세 문의에요 7 어린이 2012/06/19 7,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