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린 날의 도둑질...

보라 조회수 : 1,866
작성일 : 2012-04-03 16:20:07

 

밑에 어느 어머니가 쓰신 엄마로서의 상처 치유에 관한 글 읽고...

갑자기 제 어린시절이 생각나서 글을 씁니다.

댓글로 쓸까 했는데 그러면 글 내용상 웬지 원글과 맞지 않을 것도 같고 해서

그냥 따로 글을 내어 써요. 그냥 옛 기억 더듬고 싶어 두런두런 써봅니다.

 

제게서 도벽이 시작된 건 초등학교 2~3학년 무렵이었어요.

처음에 무엇부터 훔치기 시작했는지는 잘 기억나지 않아요.

저는 아파트에 살았었는데, 아파트 단지 앞에 수퍼마켓을 비롯 여러 상점이 모인 상가가 있었어요.

거기가 주 무대였죠.

주로 제가 훔친 것은 먹을 것이었어요.

특히 수퍼마켓에서 낱개로 풀어 파는 과자들이 주로 제 목표물이었어요.

아직도 기억나요. 빅파이 낱개 봉지...

그때 기억으로 끽해야 빅파이 낱개 1봉지가 50원이었으니

충분히 돈 주고 사먹을 만한 값이었는데

굳이 훔치곤 했어요.

저희 집이 넉넉하지 않았던 것도 아닌데 말이에요

 

1층과 지하에 수퍼마켓이 각각 하나씩 있었는데

번갈아 드나들며 훔쳤어요

신기할 정도로 들키지 않았죠.

제가 정말 갖고 싶었던 것들은 사실 1층의 문구점과,그에 맞붙어 있는 장난감 가게의 물건들이었어요.

인형 손톱에 매니큐어를 바를 수 있는 키트와, 부동액이 채워져 있는 모형 수중 도시가 붙은

지갑이 가지고 싶었어요.

그 새파란 부동액이 얼마나 신기했던지...

저희 부모님이 다른 것에 비해서는 장난감을 잘 사주시지 않는 편이긴 했지만,

꼭 그런 부모님께 불만이 있어 장난감을 탐냈던 것은 아니었어요.

하지만 점점 도둑질이 손에 익어가던 저에게도 문구점과 장난감 가게는 철옹성과 같았죠.

주인 아주머니가 유난히 눈이 밝으셨고, 가게도 좁았거든요.

결국 제가 목표한 물건들은 훔치지 못하고, 애먼 과자들만 훔치곤 했어요.

점점 뭔가를 돈 주고 살 필요가 있는지 의문을 갖게  될 지경에 이르렀죠.

제가 생각해도, 제가 과자를 훔치는 기술은 나날이 발전했고, 한번도 들킨 적이 없으니

이대로 필요한 과자들은 제돈 주고 살 필요없이 훔쳐 먹으면 되겠다..하는 생각까지 들 무렵이었어요.

 

 

어느 날, 엄마가 새로 사다주신 예쁜 보라색 스키점퍼를 입고

1층 수퍼마켓에 갔어요.

이제는 꼭 식욕 때문이 아니라도, 심심풀이 비슷하게 과자를 훔쳤다가

드디어, 수퍼마켓 아저씨에게 뒷덜미를 잡히고 말았죠.

아줌마한테 먼저 잡혔다가, 아저씨에게 넘겨졌는지도 모르겠어요. 기억이 불분명해요.

아저씨는 저에게 절대 욕설 섞인 말도 하지 않으셨고, 동네 떠나가라 혼을 내지도 않으셨지만,

분명 저를 '도둑'으로 지칭하면서 협박조로 야단을 치셨어요.뭔가 구체적으로 협박을 하신 건 없고,

말투가 그와 비슷했다는 뜻이에요.

저는 아저씨 손에 잡혀 흔들리며 야단을 듣다가, 아저씨 손을 뿌리치고 도망갔어요.

 

그로부터 1주일은 제게 지옥과도 같았죠.

상가 1층 수퍼마켓을 피해다니기만 하면 아무 일 없는데 ,

마음이 지옥이었어요.

그날 입었던 보라색 스키점퍼는 혹시 누가 알아볼까봐 다신 입지 못했어요.

엄마가 일부러 여동생과 자매답게 맞춰 입으라고 저는 보라색,동생은 분홍색으로 사주신 건데 말이에요.

그러다가 정확하게 기억은 나지 않는데, 1주일쯤 후에 저는 결국 못 견디고 엄마에게 자백을 했어요.

 

저희 엄마는 뜻밖에도  크게 소리치거나 야단법석을 떨면서 저를 혼내지 않으셨어요.

다만 제가 한 짓인지 얼마나 나쁜 일인지를 이야기하고,일단 아빠에게도 잘못을 고백한 후

수퍼마켓 아저씨 아줌마에게 사죄드리러 가자고 하셨어요.

아빠에게 쭈볏쭈볏 제가 잘못한 일을 고백하니, 아빠도 중학교 때 문방구점에서 문구를 훔친 적이 있다며

다신 그러지 말라고 타이르셨어요.

저희 부모님은 소위 '말로 조근조근, 그러면 안돼요 이러면 안돼요-' 이러시는 분들이 아니에요.

특히 저희 엄마는 소리높여 저를 혼내키실 때도 많았고, 잔소리도 많은 분이셨거든요.

지금 생각해보면 저런 대처방법이 참 의외고, 또 감사학도 해요.

 

그리고는 엄마와 수퍼마켓에 갔어요.

아줌마에게 먼저 가서 잘못했다고, 다신 그러지 않겠다고 빌었어요.

아저씨께도 제가 잘못했다고, 다신 도둑질하지 않겠다고 고개 숙여 사과드렸구요.

아주머니는 선선히 받아들여 주셨고,

아저씨도 제 머리를 쓰다듬어 주시면서 '네가  본래 이쁜 아이 같아서 이번 한 번만 하고 봐주는 거야,

다시 그러면 안 된다' 라고 웃으며 용서해주셨어요.

(저 이쁜 아이란 말

아직도 기억이 나요. 저런 상황에서도 저런 류의 칭찬만큼은 잘도 기억하는 걸 보면

예나 지금이나 이쁘다는 말에 집착하는 못난 면이 드러나네요 ;;)

 

그 후로 다시 1층 수퍼마켓을 드나들게 되었고,

지하 수퍼마켓에서도 물론 물건을 훔치지 않게 되었어요.

지금 생각해도 어린 저의 도둑질은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손놀림으로 이루어졌는데,

그 이후로는 다시는 그런 마음을 먹지 않았다는 게 신기해요.

도둑질을 그만둔 이후 종종 수퍼마켓의 과자들을 보면서  '사실 내가 마음먹자면 저 정도 금방 훔쳐낼 수

있는데...'하면서도, 결코 손을 대지 않았어요.

20여 년이 흐른 지금요? 아마 손도 신경도 다 둔해져서 반드시 들키고 말걸요. 이제는

남의 물건을 훔친다는 것에 대해 생각조차 하지 않지만.

 

그렇게 수퍼마켓 아저씨 아줌마께 용서받고 난 다음에도

이상하게 보라색 스키점퍼는 즐겨 입을 수가 없게 되었어요

그 사건 이후 가족과 함께 눈썰매장에 갔을 때나 한번 입은 정도.

그때 찍은, 역시 분홍색 스키점퍼를 맞춰 입은 동생과 눈썰매 위에서 찍은 사진을

그후로도 가끔 보는데, 그 때마다 눈썰매장에서의 즐거운 기억보다

보라색 스키점퍼를 입을 수 없었던 제 어린 마음이 먼저 떠올라요.

IP : 113.10.xxx.13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4.3 4:30 PM (119.207.xxx.112)

    글이 찡한 감동을 주네요.

  • 2. ..
    '12.4.3 4:34 PM (121.170.xxx.230)

    부모님이 현명하셨네요. 어린시절에 그런맘 누구나 한번쯤은 가지지 않을까 싶네요...

    저는 ...안방 화장대 아래나 서랍에 있는 동전들이 어찌나 가지고 싶던지...
    정말...한 세시간은 그 앞에서 얼쩡 거렸던 기억이 납니다. 식은땀 흘리면서...
    소심해서인지 가져 가진 못했어요. 엄마가 다 아실거라는 생각에...

    그때 기억이 너무 생생하고 아파서...우리집 동전은 몽땅 아이 차지 입니다.
    900원이 있던 10원이 있던 떨어져 있던 내 호주머니 지갑에 있던...
    동전은 다 니꺼....남편 동전도 다 아이꺼...

    제 경험때문인지....용돈도 넉넉하게 주게 되네요..

  • 3. 그러게요..
    '12.4.3 4:36 PM (203.235.xxx.131)

    저도 초등 저학년때 정말 아무 생각없이 손버릇이 나빴던거 같아요

    그러다 어느순간 멈춰지더라구요.. T.,T

    창피해서 어디다 말못해요~

  • 4. ㅇㅇㅇㅇ
    '12.4.3 5:09 PM (121.130.xxx.78)

    애들 키우다보면 별일이 다 있죠.
    아이가 어떤 잘못을 했을 때 세상이 무너진듯 난리를 치는 건 결코 그 아이의
    잘못을 고치는데 도움이 되지 않더라구요.

    사림이 살다보면 그럴 수도 있다는 걸 전제로 그래도 그리 해선 안된다는 걸
    자분자분 이해시키고 부모가 아이의 잘못을 함께 진심으로 사과하는 태도를 보이는 게
    아이의 잘못을 교정하는데 도움이 될 듯 해요.

    저도 어렸을 때 동네 가게 하드통에서 하드 꺼내서 그 자리에서 먹어 본 전력이 있슴다 ㅋ
    다섯살이었는데 기껏 몰래 꺼내선 그 자리에서 먹었네요 ㅋㅋ
    근데 주인한테는 안들켰고 유치원 다녀오던 언니한테 들켰어요.
    너 그거 어디서 났냐고!! 여기서 꺼내 먹었어. 그랬네요.
    그리고 엄마 지갑에서 돈 꺼내서 껌 좀 사먹었었고.
    꼬리가 길면 밟힌다고 들켜서 혼났죠. 철 들고는 그런 짓 안했구요.
    엄마에게 '양심'이란 것에 대해 들었던 이야기들이 뇌리에 박혀 양심에 어긋나는 일은 안하고 살려고 합니다.

  • 5. ...
    '12.4.3 5:36 PM (59.9.xxx.253)

    수필 한편 읽은듯 잔잔한 감동이네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9525 골든듀 모닝듀세트 어때요? 3 37세 직장.. 2012/07/13 2,814
129524 강북에서 강남으로 이사를 가는데요... 아이가 학교에서 무시받을.. 5 skqldi.. 2012/07/13 2,443
129523 대학생 라식수술 괜챦을까요? 1 고민맘 2012/07/13 1,643
129522 모기 어떻게 퇴치 하시나요 14 ..... 2012/07/13 2,086
129521 확실히 키 작은 남자는 인기가 없더라구요 55 2012/07/13 40,327
129520 생후 백일 아이의 단식투쟁... 9 좀 먹자 2012/07/13 2,173
129519 답글 안달려서요;; 충치 치료 후 통증 얼마나 가나요? 5 -- 2012/07/13 4,454
129518 껍질이 미더덕처럼 울퉁불퉁한 감자? 3 감자 2012/07/13 1,495
129517 잠원동 경원중학교 영어교재 2 영어책 2012/07/13 1,734
129516 다문화가정은 한달에 39만원씩 보육료가나온다네요 7 dydgns.. 2012/07/13 3,156
129515 남편과 항상 부딪히는 문제. 제가 이상한건가요? 좀 봐주세요. 7 .. 2012/07/13 3,132
129514 비오는 날..슬픈 영화 추천해주세요. 17 매운 꿀 2012/07/13 2,797
129513 잉? 지금 mbc드라마 ..그대없인 못살아 4 ??? 2012/07/13 2,583
129512 아기 이유식할때 해산물 어떻게 하세요? 2 고민돼요 2012/07/13 1,507
129511 미향포는 비첸향 하고 다른건가요? 1 육포 2012/07/13 2,152
129510 도우미들이 바닥닦으시는 도구? 5 캔디 2012/07/13 3,374
129509 누나들,인생보다 쓴 술은 없나 보네요.ㅠㅠ 12 mydram.. 2012/07/13 2,821
129508 대치동의 역습?강남의 대표단지 바뀔까?(펌) ... 2012/07/13 2,244
129507 중학생 딸아이 숨을 크게 쉬지 못하겠다고 5 ㅠ.ㅠ 2012/07/13 2,049
129506 마스크팩 하고나서 피부가 쪼이는 기분이 들어요. 12 제제 2012/07/13 4,326
129505 류마티스관절염 치료하시면서 좋아지신분 계신가요? 12 심난~~ 2012/07/13 3,937
129504 중앙대 시험봅니다. 4 대학입시 2012/07/13 2,163
129503 대치청실이 엄청난 커뮤니티시설로 승부 보려나 보네요(펌) 6 ... 2012/07/13 2,391
129502 엠씨몽 다시 tv에 나왔으면 좋겠어요 15 저도 2012/07/13 3,446
129501 한국인들 자학근성 세계 최고인거 같아요 3 ..... 2012/07/13 1,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