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어 학습법에 대해 어제와 오늘 말이 많은 것 같은데 바쁜 와중에 몇 자 적습니당~

통번역사 아니예요 조회수 : 3,942
작성일 : 2012-03-18 15:01:58

바로 밑에서 어느 분이 영어 학습에 관해 암기 이외에 다양한 영어학습법이 존재하는 것 아닌가, 그리고 언제 아이들에게 영어공부를 시켜야 하느냐 하는 질문을 하셨기네 그냥 지나칠 수가 없어서 몇 자 적었는데 저의 나쁜 습관인 자세히 쓰는 버릇이 도져서 그분 글의 밑에 댓글로 달았는데 보다 많은 분들이 읽으셨으면 해서 다시 게시판 글로 옮겨옵니다. 

사람의 능력은 다 다르죠.
노래 잘 하는 사람, 못하는 사람,
그림 잘 그리는 사람, 그렇지 못하는 사람,
달리기 잘 하는 사람, 그렇지 못한 사람,
요리 잘 하는 사람, 그렇지 못한 사람,
암기 잘 하는 사람, 그렇지 못한 사람,
암기하기 좋아하는 사람, 무척 싫어하는 사람 등,
사람의 능력은 각각의 능력에서 엄청나게 차이가 납니다.

일률적으로 하나의 기준으로, 하나의 방법으로 강요해선 효과가 없다고 봅니당~
암기가 어느 정도는 필요합니다.
암기는 모든 학습에서 요구되는 것입니다.
복잡한 것들은 나름의 체계가 있는 것이고, 체계를 이해하려면 기초를 이해해야 하고, 이해한 것을 암기해서 보다 복잡하고 어려운 것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아야지요.
하지만, 암기만 하는 것은 한계에 도달합니다.
사용이 제한되거든요.
확장성을 생각해야 하는데,
그럴려면 암기한 것을 토대로 새롭게 만들어야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암기만 해서는 안되고 (왜냐하면 암기는 한정적인데, 영어 문장은 무한대라) 새롭게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배우는 게 필요하다고 봅니당~

개인의 능력차, 취향차를 반영해, 암기의 양을 조절해야 할 것이고, 어느 종류의 책, 책의 내용 등의 선택도 아이에 따라 달라야 한다고 봅니당~

그리고 암기를 통해 하는 영어학습 방법은 쓰기(writing/composition)와 말하기(speaking)에는 매우 적합하지만 (즉, 통역대학원에서 통번역사를 기르려는 목적에는 매우 부합합니다만) 읽기(reading)에는 하나도 도움이 안 된다고 봅니다. 읽기(reading)와 듣기(listening)를 테스트 하는 수능에선 하나도 도움이 안 돼요. 수능영어는 빨리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자기 능력을 글이나 말로 표현하는(생산하는) 능력을 테스트하지 않지요.
하지만 자기 능력을 보여주려면(즉, 쓰기나 말하기를 하려면) 어떤 패턴들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암기한 패턴 같은 것이 없으면 쓰기나 말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문장을 만들 때마다 단어를 조합해서 문장을 만든다고 생각해 보세요. 얼마나 힘들고 틀리기 쉬울 것인지요.

(하지만 읽기와 듣기에선 원어민이 쓰고 말한 것을 파악만 하면 되는 것이니 틀릴 게 별로 없죠. 쓰고 말하기 위해선 보다 암기를 많이 해야 합니다.)


통번역사가 하는 일이 쓰고(번역포함) 말하는 일이기 때문에 암기를 강조하고 있고, 이게 효과적인 것은 맞습니다만 (물론 여기에도 약간의 qualification or condition [조건]이 달리지만), 영어의 어느 기술을 보다 익히려고 하느냐에 따라 학습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유아/초등학생에게도 영어 암기는 효과적인 학습방법이라고 봅니다.
하지만, 중학교 2학년 정도부터 고등학생시기까지는 이게 효과적인지 (학교 시험, 내신 성적, 수능 시험 등등을 고려하면) 의문이 듭니다.
그 때에도 물론 암기해야 할 게 많지만, 문장을 통째로 암기하기 보다는 필요한 문법 사항들, 예외적인/특이한 표현, 각 단어의 독특한 쓰임새, 많은 단어를 암기하고 다양한 표현을 접해 보는 것, 정확하고 빠르게 (정독과 속독) 읽는 것, 내용을 파악하는 것 등이 중요할 것 같습니당.

그리고 유아시기(초등학교 입학전)에 영어 교육은 필요하지 않다고 봅니다만, 그렇다고 (너무) 늦춰 중학교 1학년이나 초등 6학년에 시작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봅니다.
초등 3학년 정도가 적합하다고 봅니다. 늦어도 초등 4학년때부터는 배우게 해야 합니다.
이 때엔 반복해서 읽게 하고, 듣게 하고, 암기도 많이 시키는 것이 좋은 학습법이라 봅니다. 암기 하기 쉬운 내용, 암기하기 좋아하는 내용을 암기하게 하면 보다 좋아하겠지요.

중학교 들어가면 아이들의 영어수준이 너무 달라서 학교에서 제대로 가르쳐 줄 수도 배울 수도 없습니다.
통번역사님 얘기대로 초딩시절은 그냥 보내고 중학교 1학년에 들어가 영어 공부하면 매우 늦다고 봅니다.
요즘엔 모든 과목을 선행학습하고, 중요한 것은 사교육에서 배우는 행태라 늦게 시작하고, 공교육에 맡기면 큰 일 납니다. 그 피해는 개인이 입습니다.

결론은 통번역사님의 주장엔 일리가 있기도 하지만 무조건 받아들이면 안되는 면들(요소들)도 있다는 겁니다.

IP : 61.247.xxx.205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3.18 4:37 PM (39.115.xxx.38)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2. 짜라투라
    '12.3.18 5:08 PM (59.26.xxx.236)

    그래요..
    취하고 버리는건 본인 몫이고 책임이죠

    요 며칠 행복하네요

  • 3. ...
    '12.3.18 6:56 PM (218.50.xxx.250)

    잘읽고 갑니다.

  • 4. **
    '12.3.18 10:20 PM (221.138.xxx.47)

    저도 잘 읽었습니다.

  • 5. rainbird
    '12.3.19 3:39 PM (218.239.xxx.23)

    좋은글 감사합니다

  • 6. ...
    '12.3.19 4:27 PM (121.168.xxx.43)

    참고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 7. ^^
    '12.3.19 9:59 PM (14.35.xxx.48)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8. ....
    '12.3.20 8:08 AM (121.141.xxx.9)

    저장합니다

  • 9. 두리
    '12.3.20 2:26 PM (119.67.xxx.139)

    저장할께요

  • 10. **
    '12.3.21 9:27 PM (221.138.xxx.47)

    와~ 님 글 많이 써주세요. 감사합니다. ^^

  • 11. 좋은글
    '12.3.22 4:23 PM (61.35.xxx.11)

    감사해요..

  • 12. 저두
    '12.3.25 10:56 PM (115.41.xxx.141)

    저장하려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7766 중학생아이들 다 학원다니나요? 8 중1맘 2012/06/11 2,777
117765 체르니 30번 레슨비 궁금해요. ^^;; 개인레슨 받거든요 4 맨날질문 2012/06/11 3,930
117764 세안시 헹굼 얼마나 해야 하는지...... 1 피부 2012/06/11 2,021
117763 강용석 종편 고발프로그램, 그것이 알고싶다와 맞대결하네요. 3 ... 2012/06/11 1,715
117762 영어 한문장 해석 부탁해요.. 3 최선을다하자.. 2012/06/11 955
117761 여드름 생기면 곱슬머리가 심해져요 3 고민 2012/06/11 1,805
117760 드라이어 추천좀 해주세요 2 ㅇㅇ 2012/06/11 1,496
117759 초등1학년 줄넘기를 너무 못해요.. 7 걱정맘 2012/06/11 6,981
117758 수건 인터넷에서 사보신분?? 2 모히또 2012/06/11 1,711
117757 현관문 두드리고 벨 누르고 가는 사람~ 2 ㄴㅇ 2012/06/11 2,655
117756 기력이 너무없으신 어머니 어떤것이 도움 될까요?.. 4 ..;; 2012/06/11 2,178
117755 무좀 환자 있는 집, 욕실 매트와 양말 빨래는 어떻게 해야 하나.. 2 무좀 2012/06/11 11,099
117754 디올스노우 펄화이트 썬크림에 필적할만한거 추천부탁드려요.ㅠㅠ 5 김은영 2012/06/11 2,893
117753 시원하고 아삭한 반찬.. 7 .... 2012/06/11 3,179
117752 외소한 아이 영양제 추천부탁해요 모모 2012/06/11 1,348
117751 웃지요 1 ㅎㅎㅎ 2012/06/11 917
117750 지성두피 ㅠ 제품 추천부탁드려요 3 ㅠㅠ 2012/06/11 1,493
117749 넝쿨째 굴러온 당신에서요~ 3 궁금 2012/06/11 2,948
117748 시원한 열무로 물김치 맛나게 담그려면 2 열무물김치 2012/06/11 2,001
117747 "29만 원 할아버지, 용서를 비세요"…개념 .. 4 샬랄라 2012/06/11 1,562
117746 부부동반 모임이요. 5 콩알 2012/06/11 2,743
117745 yes242*에서 이사해보신 분 계신가요??? 11 초보 2012/06/11 1,797
117744 레 미제라블 잘 아시는 분,한번 봐주세요 4 앞니를 어떻.. 2012/06/11 1,363
117743 급>지금 만들고 있는 마늘장아찌 식초에 안잠겨도 괜찮나요?.. 1 그린토마토 2012/06/11 1,306
117742 여름 헤어스타일 어떤 걸로 하세요? 9 궁금 2012/06/11 2,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