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살아서 좋은거 있네요.

한가지 조회수 : 2,809
작성일 : 2012-03-14 03:24:03

문득 느낀건데요.

8년쯤 살다보니 제 옷장이 엄청 허술해졌어요.

이곳이 비가 많이오는곳이다보니 드라이크리닝하는옷은 아예 사지도 않아요.

아시죠? 소위 핏이 예쁜옷들은 재질이 좋아서 드라이크리닝해야하는거.

그러다보니 옷들이 실용성위주의 면티.

시장에갈때도 집에서입는옷과 별반 다르지않아요.

한국에살땐 한다하는 멋쟁이였는데 이게... 이제별루 아쉽지도 않아요.

남의눈의식하면서 옷을 빼입는거 안해도 되구요. 물론 자기만족으로 입기도 하긴 하지만

옷이고 가방이고 신발이고 맘먹고사서 주부입장에서 몇번입지도 못하고 아끼다가 유행이 지나버린경우가 많았어요.

이제 얼마안있으면 근 10년되어가는데 10년동안 옷치레에서 아낀돈도 상당한거같아서 기분이 좋네요.

전체적인 사회분위기가 드레스업하고 다니면 뮝미? 풋! 이런분위기인것도 한몫하구요.

실례로 학교 콘서트에 유학맘 몇몇이 망사레이스신고 미장원머리에 시드루룩자랑하고 등판은 반을 노출하고...

이런차림으로 실내체육관스텐드에앉아있었는데 뒷자리의 외국인들이 아주 풍성하게 화제에 올리더군요.

남일 상관안하는 그들이 보기에도 너무 튀었었나봐요. 깔깔거리는게 묘하게 기분나쁘기도하고.

예술의 전당 드레스 코드였는지... 암튼  좀 귀엽다고 느꼈습니다.

한국에살던 그때가 생각나서 저 역시 남눈 신경쓰던 옷차림이었던지라.

요점은 집앞수퍼갈때도 옷 갈아입던 그때와 너무 다른 지금이 묘하게 편하네요.

물론 이번 여름에 한국갈땐 옷부터 사입어야겠지요.

한국에서의 즐거움중 하나일테니까.

 

 

 

IP : 50.98.xxx.13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3.14 3:49 AM (110.10.xxx.180)

    어디세요? LA에선 그런 드레스코드들이 오히려 난체하고 즐기더라구요...지금도 기억난다는...그때도 뒤에서 창피해하며(?)웃는 토박이들 표정을 '우리가 너무 잘차려입어서 멋쩍어서 저러나봐' 하고 해석하던 그 모습들....

  • 2. ㅋㅋ
    '12.3.14 3:49 AM (121.172.xxx.83)

    기억나는 분도 있으려나..
    세친구 에피소드 중
    안연홍 블랙 드레스 사건 생각나네요 ㅋㅋ

  • 3. ㅠㅠ
    '12.3.14 6:50 AM (112.168.xxx.112)

    저도 그렇게 살다가 얼마전 귀국했어요.
    한국에서 옷차림이 고역이네요.
    남들 눈을 너무 많이 의식하구요.
    조금만 달라도 쑥덕거리는 분위기 정말 싫어요..
    내가 태어난 곳인데 이렇게 불편할지 몰랐어요.

  • 4. 아이러니
    '12.3.14 9:56 AM (121.161.xxx.110)

    트집잡자고 하는 말은 절대 아니고요...
    그런데 그 외국맘들도 다른 사람들 옷에 신경 쓰네요.
    자기들하고 다르게 튀게 입는다고 뒤에서 깔깔거리는 거 보니까요...
    아니다 아니다 해도 어딜 가나 다른 사람 시선을 전혀 의식 안 하고 살 수는
    없나 봐요..

  • 5. 소리맘
    '12.3.14 11:20 AM (124.53.xxx.44)

    저도 귀국한지 3년 됐는데요 처음에는 엄청 스트레스 받았어요..
    한국와서 한 1년동안은 옷만 사입었던 기억이...
    ㅋㅋㅋ
    무슨 세일만 하면 달려가서 이것 저것 막 사서 쟁여두고..
    여름에도 겨울옷 막 사놓고..

    이제는 좀 확보해 둔(?) 옷들이 있어서
    허겁지겁 세일에서 안 사고 여유가 있어요..
    각종 모임, 결혼식 , 집안행사 등등
    옷 차려 입고 나갈때가 많은데
    옷은 없고 맨날 같은 옷 입을수도 없고...

    한국에서는 옷차림 스트레스가 좀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3449 이집트여행 가고싶은데요 6 Ki 2012/03/15 1,221
83448 총선뉴스, 이건 기계적 중립도 아닌 그냥 '받아쓰기' yjsdm 2012/03/15 386
83447 고리원전 간부들, 사고직후 은폐 모의 드러나 1 세우실 2012/03/15 459
83446 요리배울곳... 요리공부 2012/03/15 526
83445 책 읽기가 먼저인 아이. 5 숙제보다 2012/03/15 1,075
83444 오늘 사기전화에 완전 넋이 나갔었어요.무서워요 7 너무놀래서 2012/03/15 3,036
83443 영작 부탁합니다 2 영어울렁증 2012/03/15 474
83442 페인트 부분만 바르면 티날까요? ,, 2012/03/15 410
83441 시댁 조카를 어떻게 해야할런지?? 6 joohee.. 2012/03/15 3,183
83440 에잇 빠리바게뜨! .,... 2012/03/15 893
83439 돈 들이면 효과 내는 우리 아이들.. 1 아까비! 2012/03/15 1,027
83438 혼자 사시는 엄마, 15평 오피스텔에서 사시는거 어떨까요? 17 노후대책이라.. 2012/03/15 5,574
83437 같이노는 아기가 때리네요 4 두돌아기 2012/03/15 693
83436 시어버터 녹이기가 힘들어요 5 손이 찬가... 2012/03/15 2,321
83435 개인사정땜에 그만둔 회사에 다시 가는것. 12 bb 2012/03/15 2,192
83434 떼인돈 받아내려고 하는데, 어찌해야할까요? 7 이럴땐 2012/03/15 1,751
83433 수내동에 미술학원 추천해주세요(재미있는) 2 초등4학년 2012/03/15 794
83432 (서울 은평구 정보) 봄을 맞아 남편 때때옷 싸게 마련했어요~ Youndu.. 2012/03/15 746
83431 담요만한 숄을 선물받았는데요.어떻게 사용하는지.. 3 에뜨로 2012/03/15 886
83430 운동도 요요가 있나봐요. 2 미쵸 2012/03/15 1,901
83429 과외보다 더 절실한 것은 10 과외? 2012/03/15 2,068
83428 불고기 만들때요?? 알려주세욤 1 불고기 2012/03/15 700
83427 새똥님 왜 안오세요~~ 5 롱롱 2012/03/15 1,423
83426 아이둘과 부산여행 3 세레나 2012/03/15 935
83425 초등학교에 아이가 반장되면 꼭 엄마가 반 대표를 해야하나요 22 학교 2012/03/15 7,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