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등학교 비평준화의 장/단점은 무엇일까요?

고등 조회수 : 8,073
작성일 : 2012-03-13 21:56:52

제가 살고 있는 지역은 고등학교 비평준화 지역입니다.

중학교때 성적에 따라 고등학교 연합고사를 치르게 됩니다.

어렸을 때부터 결혼 후 지금까지 같은 지역에서 지내고 있답니다.

저의 학창시절에는 비평준화가 당연했고

이 지역에서 제일 상위권 고등학교를 무난히 들어가게 되어서인지

그때도 그렇고 지금까지도 비평준화에 대한 불만이 없었네요.

 

서울은 오래전부터 평준화였고

비평준화였던 근처 도시도 몇년전에 평준화로 바뀌였습니다.

요즘 '평준화' ' 평준화' 목소리가 많이 높아지고 있던데,,,

 

평준화/비평준화의 장/담점이 무엇일까요?  

 

제가 생각하는 비평준화의 장점이라면

- 공부 잘하는 아이들이 특목고가 아니여도 지역내에서 특목고와 비슷한 수준의 교육 및 환경을

  공립학교에서 받게 된다는점

(아.. 이것 뿐이네요,.제가 그 공부 잘하던 아이들 중 하나여서 솔직히 매우 만족했던 점이였네요)

 

그렇지만 이런 문제도 있겠구나..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 중학교 교육부터 지나친 교육열을 부추길 수도 있다는 점

- 조금 공부가 뒤쳐진 아이들에게 상처가 될 수도 있다는 점

 

외에 평준화/비평준화의 장/단점이 무엇이 있을까요?

 

IP : 175.124.xxx.130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12.3.13 10:00 PM (119.203.xxx.194)

    비평준화의 장점이 없다고 봅니다.
    수시80%로 대입선발하는 현 입시정책에서는요.
    강남 집값이 하락하는 원인에는
    대입정책이 달라져서라고 생각해요.
    비평준화 지역은 초등때부터 대입을 보고 달리기를 하지요.
    소수를 뺀 나머지 아이들에게 너무 불행한 제도랍니다.

  • 2. 원글
    '12.3.13 10:07 PM (175.124.xxx.130)

    아..수시가 80%이군요...
    수시가 80%라는 것은 내신의 비중이 80%만큼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인가요?
    죄송합니다,--;; 현 입시정책을 잘 몰라서요.
    저는 내신이 별로 중요하지 않던 세대이고 아직 중고등 자녀도 없거든요,,

  • 3. ...............
    '12.3.13 10:07 PM (119.71.xxx.179)

    저도 비평준화의 장점이 없다고봐요.
    죽어라 공부해도 내신에서 다까먹고, 공부해도 성적은 잘안오르고, 어중간한 성적으론 공부안하면 쭉 미끄러지고..소수에게도 딱히 좋은점은 없을듯해요. 굳이 나쁜점을 못느낄뿐..

  • 4.
    '12.3.13 10:14 PM (119.203.xxx.194)

    수시가 80%라는 것은 어느 학교 1등급이든 동등하다는것이죠.
    그래서 성적 우수자가 일부러 비평준 하위권 고등학교 진학해
    3년 내내 전교 1등해서 의대 가는 것도 봤고
    지균으로 서울대 가는 것도 봤고
    현 입시제도에서는 아이들이 공평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더라구요.

  • 5. 원글
    '12.3.13 10:16 PM (175.124.xxx.130)

    ^^ 댓글 감사합니다.
    입시제도 측면으로도 생각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댓글을 보니 굳이 평준화에 반대할 이유는 없어보이네요,,

  • 6. 원글
    '12.3.13 10:25 PM (175.124.xxx.130)

    크림베이지님..
    '절대내신'은 대학 입시때 그리 적용한다는 말씀이신거죠?
    그럼, 고등학교를 등급화해서 내신에 차별을 둔다는 것인가요?

  • 7. ...
    '12.3.13 10:29 PM (180.70.xxx.131)

    비평준화가 사람 잡기도 하고(그 좋은 시절을 평가로 사니...) 대신 환경적인 측면도 무시할 수 없기도 하고 그런것 같아요. 님 경기권이면 대략 어딘지 알 것 같네요.
    지금 비평준화 남아있는 곳이 몇 안되어...
    절대평가이면 표준편차가 나온다고 해도 아무래도 내신의 변별력이 많지 않죠.
    수우미양가처럼 뭉뚱그려서 성적이 나와요. abcde이렇게 등급으로요...

  • 8. 평준화 찬성
    '12.3.14 2:04 AM (220.86.xxx.221)

    경기도 비평준지역 올해 졸업하고 작은 애가 고2 입니다. 둘 다 고교 다른 고교이고, 서열로 따지면 큰애 나온 고교가 우위 고교인셈인데, 중학교때 열나게 공부합니다. 체육,미술,음악 수행평가 하나도 뒤처지면 내신 불리하니 일일이 다 열나게 하고.. 체육 못하는 애 중간고사에서는 전교1등, 체육 수행 포함되는 기말에선 전교3,4등.. 물론 우리 아이 그랬다는건 아니고.. 그리고 연합고사 봅니다. 거기서 까닥 실수라도 하면 내신컷으로 지원한 학교 떨어지고 지역에서 제일 낮은 학교 들어가거나 1학기쯤 다니다 서울로 전학(온식구의 주소지가 바뀌어야겠죠) 그래도 서열 높은 학교 미련 못버리고 다시 주소지 바꾸어서 결원인원 나오면 운 좋게 들어오고.. 그래봐야 상위권은 좋은 학교 가고 그 밑에는 다 고만고만.. 이 소리는 이 지역 사립고교 졸업시킨 학부모님 말씀.. 일단 중학교때 공부 진 다빼고요, 성적별로 나뉜 학교에 그 수준이 그 수준이라 면학 분위기 차이 많이 난다는 느낌, 내신은 좀 불리하지요. 이번 입시에 정시 돌려보는 사이트 내신, 수능성적 입력해놓고 보니 그 사이트에서 수능성적으로 평준화 일반고 내신 등급 예상 산출이 나오더라는거..그거 다 필요없고 성적으로 서열화된 학교에서 기죽어 지내는 아이들 불쌍하고, 서열낮은 학교 아이들 편견으로 바라보는 시선도 불편합니다.

  • 9. 비평준지역..
    '12.3.14 10:43 AM (14.47.xxx.160)

    이번에 아이가 기숙학교에 들어갔습니다.
    이 지역에서.. 인근 지역에서도 공부 한다는 아이들이 많이 모였고..
    내신으로만 아이들 뽑았어요.
    내신 185점이 간신히 들어왔다고 합니다..
    말이 내신 185점이지 그정도면 꽤 잘하는 아이들입니다. 전과목을 보기때문에..
    이 학교를 제외하고 나머지 학교 커트라인은 150점대..
    우습게도 아이들 교복으로 공부좀 하는 아이구나.. 바라보는 시선들이 다릅니다.
    어린 학생들.. 배우는 학생들.. 아직 출발점에서 출발한지 얼마안된 학생들한테
    너무 일찍 차별의 시선에 놓이는것 같아 저 역시 불편합니다.

  • 10. 그놈 면상 싫어
    '12.3.14 11:52 AM (125.130.xxx.27)

    제가 볼때는 장점 보다는 단점이 더 많은것 같아요
    중학교때 열심히 공부하는거 좋은거죠. 그러나 경쟁이 치열하고
    그렇게 성적 좋은 애들 지역 명문 으로 가도 대다수의 아이들이 사교육으로
    대학간다고해도 과언은 아닐듯해요.
    즉 학교(특히공립)에서 딱히 해주는것 별로 없어요. 물론 공부는 혼자서 하는 거지만..
    지인 아이 비평준고교에 다닐때 공부는 학원에서,학교에서는 반이상의 아이들이 잔다는...
    물론 이게 원론적으론 잘못되었지만요.
    중학교때 진 다 빼서 고교때 공부 등한시하는 아이들도 있고요.
    이런애들 대부분 고교는 명문인데 대학네임 성이 안차서 재수 삼수한다더군요.
    다수의 아이들이 그리고 학부모도 평준화를 원할것 같아요. 물론 저도요.

  • 11. 원글
    '12.3.14 4:10 PM (175.124.xxx.130)

    요즘 학업열이 지나쳐서 그런지 비평준화 지역의 경우 경쟁이 치열한가 보군요..
    제가 다닐 때만해도 스트레스 없이 무던히 본인 할 공부하면서 학교수업 위주로 공부했었는데 말이에요..
    그래서 현재 돌아가는 분위기 파악이 제대로 안되나봅니다..
    예전 생각만해서는 안될거 같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3401 여고생에게 온 전화협박 13 퍅셛 2012/03/15 3,343
83400 언론학자 93명 언론 총파업 지지 견해 밝혀.. 1 단풍별 2012/03/15 639
83399 파리바게트 샌드위치 중 어떤 것이 맛있나요? 11 샌드위치 2012/03/15 4,536
83398 생선이나 미역 다시마 어디서?? 2 방사능 2012/03/15 843
83397 이마트무료배송쿠폰 오늘까지 3 쿠폰 2012/03/15 1,011
83396 서울시, 체납자 보유 은행 대여금고 503개 일제 봉인 7 세우실 2012/03/15 1,232
83395 5개월된 딸 있어요. 앞으로 뽕뽑으면서 사용할 장난감 뭐가 있.. 24 오이지 2012/03/15 2,281
83394 넬슨 바하,치질약 우리나라에서 구할때 없을까요? 치루요. 2012/03/15 795
83393 남편이 영화 건축학개론 보자는데 기분이 안 좋네요 10 ... 2012/03/15 3,724
83392 안스 베이커리..드셔보신분~ 맛있나요?? 6 빵순이 2012/03/15 1,606
83391 아이통장 청약통장이 최선일까요? 1 저축 2012/03/15 1,888
83390 사춘기,반항적이 아이와는 대화가 안될까요? 5 사춘기 2012/03/15 1,706
83389 목동에 사시는 분 조언부탁드림 7 이사결정 2012/03/15 1,382
83388 인간극장 이번주 9남매 보시나요? 19 .. 2012/03/15 12,341
83387 간병인 때문에 고민이에요. 도와 주세요. ㅠㅜ 8 밍밍 2012/03/15 2,823
83386 방금 우리 집에 도둑이 들었어요 3 허거덕~! 2012/03/15 2,831
83385 계단오르기가 허리근육 키우기에 도움되나요? 3 헐프 2012/03/15 5,086
83384 장모님 밥상 86 속상해 2012/03/15 17,308
83383 영작 좀 도와주세요^^ 3 급해서요. 2012/03/15 616
83382 성이 구씨인분들이요~ 12 알아보는중 2012/03/15 3,126
83381 '위안부' 할머니 연거푸 2명 별세... 생존자 61명뿐 2 세우실 2012/03/15 797
83380 요즘 제철인 음식 뭐가 있을까요? 5 제철음식 2012/03/15 1,386
83379 맥 포머스에 대해 아시는분~ 홈쇼핑 뒷거래?? 5 웃자맘 2012/03/15 1,207
83378 수면제 드셔본 분들 좀 알려주세요. 7 ........ 2012/03/15 4,727
83377 ...500년 만에 발견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숨겨진 걸작!!!.. 4 혹시 기사 .. 2012/03/15 1,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