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둘중 어떤 인생을 살거 같나요?

... 조회수 : 3,492
작성일 : 2012-03-01 12:35:34

20억 현찰받고 그걸로 돈놀음하며살기vs돈 전혀 없이 행시합격후 공무원 봉급으로

살아가기...둘중 하나 고를 수 있다면 어떤걸?

IP : 218.51.xxx.198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33
    '12.3.1 12:38 PM (112.150.xxx.34)

    전자요. 전 본래 일확천금보다는 단순하고 꾸준한 노동을 선호하는 편인데, 행시 공무원은 싫어서 전자를 골랐어요. 아는 사람이 명문대 나와서 행시 붙었는데 너무 밝고 단순하던 남자가 그때부터 얼굴이 어두워지더라구요. 행시가 붙는다고 인생 금방 피는 게 아니라, 적성에 안 맞는 사람한테는 업무로드가 심하더라구요.

    다른 직업과의 비교였다면 20억 대신 골랐을지 몰라도...행시 공무원은 별로.

  • 2. ㅌㅌ
    '12.3.1 12:39 PM (222.237.xxx.201)

    전 전자할거같은데용..ㅋㅋ워낙 귀찮아하는 스탈이여서

  • 3. ...
    '12.3.1 12:40 PM (218.51.xxx.198)

    20억 현찰이 애 둘키우기 부족한 돈이면 행시공무원 봉급은 아예 애 키울수도 없는 월급일듯...

  • 4. 시골여인
    '12.3.1 12:42 PM (59.19.xxx.231)

    저도 20억,,에휴,,공무원보다 20억이 훨 낮지 않나여

  • 5. 203.229.xxx.3
    '12.3.1 12:43 PM (112.150.xxx.34)

    살림 잘 못하시는 것 같아요. 능력의 문제인 듯. 그리고 계산법이 독특해요. 20억이 애 둘 키우기 부족한 분께 행시공무원 봉급은 그럼 두명 키울 월급인가요..하하하하하

  • 6. letitsnow
    '12.3.1 12:46 PM (121.184.xxx.121)

    생각하고 말것도 없이 당연

    20억!

  • 7. ...
    '12.3.1 1:14 PM (121.181.xxx.239)

    현찰 20억 있으면 파리떼 꼬이게 마련...저는 후자선택..

  • 8. 203.229님
    '12.3.1 1:20 PM (112.150.xxx.34)

    전 제목 보고 남자 고르기라고는 상상 못 했는데, 남자 고르기로 보셨군요. 참..사람마다 보는 관점이 다른 듯.

    이 글 제목 다시 읽어보면 남자 고르기 아닌 것 같아요. 남자 고르기였다면 저도 당연히 후자를 골랐어요. 하지만 제 자신이 산다고 하면 20억이 있다면 돈놀음은 안 하고 착실하게 굴리는 대신, 저에게 공무원 업무는 좀 적성에 안 맞으니까 전자를 골랐어요ㅣ.

    '비웃음' 당한 게 아니라, 님은 남자 고르기로 생각하고 고른 거고, 다른 사람들은 자기 삶일 경우를 상정하고 고른 거예요.

    20억으로 애 키우기 턱도 없다,는 단언이 좀 의아하긴 한 거구요.

  • 9. ...
    '12.3.1 1:34 PM (115.126.xxx.140)

    행시합격 후 공무원 봉급이 얼마나 되나요?
    공무원 월급 몇년 모아야 20억이 되는지 좀 따져보고 대답할게요.
    얼만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20억 들고 시작하는게 더 나을거 같네요.

  • 10. 저도후자
    '12.3.1 2:50 PM (59.5.xxx.184)

    20억 재산도 한순간에 날리기 쉬워요.

    저도 위의 어느분처럼 글에서 20억 가진 사람은 능력은 좀 별로인 듯 한다는 전제하에서요..
    제 동창 하나도 결혼당시에는 전자의사람과결혼 했는데 잘산기간은 한10년 못되고

    IMF 때 쫄딱 망해서 지금은 여자가벌어서 겨우 먹고삽니다 (남편은 쭉 백수)

    또 다른 친구는 후자와 비슷한 경우인데요, 결혼당시에 서울에 전세 얻을형편도 못되서 경기도 변두리 조그만 서민아파트 전세로 시작 했는데 지금은 강남에50평 아파트에 삽니다.

    남편이 유능하니 해외파견 기회도 생기고 그때 여기월급 저축도 되고 또 운도 좀있긴 했지만 재테크에도 성공 해서 월급 저축만으로느 계산이 안되지만 제법 재산도 모았더라구요.

    여기 이런 질문이 가끔올라올때보면 대부분 전자를 선택 하라는 충고가많은데. 50까지 산 제 경험으로는, 몇년 후에 후리 딸이이런 선택의기로에 서게되면 저는 무조건 전자를 고집 하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물론 전자의 사람이 야무지고 생활력 강해보인다면 괜잖지만 능력은 별로이고 후자의 사람이 성실하고 능력있어보인다면 (이경우도 사람 자체를 봐야지 행시라는 간판만 보면 안됩니다) 후자를 권할 것 같아요.

  • 11. 팡당
    '12.3.1 2:50 PM (211.217.xxx.19) - 삭제된댓글

    왜 이걸 남자 직업 고르기로 착각했던 님들이 있을까나..
    여기가 유부녀 싸이트라 그런건가요?
    의존증 쩔어

  • 12. ....
    '12.3.1 3:21 PM (125.129.xxx.29)

    저라면 후자할래요. 자산 굴리며 사는 인생 편하고 좋아보이지만 저같은 사람이 보기엔 날라리일 뿐인 걸요. 자산소득으로만 살아가는 사람은 그렇게 보여요.

  • 13. .......
    '12.3.1 3:34 PM (58.232.xxx.93)

    일 안하고 20억


    공무원은 약 17억 정도 국가에서 받는다고 합니다.
    (급수나 시작한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20억, 약 17억정도 나라에서 받는다고 하네요. 아마 연금 포함해서겠죠.)

    행시출신 공무원 한국사 강사가 수업도중 이야기 한것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6318 펌)시일야 방성대곡. 그리고 안철수씨의 퇴장을 요구함 38 멘붕 2012/04/12 2,192
96317 언제는 힘겹지 않았던 적이 있던가요? 5 불끈! 2012/04/12 692
96316 오피스텔에서 하는 퍼스널 트레이닝 어떨까요? 1 통통녀 2012/04/12 1,043
96315 서로 격려해주세요 1 오레 2012/04/12 499
96314 이번만큼은 많은기대를해서 그런가 실망도 크네요 7 ㅠㅠ 2012/04/12 865
96313 요즘 살 빼고 있는데 어제는 맨붕(?)이 왔나보네요 ㅠ.ㅠ 6 시크릿매직 2012/04/12 1,350
96312 예전 딴지일보에 안희정 도지사님 인터뷰에요. 4 힘내자 2012/04/12 1,623
96311 새누리당 지지하는 사람들의 생각을 듣고싶어요 21 진심궁금 2012/04/12 1,713
96310 재철이도..인규도 계속 뭉개겠지요? ㅠ 너무 암담 인생은한번 2012/04/12 483
96309 30대 직장인의 입장에서본 진보의 한계 33 정치초보 2012/04/12 2,599
96308 또 지고 싶으면 문선생님 내세우면 됩니다!!! 49 더 크게 보.. 2012/04/12 2,246
96307 김용민이 그렇게 잘못했나? 7 씨바. 2012/04/12 1,140
96306 한경희 오븐기 어떤가요?? 오븐 2012/04/12 907
96305 인물중심으로 그래도... 기뻤던 일 한가지씩 말해볼까요. 20 선거에서 2012/04/12 1,374
96304 지금은 웃지만 박그네 2012/04/12 579
96303 지금 막 제 뒤에서 새눌당 만세라 외치는 상사 -_- 7 답없는동네 2012/04/12 1,062
96302 이인제 당선에 대한 어느 네티즌의 트윗 23 ^^ 2012/04/12 2,840
96301 유권자들은 잘못없습니다 3 껒! 2012/04/12 715
96300 부천서 성고문 사건 1 당선자들을 .. 2012/04/12 3,046
96299 나꼼수에 미안하면,나꼼수 까페가서 매상이라도 많이 올려줍시다!!.. 12 ㅇㅇㅇ 2012/04/12 1,838
96298 다들 우울하신데 저는 그나마 4 에효 2012/04/12 951
96297 한 놈만 패자 20 박지원님 왈.. 2012/04/12 1,951
96296 이와중죄송) 피아노 성악 소음 ㅜㅡㅜ 어떡하죠 6 ㅡㅡ 2012/04/12 1,253
96295 과거를 생각해보면 엄청난 변화입니다. 1 ..... 2012/04/12 784
96294 올해도 '교원평가' 라는거 하나요? 1 학부모 2012/04/12 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