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동산에 대해서는 인터넷 여론과 정반대로 하면 됩니다.

여기서는 조회수 : 2,482
작성일 : 2012-02-27 17:54:39

입으로는 노벨 경제학상 수준의 해박한 지식인들 말 듣다가

주변에 전세난민 많이 봤습니다.

2002년도에 2억에 전세1억주고 집살때도 주위 반응은 미쳤다..로 시작.

언제나 난리지만.

결국은 다 오름.

주변에 비슷하게 집산사람들 평균 집값 6-9억사이 찍고..

그때부터 해박한 지식뽑낸 사람들

서울에서 경기도로 전세난민 됬서요.

가만이 공통점을 보면

집산 사람은 시장에 겸손하고 믿음이 있고

안산 사람은 자신의 경제지식을 뽑내고 해박하다는 착각에 빠짐.

결국 다 땅을 치고 후회

다 전세난민되거나 월세 유랑민 되더이다.

지금 벌써 소형평수 조금씩 오르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예측하는 말은 절대 무시하고..

자기수준에 적당한 집사는게 정답.

IP : 222.112.xxx.181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2.27 6:12 PM (121.88.xxx.90)

    막상 살려고 알아보니 큰차이도 없고..어디가 많이 떨어졌나요?
    전세는 매매가에 육박하고..자기 수준에 맞게 한개 사서 사는게 정답..옳소

  • 2. ...
    '12.2.27 6:21 PM (175.193.xxx.110)

    아니 여러채도 아니고 내가 살집은 있어야 하죠? 안그런가요? 다 오르는데 어찌 집값만 하락이 될까요?
    전월세 해마다 오르는건 괜찮나요? 잘 생각 했으면 좋겠네요.

  • 3. .....
    '12.2.27 6:21 PM (115.140.xxx.126)

    지금 하우스푸어로 고통받는 분들도 더 늦기 전에 대출 댕겨 집 사야 한다는 (인터넷)여론을 따른 경우에요.

    집구매와 같은 큰 재산상 결정은 그냥 '각자' 잘 알아서 판단하면 좋겠네요.

  • 4. 래리네
    '12.2.27 6:53 PM (128.208.xxx.57)

    정말 땅을 치고 후회하는 사람들은 뒤늦게 사는 사람들이죠. 것두, 원글님 말씀대로, 살 집도 아닌데, 투자 목적으로요. 오히려 일관되게 잘 난척 하면서 안 사는 사람들은 차라리 훨 나아요. 지금 조금씩 오르는 데 있어도 급하게 오를 일 없으니까, 천천히 관망하면서 자기가 오래 살고 싶은 집 능력에 맞춰 사는 게 정답이라고 봅니다.

  • 5. .........
    '12.2.27 6:59 PM (182.208.xxx.67)

    제가 볼때 살 사람들은 다 샀습니다.

    그나마 부분적으로 인기가 있는 지역이 있는 건 기존 주택가진분들이 그 지역으로 가려니 그런 것이고
    중상층 이상 집 구매욕이 있는 분들은 다 샀습니다.

    전에 어떤 댓글에도 적었는 데 연봉 1억이 넘어도 집 안살 사람은 안사요. 그 사람들은 집없어도 땅을 칠 사람들도 아닙니다.

    그럼 나중에 어떤 사람들이 땅을 치느냐... 돈도 없고 집도 없는 사람이죠.
    그런데 그 사람들이 무슨수로 집을 삽니까?

    요즘에는 애도 많이 안낳고 하니 이사철도 실종이라 하죠. 세상이 그렇게 되가는 거죠.
    앞으로 더 심할 겁니다.

  • 6. .........
    '12.2.27 7:03 PM (182.208.xxx.67)

    2002년이나 그이후 몇년간 집값 급상승한 시기와 지금을 비교하기 힘든게

    그때는 마지막 베이브붐 세대 70~80년 사이 출생자들이 집을 사야할 시기였으니 그렇죠.(저포함...ㅎㅎ)

    그런때가 다시 오기는 힘들겁니다.

    지금 인구 구성비도 7~80년 출생자가 제일 많아요. 이후로는 격감 더 격감.....ㅜㅜㅜ

  • 7. 선거철
    '12.2.27 7:17 PM (121.166.xxx.168)

    부동산 가격 띄우기 시작이군요.
    출마자들이 선거 파파라치들 때문에 돈도 맘대로 못 쓸 겁니다.

  • 8. 하우스푸어.........
    '12.2.27 7:37 PM (116.127.xxx.24)

    예견된 재앙이지요.
    부동산 경제란 것처럼 허황된 경제는 없다고봅니다.
    이 넘의 정부는 미쿡 형아의 모기지론사태를 보고도 여전히 복부인을 양성하려고 한다눈..... -_-;;
    집은 재테크가 아닌 말그대로 마이 스윗 홈...이어야한다고 봐요.

  • 9. ...
    '12.2.27 8:21 PM (109.144.xxx.247)

    흠......실거주 용도라면 하나 있어도 좋겠죠. 어차피 전세를 살건 월세를 살건 주거비용은 지출되게 되어있으니까요. 하지만 투자목적이라거나 대출 30%이상 끼고 사는 건 별로~ 메리트가 없을 듯 합니다.

  • 10. 시기가 문제
    '12.2.27 10:28 PM (211.201.xxx.227)

    가격이 영원히 안오른다는게 아니고요. 경제주기가 있는데, 시기의 문제죠.
    더군다나 2000년초반과 현재를 비교하시다니~

  • 11. 집한채
    '12.2.28 12:25 AM (1.245.xxx.178)

    실거주목적으로 순수 100%자기돈으로만 집을 산다면 누가 말리겠습니까..
    무리하게 빚내서 은행 좋은일 시켜주니 그렇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7566 3월 1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2/03/01 907
77565 미국 1040 tax file 질문 3 pianop.. 2012/03/01 834
77564 시어머니가 입원하시면 매일 병원가세요? 25 .... 2012/03/01 5,694
77563 선거운동원 할까 했더니, 선거사무소에서 괜히 사람을 오라가라.... 1 참.. 2012/03/01 1,138
77562 어린이 상해보험에 대해서.. 5 생해보험 2012/03/01 1,751
77561 초등아이들 개학하면 해줄 아침메뉴 공유해요 5 2012/03/01 3,663
77560 외국에서 공부해보신 분들게 질문 좀요..ㅜ 4 단팥빵 2012/03/01 1,263
77559 3/1(목) 오후2시 청계광장 4 NOFTA 2012/03/01 827
77558 늦은 밤 어두운 밤길 가게 될 때 남자분들로부터 에스코트 받으시.. 9 ^^ 2012/03/01 2,741
77557 .. 46 원래그런가요.. 2012/03/01 9,895
77556 여대 기숙사... 부모가 아무때나 가볼수는 없는가요? 8 대학 2012/03/01 2,243
77555 일본 이민 증가하고 있다고 하네요 17 키키키 2012/03/01 11,851
77554 튀김냄비 좀 추천해주세요..절실 4 튀김좀 해먹.. 2012/03/01 3,105
77553 칠할 때 쓰는 큰 비닐 어디서 살 수 있을까요? 7 페인트 2012/03/01 1,242
77552 어린이대공원 동물원가려면 어디서 내려야가장 접근이 쉬울까요? 4 대중교통 2012/03/01 1,165
77551 연기가 이렇게 어려운것을 새삼 깨달았어요. 15 하품 2012/03/01 2,777
77550 요새 사람들 왜 이러나요.. 9 어리둥절 2012/03/01 3,486
77549 아기가 새벽에 너무 울어요 6 ... 2012/03/01 1,670
77548 채선당, 국물녀, 슈퍼폭행녀사건, 그리고 선거여론 6 근일맘 2012/03/01 991
77547 강남의 부페 추천부탁드려요 3 결혼기념일 2012/03/01 1,382
77546 아틀란타 아시는분 문의드립니다. 3 .. 2012/03/01 1,156
77545 반영구아이라이너하신 분들... 12 .. 2012/03/01 5,036
77544 주진우 ‘사탄 기자’ 대신해서 한말씀 올리겠습니다요 6 호박덩쿨 2012/03/01 1,753
77543 들어 보셨어요? 2 서해부 2012/03/01 1,259
77542 초등학생입학선물뭐가좋을까요 4 재순맘 2012/03/01 1,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