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번달 내역서보니 전기요금이 이해가 안가서요

아파트관리비 조회수 : 2,925
작성일 : 2012-02-23 16:08:40

1~2년에 한번 글 쓸까말까한 오래된 82눈팅족입니다.

이런경우는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어서 82님들께 좀 물어보려고요.

 

650세대쯤되는 아파트에 사는데요

오늘 1월분 아파트관리비 고지서를 보니 전달까지 항목에 없었던 공동전기료라는게 생겼더군요.

저희집은 전기를 아껴쓰는편이라 월평균 200kWh이하로 2만원에서 왔다갔다해요

 

내역을 확인해보니 1월엔 178kWh를 사용했고 요금은 1만오천원이 부과되었어요.

(참고로 12월엔 198kWh 에 2만원 정도)

그런데 고지서에 공동전기료 항목이 새로 생겼는데 16000원이 부과되었어요.

세대전기료에서 내린금액과 공동전기료 부과내역을 합해도

지난달보다 전기를 적게 썼음에도 11000원이 더 부과된거죠.

대체 이게 뭘까 싶어서 고지서 설명부분을 읽어보니 1월부터 주택용 저압 요금제에서 고압요금제로 변경하면서

세대전기료는 감소하고 승강기전기료(고지서에 따로 항목이 있음) 및 공동전기료는 증가하여 부과된다고 되어있어요.

 

그래서 관리사무실로 전화를 했습니다.

전화받으시는분이 설명을 해주시는데

작년까지는 주택용 저압요금제로 부과되어 세대별 전기요금은 누진세가 많이 적용되었고

상대적으로 공용부분은 요금이 적게 책정되어 아파트자체 예산에서 해결하였으나

작년말 한전에서 고압요금제로의 변경 요청이 있었고(꼭 바꿔야하는것은 아님)

고압요금제로 변경하면서 세대별전기요금은 적어지고 공동전기요금(주차장,관리실,초소등)은 증가하여

공동전기료를 올해부터 각세대별로 평형에 비례하여 부과하기로 했답니다.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가정에서는 유리하지만 저희집처럼 조금 사용하는집은 더내게 될수도 있답니다.

그러면서 아파트입주자 대표회의에서 의결해서 시행하는것이므로 절차상 문제점도 없고 그냥 이해해 달라고...

 

월 2만원내는 집에서 3만원도 넘게 내려면 50%이상 인상되는건데..

전기사용량이 많아서 누진세 적용되어 많이내는거야 그만큼 사용한거니 이해하겠지만

이건 적게 쓸수록 불리하다니 뭐 이런경우가 있나싶고요..

공동주택이니 이 정도는 감수하고 살아야하는 건가요?

 

 

 

 

IP : 121.184.xxx.16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상하네요
    '12.2.23 4:12 PM (118.220.xxx.190)

    고압식으로 하면 확실히 전기요금이 내려가는데 공동전기요금이 그리 많이 나오다뇨?
    저희는 저층이라 승강기사용료는 안내지만 공동전기료가 8천원을 넘긴적이 없는데요, 보통 5,6천원선....

  • 2. 원글
    '12.2.23 4:14 PM (121.184.xxx.167)

    저희는 1층사는데도 승강기요금 내요. 승강기 유지비 3000원, 승강기 전기료 3590원이네요...

  • 3. ^^
    '12.2.23 4:26 PM (175.117.xxx.117)

    이번 달 관리비 통지서 나온 것을 보니
    전기요금 265kw 34,590원
    공동전기요금 16,015원
    승강기 3,110원이네요.

  • 4. 반대로
    '12.2.23 5:14 PM (59.15.xxx.202)

    저 사는 아파트는 입주 7개월 정도 됐는데 그동안 고압쓰다 저압으로 바꿨어요
    고압이 세대전기료는 싸지만 공용전기료가 사용량이 늘면 단가가 비싸서 겨울이라 공동전기료 사용이 많아 1월 사용분부터 저압으로 바꾼다고 하더라구요. 그동안 집에서 펑펑(?) 쓰던 분들 전기세 두배넘게 나왔다고 난리에요. 여긴 아직 입주자대표회의도 생기지 않아서 관리사무소에서 그렇게 계약했다하구요 1년에 한번 계약 변경 가능하다던데요. 근데 저압이든 고압이든 공동전기료는 나왔었는데...저희집은 지난달 보다 3킬로와트 많이 썼는데 세대전기료는 6천원 정도 더 나왔어요. 대신 승강기전기료는 사용량 비슷한데 반정도 나왔구요. 공동전기료가 20~25%인가가 넘어가면 고압보다는 저압이 유리하댑니다. 대신 저압에서는 400키로와트 이상 쓰면 요금폭탄맞는다고 하네요.

  • 5. 반대로
    '12.2.23 5:16 PM (59.15.xxx.202)

    아무튼...고압에서는 적게쓰는 세대에서 항의가 많이 들어온다고 하더라구요. 그동안은 공동전기료가 얼마 안되서 세대별로 부과를 안했었나보네요. 같은 평형의 다른 지역의 아파트에서는 공동전기료가 5만원이 나왔다고 또 난리더라구요. 저희는 만원 정도 나왔었거든요

  • 6. 저도
    '12.2.23 6:25 PM (112.148.xxx.143)

    요번달부터 원글님네 아파트처럼 공동전기료가 많이 부과 되었기에 관리사무소에 문의했더니 저압에서 고압으로 바뀌었다고... 세대 전기료는 347kwh 45,820원 나왔는데 공동전기료는 20,000원이고 승강기전기는 3,570원 나왔어요... 겨울이라 동파되지 않도록 열선이니 하는것들 사용이 많아서 많이 나왔다고 앞으로는 좀 적어 질거라고 하더라구요..

  • 7. ...
    '12.2.23 6:38 PM (115.137.xxx.213)

    정말 글 잘올려주셨어요 저도 거품 물고 관리소 쫒아갈뻔~공동전기료가 만6천원정도 헉 싶었거든요

    경비 아저씨 인건비 때문에 자른댔을때 반대했지만 경비아저씨 인건비가 안아까운거지 과하게 부과되는공동전기료는 뭔가 싶어 이거 줄여서 경비 아저씨 인건비주겠다 싶어 짜증 확 났었는데 아저씨 자주바뀌어서 것도 불안한데...

    이사갈땐 진짜 관리비 내역까지 훌터보고 다녀야하나봅니다

  • 8. ㅡㅡ
    '12.2.23 10:02 PM (211.234.xxx.205)

    공동으로 쓰는건데
    어쩔수없는 부분이죠
    공동주택이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032 보테가 베네타(가방 얘기입니다. 싫으신 분 패스하세요) 5 서기맘 2012/02/23 5,231
75031 화장실 방향제로쓸 향진한 비누? 6 2012/02/23 3,284
75030 출산후 아기한테 지출되는 비용 궁금해요 13 예산짜기 2012/02/23 1,935
75029 전자렌지 추천 해주세요. 1 살림꾼 2012/02/23 844
75028 이렇게 공기가 안 좋을줄이야 ㅠㅠ 1 도로변 아파.. 2012/02/23 1,255
75027 얼굴에 멍, 어디로 가면 되나요? 9 알려주세요 2012/02/23 2,185
75026 서기호 판사와 함께 하는 사법개혁 토크콘서트 눈꽃 2012/02/23 589
75025 금단증상에 대해 아시는 분.. 6 헬로우 2012/02/23 1,240
75024 생활비 총 300이면 아이 교육에 얼마나 투자해야 적당할까요? 9 .... 2012/02/23 2,493
75023 살기 싫으면 떠날 수 있는 자유! safi 2012/02/23 591
75022 저도 선거알바 하려고 문의했더니... 2 아이구 2012/02/23 1,897
75021 닉넴 마리아란분...... 11 음모론? ㅎ.. 2012/02/23 1,602
75020 상품권받은 신문 끊고 싶은데.. 7 신문 2012/02/23 1,273
75019 화장실 하수도 냄새 제거하는방법 없나요?? 14 소금인형 2012/02/23 45,884
75018 '주간조선'참으로 악랄하군요. [펌] 1 ㅡㅡ 2012/02/23 1,263
75017 첫 유럽여행.. 서유럽과 동유럽 중 어디를 택하시겠나요? 16 bs 2012/02/23 17,234
75016 [펌] 목욕갔다 실종된 여동생 이야기라고 하네요.. 21 123 2012/02/23 9,437
75015 중앙에서 독점판매한다는 뉴욕타임즈국제판에대해알고싶어요 2 중앙영자신문.. 2012/02/23 697
75014 어제 나꼽사리듣고 너무 심란해요(자세한 상황有) 2 하우스푸어 2012/02/23 1,813
75013 (유럽)여행사 홈피에 있는 상품가격.. 실제 경비까지 합치지.... 10 .. 2012/02/23 1,928
75012 유럽에 거주중인데..노산에 낯선곳에서 출산 걱정이되요. 3 ... 2012/02/23 1,657
75011 좋은 곳 알려주세요. 양양 여행 2012/02/23 531
75010 비정규직 얘긴 거의 없는듯... 13 82에는 2012/02/23 1,870
75009 어디에 할까요? 4 한달만 저금.. 2012/02/23 672
75008 그룹 과외 시 비용능력없는 학생들 한명씩 넣고 싶은데 조언 좀 .. 8 .. 2012/02/23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