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어머니 첫생신 vs 친정아빠 첫생신

초보몌느리 조회수 : 2,085
작성일 : 2012-02-23 14:37:43

공교롭게도 두 분 생신이 같은 달에 있네요

 

1. 시어머니 첫생신 준비

 

직장 다니고 있고, 요리는 잘 못해서

얼마전 집들이도 힘든거에 비해 음식은 별로였던거 같아요 ㅠ

정작 저는 허둥지둥 바쁘고, 잘 먹지도 못했구요..

분위기 자체를 즐길 수가 없었던것 같아서 좀 아쉬웠어요.

그리고 시누 부부와 조카들까지 하면 저에게 좀 버거웠구요..

 

어떤 분들은 첫 생신은 직접 차리는 거라 하시는데

그냥 제 형편에 맞게 좋은 곳 모시고 가서 식사하는게 나을것 같아요..

서운해 하시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선물은 시어머니께 꼭 필요한 영양제를 준비했어요~

(어머님만 드리기 죄송해서) 아버님도 같이 드시게 두분꺼 준비해서

효능, 복용법 라벨지로 출력해서 붙이고

이쁘게 포장해 놓았어요~

 

선물 사는데 한 20정도 들었는데, 거기에 10만원 봉투 넣어드리면 적당하려나요?

너무 적은건 아닌지 걱정입니다~

 

2. 친정아빠 첫생신

 

사위들은 참 편한것 같아요;;

같은 달에 저희 아빠 생신인데, 남편은 아무 생각 없는듯 합니다.

왜냐면 제가 다 준비할거라 생각하니까요..

 

친정 부모님한테 전화와서는, 첨부터 외식하자 하시고

밥도 사주시겠다고 하시네요..

선물도 어차피 제가 사는거라 같은 영양제로 골랐구요 (아빠꺼만)

용돈 10만원 드릴거에요.

 

에구.. 결혼하고 나니 양가에 하는 것이 확실히 차이가 납니다.

속상 속상...

 

 

IP : 203.234.xxx.100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러게요
    '12.2.23 2:41 PM (112.168.xxx.63)

    그게 친정, 시댁 차이더군요
    친정은 뭐라도 더 해주시려 하고
    시댁은 뭐라도 더 받으시려고 하고

    친정은 밖에서 간단하게 외식할때 부모님이 가끔
    자식들 밥 사주시곤 하세요. 몰래 미리 계산을 해버리신다는...
    근데 시댁은 단 한번도 그런적이 없으시네요

    시댁이 형편이 더 나은데도.

  • 2. 요즘
    '12.2.23 2:43 PM (168.131.xxx.200)

    젊은 새댁들도 저렇게 시댁 친정 차별해서 준비하는군요.
    시누부부가 있는걸로 봐서 외동은 아니신거같은데 혼자 고민하지마시고 시누한테 연락해서 상의해보세요.
    그 집안도 그동안해오던 메뉴얼이 있을거 아녜요?
    시댁일은 며느리 혼자 감당해야할 일이 아니랍니다.
    아들 딸이 우선적으로 해야지요.

  • 3. 저는
    '12.2.23 2:44 PM (118.33.xxx.46)

    시아버님 첫생신을 시댁식구 집들이겸해서 차렸구요, 친정아빠 생신도 한 번 차렸어요.

    그 이후론 쭉 외식이고...외식못할땐 현금 드립니다.

    매번 외식+현금 이렇겐 할필요 없다고 친정엄마가 그러시네요.

  • 4. ...
    '12.2.23 2:44 PM (110.13.xxx.156)

    첫생신이라도 아버님 생신에는 저도 신경 안섰는데요
    어머니가 없는것도 아니고 남편 생일은 어머니가 하셔야 한다 생각해요
    어머니야 챙겨줄 아내가 없으니 챙겨 드렸구요

    뭐라도 딸에게 챙겨 줄려는 친정부모도
    아들 결혼하니 딸에게는 챙겨 주고
    며느리에게는 받을려 하더라구요
    남의 부모가 그런게 아니라 내부모도 그래요

  • 5. 마음은알아요
    '12.2.23 2:45 PM (124.5.xxx.147)

    결혼해서 양쪽에 다 잘하고 싶은 마음이 읽혀요.
    하지만 이렇게 하면 금방 지칩니다.

    "에구.. 결혼하고 나니 양가에 하는 것이 확실히 차이가 납니다. 속상 속상..."

    봐요... 이제 출발점에서 한걸음 떼려고 하는데 벌써 속상하잖아요.

    "어떤 분들은 첫 생신은 직접 차리는 거라 하시는데"

    이런 거 정해진 법은 없습니다.
    짐심으로 마음에서 우러나올때 그때 기쁜 마음으로 준비해도 늦지 않습니다.

    그냥 양쪽 똑같이 외식하고, 친정엄마 영양제까지 준비하세요.
    그리고 외식값 내고 선물까지 준비했으니 용돈은 따로 안해도 되요.
    시작을 이렇게 하면 오래 못 버텨요.

    그리고 '효도는 셀프' 입니다.
    (남편 구박하지 말고) 직접 친정 부모님들 챙기세요.

  • 6. 초보몌느리
    '12.2.23 2:45 PM (203.234.xxx.100)

    똑같이 준비하려고 애써도, 친정 부모님이 편하게 해주셔서
    아무래도 시댁을 더 챙기게 되네요.
    남편은 그냥 손놓고 구경하고 있구요.

    남편이 시누들과 상의할 문제인건 맞는것 같아요.
    요즘님 감사해요.

    친정엄마는 아빠생일때 만나는 김에
    우리 먹을거 갖다주신다고 음식 하고 계시네요..

  • 7. ,,,,
    '12.2.23 2:52 PM (121.160.xxx.196)

    왜 스스로 먼저 그렇게 하시는지요?
    저는 가정사의 주도권은 아내에게 있다고 생각해요.
    시부모생신, 친정부모 생신 제가 다 알아서 챙겨요. 똑같이요.
    남편이 우리 부모 생신 이벤트 준비하는것은 바라지도 않아요.
    역시 남편 부모 이벤트도 바라지않고 제가 하고요.

    세상에 원수는 집안에 있다고해요.
    편하다고 스스로 접어서 생각하다보면 뭔가 감정이 쌓인다는거죠.
    왜 친정아버님 영양제만 사면서 혼자 억울해 하시나요.
    남편이 그렇게 준비하라고 했다는 말은 없군요.

  • 8. 님이
    '12.2.23 3:29 PM (211.234.xxx.89)

    앞으로 우리부모님생신은 당신이 챙겨줘~
    나는 시부모님 생신챙길께~~
    미리 남편분께 얘기하시는게어떠세요?
    그래야 남편분도 고민을해볼테고 양가 어떻게하자 말이나올수도있을것같은데

  • 9. 블루마운틴
    '12.2.23 3:29 PM (211.107.xxx.33)

    첫생신부터 차별두지 마세요 시간 지나면 당연시 됩니다 바꾸기 힘들어 져요

  • 10. 아돌
    '12.2.23 5:04 PM (116.37.xxx.214)

    무조건 똑같이 하세요.
    외식을 하던 직접 차리시던 원글님쪽에서 계산하시고
    선물도 똑같이 두분꺼 하시고 용돈도 똑같이 내시고요.
    앞으로 명절이니 생신이니 챙기실 일이 많은데
    처음부터 차별을 두면 원글님은 불만이 쌓이고 남편은 당연하게 여겨요.
    좀 힘들더래도 무조건 똑같이 하시는게 좋아요.

  • 11. 초보몌느리
    '12.2.23 5:47 PM (203.234.xxx.100)

    네 꼭 똑같이 하겠습니다
    사주시겠다고 하니 얻어먹어야지 생각했는데
    잘못 생각했네요~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826 지금 이시간에 계신분들은 일찍 일어나신건가요? 아니면 늦게 주무.. 11 123 2012/02/26 1,971
75825 블락비 동영상 보면서 7000원 드립보다 더했던 부분은 11 별달별 2012/02/26 3,796
75824 내가 들은 채선당 이야기/.. 6 별달별 2012/02/26 8,680
75823 새가죽의자 글 올린사람인데요..냄새제거 제품좀 추천해주세요 1 제품좀 2012/02/26 990
75822 임신 34주차, 배가 아픈데... 6 + 2012/02/26 2,887
75821 재혼하려고 하는데요...까페...어떤가요? 8 이젠.. 2012/02/26 3,388
75820 고2 영어과외비 좀 봐주세요~ ^^ 7 과외샘 2012/02/26 23,637
75819 앱 좀 찾아주세여 3 아이폰 2012/02/26 871
75818 참 허무하네요... 24 .... 2012/02/26 10,779
75817 어떻게 말을 해야 할까요? 2 고민녀 2012/02/26 1,335
75816 아 82님들 가죽의자 냄새 SOS 요 ..ㅠㅠㅠ 5 머리가아파 2012/02/26 2,468
75815 해외로 나가는데 주소지 퇴거신청 어떻게하지요? 3 보람 2012/02/26 1,944
75814 오늘도 남편은 그냥 잡니다. (19금) 45 이름지우고픈.. 2012/02/26 32,349
75813 지방인데 1년새에 2천만원뛴 아파트값... 28 집고민 2012/02/26 4,387
75812 함께 살수 있다고 생각하는걸까? 4 콩가루 2012/02/26 1,972
75811 모리녹스 브랜드 아시는 분 계세요? 1 사까마까 2012/02/26 1,740
75810 관리자님, 최근 많이 읽은 글의 순서는 어떻게 정하나요? 5 궁금한 사람.. 2012/02/26 840
75809 오늘 kbs 주말영화 2 추천 2012/02/26 1,880
75808 거실에 TV없애고 책장 안놓으면 뭘로 허전함을 가리나요? 9 궁금맘 2012/02/26 2,620
75807 김혜수가 출연했던 "꽃피고 새울면"이란 들마 .. 6 궁금이 2012/02/26 3,698
75806 눈 작고 하관 넓고 얼굴 큰 사람은 어떤 안경을 써야 할까요? 1 ... 2012/02/26 5,293
75805 프로젝트 런웨이 코리아를 보면 우승자가 항상 제 예상과 빗나가는.. 4 brams 2012/02/26 1,868
75804 5학년 어린이가 팬티에 변을 묻히는데요(죄송, 비위약한분 패스).. 6 지저분하지만.. 2012/02/26 1,727
75803 내일 회계사1차 보는 친구에게 ㅇㅇ 2012/02/26 915
75802 거제도 여행 코스 3군데만 추천해주세요.. 6 .. 2012/02/26 3,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