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가족 중 실제로 돌아가시고 장기기증 겪어보신분?

.. 조회수 : 4,900
작성일 : 2012-02-22 04:18:36
선뜻 장기기증하고 싶은 마음이 있는데,
바쁜 직장맘이어서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 하는지, 실제로 내가 죽으면 (사실 전 크리스챤이어서 죽음이후가 두렵진 않아요)
그 처리가 어떻게 되고,,
가족들에게 귀찮은 일을 남기게 될 것 같은데,,
정확한 처리절차를 좀 알려 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IP : 91.64.xxx.65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2.22 6:49 AM (183.98.xxx.10)

    저 겪어봤어요. 저도 죽으면 기증하기로 서약할까 했었던 생각이 싹 사라졌습니다. 괜히 내 죽음으로 마음 아플 식구들을 곱으로 고생시키겠더라구요.
    기증전에는 간이고 쓸개고 내어줄 것처럼 나오더니 막상 적출 다 끝나고 시신 수습 딱 끝나니까 나몰라라 하더군요. 저희는 서울도 아니고 정말 멀리 지방에서 온 터라 병원에서 고향까지 다시 시신을 가지고 내려가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저희도 난감해서 코디네이터한테 문의하니 돈 바라고 땡깡부리는 사람 취급 했습니다.
    시아버지 완전 격노하셔서 내가 자식 시체 업고 돈 뜯는 사람으로 보이냐고 뒤집어지시고...
    전 그냥 평범하게 죽으려구요. 남들 안하는 거 하니까 남은 사람들이 힘들어요..

  • 2. 듣기만 했는데
    '12.2.22 8:18 AM (110.10.xxx.42)

    제 후배 아버님이 시신기증 서약하시고 돌아가셨다는데
    처음엔 시신없이 헛장례 치르고,
    1년인가 후에 대학병원에서 시신 넘겨받아 다시 장례치르느라
    자식들이 힘들다고 하더군요.

  • 3. ㅡㅡ
    '12.2.22 8:35 AM (110.14.xxx.164)

    저도 기증의사ㅠ있는데
    쉽지 않군요

  • 4. 전에 어디선가 경험담 보니
    '12.2.22 9:04 AM (124.5.xxx.7)

    1년이 아니라 기증시신이 많아서인지 여러해 지나
    연락이 왔다던 글 본적 있어요.
    고귀한 뜻과는 좀 다르게 받아들여지고 처리되는것
    현실인것 같습니다. 뭔가 평범을 거부하고 좀 색 다른것
    을 추구하다보면 무지 돌아 돌아 힘든 경험을 하게 되는게
    원리인것 같아요.

  • 5. 저희
    '12.2.22 9:48 AM (125.149.xxx.207) - 삭제된댓글

    저희 시아버님이 희망하셔서
    저희 남편(의사)라 여기저기 알아봤거든요
    저희 남편이 알아보다 여러 문제가 많아
    '아버지 관두세요 혜택(?)은 제가
    받았으니 시신기증은 제가 할께요' 했답니다
    장기기증 시신기증 여러가지 있는데
    시신기증은
    온전하게 시체로 기증되는게 아니라
    머리쪽 다리쪽 이렇게 전국으로 나눠져서 기증될수도있다네요
    그 일 진행방식이나 처리가 미숙해서
    처음의도와 달리 유족들 속도 많이 상하고요

  • 6. ...
    '12.2.22 9:53 AM (186.53.xxx.228)

    저희 친정 어머니께서 장기 기증을 하고 재작년에 돌아가셨습니다. 생존해 계실때 미리 서류를 준비
    해야 하는데, 저희같은 경우는 천주교 집안이고, 성당에 문의 하신 후에 카톨릭 의과대학에 기증을
    하셨습니다. 배우자와(저희 아버님도 역시 시신기증및 장기기증을 이미 하셨고, 생존해 계십니다)
    자식 한명의 동의가 필요했습니다. 자식으로서 정말 못할 일 이었으나, 워낙에 두분의 의지가 완강
    하셨기에, 동의를 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저희 어머니께서 돌아가시고 난 뒤에는 보통 다 그렇듯이 병원에 영안실이 차려 졌었구요, 저희같은
    경우는 성당에 있는 '연령회'라는 봉사 단체 분들이 오셔서 거의 모든 절차를 대행해 주셨습니다.
    마지막 장례미사때도 당연히 시신을 모신 관을 성당까지 모시고 와서 미사를 치뤘습니다.
    미사가 끝난 뒤에 관을 모신 분들이 성당 입구까지 모시고 나가면, 미사에 참여했던 가족과 참가자들
    모두 성가를 부르며 그 뒤를 따라 걸어 나왔습니다. 성당 입구에 카톨릭 의과대학에서 보낸 차가
    기다리고 있었고, 그 곳에서 저희는 어머니와 작별을 했습니다.
    일년 후에 대학 측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모든 것을 마쳤다는 말과, 시신을 개인적으로 모실 의향이
    있으신지, 아니면, 대학측에 일임할 것인지 묻습니다. (이는 아마도 가족묘지가 있으신 분이나 따로
    준비된 장지가 있으신 분들이 계실까 해서 묻는 것 같았습니다) 대학측에 일임하면, 그 곳에서 시신의 화장과
    안장을 모두 알아서 해 주십니다. 저희같은 경우는 김수환 전추기경님께서 모셔져 있는 곳에
    시신기증을 하신 분들만을 위해 마련된 장지가 따로 있어서 그 곳에 안장을 해 주셨습니다.
    그리고 매년 11월 초에 그 분들을 위한 위령미사를 대학측에서 거행해 주십니다. 지난해에 11월 3일에
    저희 어머니를 비롯한 기증자분들의 안장을 마쳤다는 말과 위령미사에 참가해 주십사는 연락을 받아
    가족들이 모두 다녀왔습니다. 너무나 아름답고, 따스하고, 좋았습니다.
    저희가 직접 겪은 일이기에 말씁드립니다.

  • 7. ...
    '12.2.22 10:01 AM (186.53.xxx.228)

    위에 댓글쓴 사람입니다. 저희 어머니, 장기기증 아니고, 시신기증인데, 잘못 썻네요.

  • 8. 기증
    '12.2.22 10:21 AM (183.97.xxx.218)

    저도 가끔 장기이식땜에 힘드신분들 보다보면
    좋은일에 쓰일수 있다면 보람되겠다고 생각했었지요

    몇년전에 어느분이 장기기증에 대해 쓴 글 읽어보니
    윗님들이 말씀하신 문제점이 많아 쉽지 않구나 생각했어요
    더구나 본인이야 모르지만 남은 가족들이 슬픔속에서
    또 다른 문제점으로 힘들겠구나 생각 들었어요

  • 9. dammm
    '12.2.22 11:45 AM (115.143.xxx.176)

    한달전에 아버지 장기기증 했어요.
    아버지 생전의 뜻이라 했습니다만 자식입장에서 속상하긴해요.
    장기기증을 하겠다고 의사(시골병원임)에게 말하고 의사가 삼성병원을 추천해서 그리로 하겠다 했어요.
    장기기증 센터에서 코디네이터가 와요. 동의서 받고 필요서류 챙겨주고..그리고 얼마후 삼성병원 코디네이터가 오고요. 제경우는 장례식장이 시골이라 그리로 시신을 데려오는 것까지 해주는지 확인했고요. 집안사정상 가능한 빨리 모든 절차가 끝났으면 했습니다.(먼 친척이 장기기증을 하는데 일주일 이상 걸렸다고 하더군요)
    보호자 1인이 동승해서 삼성병원으로 갑니다.(아마 가는 길에 사망할 경우도 있어서 동승하는 것 같습니다) 제경우 이과정이 힘들었어요. 아버지를 버리러 가는것 같아 속상하더군요.
    삼성병원에서 뇌사판정 검사를 해요. 이게 몇시간 간격으로 몇번하고, 뇌파검사도 합니다. 그리고 뇌사판정위원회가 열리고 수술시간을 잡아요.
    병원에 도착해서 수술이 끝나는 시간까지...제경우는 이게 딱 하루 걸렸어요.
    삼성병원에서는 이 기간동안 보호자를 위해 근처 호텔을 잡아준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수술이 끝나면 앰블런스를 섭외해서 장례식장까지 이송해줍니다.
    장례식장 분이 시신을 살펴보고 표도 안나게 잘 마무리해주었다 하시더군요. 저는 입관식에 못들어갔습니다만 입관식에서 동생도 그부분을 잘 살폈는데 표가 안나더라고 했어요.

    과정자체가 언제 끝날지 모르니 힘들다는 것, 그리고 아버지에 대한 마음때문에 자식입장에 속상한것. 이게 힘들었던 것 같고 수술이 끝날즈음에 점점 마음이 편해졌어요. 그리고 아버지에 대한 조경스러움과 자랑스러움도 커졌구요.
    친정엄마는 장기기증에 회의적이셨는데 장례식 끝나고 본인도 그렇게 하고 싶다고 하셨어요.
    장기기증에 호의적이었으나 이 모든 과정을 했던 저는.. 잘 모르겠어요. 자식들이 좀 힘든건 사실이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0245 등산바지 샀는데 어느정도로 기장을 줄여야 하나요? 2 다람쥐 2012/05/18 6,251
110244 삼겹살찜 최고! 칭찬한바가지 드셨음~~ 3 우헤헤 2012/05/18 2,319
110243 작업복 바지(여성) 검은색 사야 하는데 추천부탁해요 3 장대비 2012/05/18 850
110242 촌놈은 택시무섭다 6 말과 글 2012/05/18 1,426
110241 버스에서 자리양보 안했다고 욕먹었어요 ㅠㅠ 13 기분꽝 2012/05/18 3,319
110240 지하철 민원을 신청하려고 하는데요.. 1 지하철 2012/05/18 981
110239 학력위조 이자스민 한국판 행상림 되나? 1 2012/05/18 1,594
110238 LG휘센 이벤트도 참가하시고 에어컨과 커피 기프티콘도 타가시고~.. colt 2012/05/18 1,268
110237 고속도로 휴게소 좋아하세요? 24 올리브 2012/05/18 5,517
110236 로컬푸드 이용해보신분 조언 부탁드려요~ 4 니가밥좀해!.. 2012/05/18 1,533
110235 갤럭시 s2 lte쓰시는 부운~ 도와주세요 4 머리아퍼 2012/05/18 1,064
110234 일본식 우동볶음?아끼우동?어떻게 해요?소스는 12 n먹고싶어 2012/05/18 2,824
110233 요즘 공부머리 얘기가 자주 나와서 말인데요... 4 공부머리 2012/05/18 2,395
110232 족저근막염에 대해서 아시나요? 9 ㅠㅠ 2012/05/18 2,408
110231 마음을 넓게 써야 하는데...(길어요. 돈 얘기 지겨우신 분은 .. 9 밴댕이 2012/05/18 2,137
110230 친정부모의 행동과 닮은 행동을 하는 나.. 1 문득... 2012/05/18 1,280
110229 어제 삼성 이서현 씨 봤어요. 59 피돌이 2012/05/18 93,012
110228 가벼운 교통사고 처리 --- 2012/05/18 1,174
110227 1인용 전기밥솥 이라는게 있네요 8 써보신분 2012/05/18 3,064
110226 이승연 100인의 여자 보셨나요.? 6 알려주세요 2012/05/18 3,760
110225 전면부에 자석 붙지 않는 냉장고에 보드판 어느걸 쓰시나요? 2 보드판 2012/05/18 2,185
110224 근데 보통 절값 많이 받나요??? 8 마그리뜨 2012/05/18 3,057
110223 본인이 집중력의 어려움을 하소연합니다, 2 조카에게 도.. 2012/05/18 1,137
110222 양파 노래 슬프지만 좋네요. 2 양파 2012/05/18 1,396
110221 대기업 생산직 면접 3 위로 2012/05/18 4,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