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며느리 첫 생일상도

음? 조회수 : 5,211
작성일 : 2012-02-22 03:21:15
시부모님이 차려주시지 않나요?

저는 그게 관습이라 알고 있었는데요... 

그렇게 말씀하셔서 결혼한 지 얼마 후에 생일상 받았고 저도 

그 다음 해 처음으로 맞는 시어머니 생신 때 저희집으로 모셔서 식사해드렸어요. 

일방적으로 생일상 차려달라는 시부모님들은 제 주위에선 별로 본 적이 없는 것 같아요.

그리고 사실 시어머니들이야 며느리랑 아들 가면 항상 식사 차려주시잖아요... 

다 먹고 나서 며느리가 설겆이하려니 못하게 한다는 집들도 많더라고요.

그러니 요리를 완전히 못하는 거 아니라면 한 번쯤은 차려드려도 되지 않나 싶네요.

82에 오면 아직도 생각보다 악독한 시어머니들이 너무 많구나, 놀라곤 합니다. 




IP : 175.209.xxx.180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ㅜㅡㅡ
    '12.2.22 3:23 AM (119.18.xxx.141)

    글이 맥락이 안 맞는거 아시죠?>

  • 2. 음?
    '12.2.22 3:42 AM (175.209.xxx.180)

    뭐가 맥락이 맞지 않는지? 시어머니가 웬수도 아니고 생일상 한 번 차려드릴수 있는거지 그걸 갖고 하녀라고 하는게 웃겨서 썻습니다. ㅎ 차려드리는 며느리들은 다 ㅄ 취급하는 것도 웃기고

  • 3. 실례했습니다
    '12.2.22 4:42 AM (119.18.xxx.141)

    제가 82 글 다 보는게 아니라서요
    베스트글에 올라와 있네요 ,,,

  • 4. 저희는
    '12.2.22 7:14 AM (115.161.xxx.192)

    제 생일전날 올라오셔서 제가 다 상차리고 설거지까지 다했네요.
    요즘은 남편들이 미역국끓여준다니까 그거 못하게하려고 올라오신건 아닐까 싶기도했다는-_-

  • 5. ..
    '12.2.22 7:28 AM (175.112.xxx.155)

    아들 생일은 안챙기셔도 며늘 생일은 챙겨주십니다.
    저도 고마워서 항상 따뜻한 상 차릴려고 하구요.
    아! 친정부모님도 항시 차려 드립니다.
    마찬가지로 사위 생일도 챙기시구요.
    남편도 자기 도리 알아서 합니다.

  • 6. 그럼
    '12.2.22 7:36 AM (14.37.xxx.207)

    사위는 장모님 첫생신에 생일상 손수 차리나요?
    그거 안한다고 악독한 사위 이러시지는 않죠?

  • 7. 아이구
    '12.2.22 7:46 AM (122.32.xxx.129)

    안지켜도 경찰출동 안하고 안잡혀가지만 서로서로 챙겨주는 게 그야말로 아닌가요?
    어느 사위가 회사 안가고 장모 밥차려줍니까,일하는 며느리도 마찬가지죠..
    옛날 며느리가 바깥일 안 할 때 한집에 살면서 시엄니 생신 맞으면 차려주던 게 흘러흘러 이리 된 거지요.
    아랫사람은 차려드리면 좋고 어른은 챙겨주면 좋고..바쁘면 나가먹고.

  • 8. ..
    '12.2.22 7:52 AM (175.112.xxx.155)

    남편과 내가 똑같은 걸 해야 한다는 게 참 부담스럽네요.
    내가 잘할 수 있는 걸로 할 수도 있건만...
    며늘도 며늘이 잘할 수 있는 걸로 하고, 시부모도 받아들이면 되고, 친청부모도 사위가 잘할 수 있는 걸로 하면 그걸 받아들이면 되건만...
    꼭 생일상은 며늘이 차려야 하고 사위가 장인장모 생일상 손수 차려야 하는지....
    내가 한번 설거지 했으면 너도 한번 설거지 해야 평등하고 존중하는 것인지...
    남편이 돈 100만원 벌어오면 나도 100만원 벌야 하는지...

    무조건 시부모 며늘에게 바라는 것도 안좋고, 무조건 며늘도 시부모에게 삐딱한 맘으로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것도 안좋고...
    부모와 자식간에도 서로 안맞는데 몇십년 따로 살다 만난 사람들이 잘 맞을 수가 있을까요?
    처음은 서로 챙겨주면서 맞출려고 노력하는 거죠.
    서로 이해가 필요한거죠. 어떤 법칙이 있는 것도 아니고 ..

  • 9. 저는
    '12.2.22 7:57 AM (119.64.xxx.240)

    제 첫생일에 시어머니가 부르시더군요
    생일 차려주신다고
    가봤더니 아무것도 안해놓으셨던데요
    그날 전 제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걸 다 했고 상도 심지어 네번차리고 설거지 했습니다.(시아버님 나중에 오시고 남편 늦게 오고 시동생 부부까지 늦게 오느냐고 상을 네번,,,ㅠㅠ)
    밤늦게까지 상차리고 설거지하는데 어이가 없던데요
    이게 무슨 생일인가요
    너 생일이니까 생일빵내라 하는거랑 똑같죠
    이것 말고도 저희 시댁은 진짜 막장시댁이라 더이상 말하면 창피하고 입아퍼서 그만둠...

  • 10. ...
    '12.2.22 8:42 AM (110.13.xxx.156)

    시부모 생신상도 시모가 직접 차려 앉아 받아 먹는 저희집 같은 며느리 있고
    며느리 첫생일 안챙겨 주는 시댁도 있고 그렇죠
    이런 글에 좋은시모 댓글 절대 안달려요
    우리 시모 너무 좋아요
    이런 글에도
    좀더 살아봐라 좋은가 이렇게 댓글 달리는 82라서

  • 11. 해피
    '12.2.22 8:47 AM (110.14.xxx.164)

    며느리 첫생일 챙기는거 관습이라고 하긴 그렇고요
    요즘 생긴 현상인거 같아요 친정엄만 며느리 생일이면 용돈 부치십니다
    첫생일은 남들이 챙겨주는거다 해서 해주시고 그 담부턴 용돈으로요
    40중반인데 15년 차이 주부인 저
    시부모님이 시골분이라 제 생일은 묻지도 않고 얹어놓은 시조카 생일 챙겨주라고 하는 분이었지만 나쁜분 아니고 시골노인이라 그러려니 했고요
    매년 시골에 전날 가서 거의 수십명 동네 잔치 했는데 그냥 그러려니 합니다
    딱히 나쁜 사이 아니면 시집이나 친정이나 생신날은 모여서 집에서든 외식이든
    식사하며 서로 한번 보는거다 생각하고요
    뭐든 각자 사정에 따라 하는게 맞는거 같아요

  • 12. ..
    '12.2.22 8:53 AM (115.41.xxx.10)

    선물과 외식으로든 챙기면 됐지 꼭 상을 차려야 하나요?
    저도 이해가 안 가서...
    가풍 따라 다르겠지요.
    저도 새댁일 때라 할 줄 몰라서 어머님댁에 생신이라고 며칠 있었는데
    다 어머니가 손수 장만하시는....저흰 선물과 외식 시켜드렸구요.
    제 생일은 한번도 챙겨받은적 없는데요.
    어머니도 결혼 시켰으니 땡! 하시는 듯.. 아들 생일에도 전화 한 통 없으시니..
    서로 서로 편하게 하면 되지 뭔 법칙이라도 있는 듯이 그러는지..
    또 하나의 부담을 지우려구요?

  • 13. 첫생일
    '12.2.22 9:21 AM (118.47.xxx.13)

    며느리 사위 첫생일..
    차려준다는게 최근에 나온 말같아요

    그걸 잘 활용하면 서로에게 도움이 되요
    밀월관계랄까 아직 서로 어색한 시점에서 생일이라는 명분으로 사위 며느리에게 윗사람으로서 너그러움 배려를 보여줄 수 있으니까요

    그걸 요상하게 악용해서 말이 많아지는겁니다.

    며느리 첫생일 시어머니가차리거나 근사한곳에서 외식하면서 금일봉 두둑히 주는 분 있습니다
    이 경우 며느리 표정 좋더군요..당연한거지요

  • 14. 서로..
    '12.2.22 10:22 AM (14.47.xxx.160)

    결혼하고 첫생일은 차려 줬어요.. 거하게..
    시어머님이랑 시누이분들 다 모이셔서 잔차음식처럼 거하게 한상 차려주시고
    용돈도 두둑히 받았구요..

    저희 친정에서도 온가족들 다 모이고 떡이랑 약식까지 엄마가 손수 만들어 차려 줬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4402 그래도 강남3구는 힘들지 않나요..? 18 ㅇㅇㅇ 2012/04/09 2,037
94401 투표 고민돼요 어떤당을 찍어야 할까요? 라는 글 6 원글님 보고.. 2012/04/09 897
94400 아이사랑카드 질문이요 2 - 2012/04/09 706
94399 지잡대 조교수 조국은 어떻게 서울법대교수가 됐나? 34 부정비리? 2012/04/09 14,857
94398 분당 갑은 어떻게ᆢ 2 선거 2012/04/09 774
94397 김형태 후보의 제수인 최아무개(51)씨의 진술서 3 참맛 2012/04/09 2,309
94396 얼음까지 사장없이 잘 갈아버리는 미니 믹서 추천 좀 해주세요!!.. 2 추천좀^^ 2012/04/09 2,098
94395 흔한 워킹맘의 비애 4 에혀 2012/04/09 2,074
94394 "꺼져"라고 소리쳤어요. 9 차타고 지나.. 2012/04/09 3,006
94393 단 한명의 표도 중요한 이유!! 1 참맛 2012/04/09 640
94392 성북역 사진! 대박입니다. 나꼼수의 위력이란!! 13 투표 2012/04/09 8,924
94391 몇마리 남은 알바..... 6 광팔아 2012/04/09 760
94390 4월말 유럽 날씨 어떤가요 6 0987 2012/04/09 2,816
94389 정동영이 10% 이내로만 져도 35 ... 2012/04/09 2,830
94388 남편과 말 안한지 두달이 넘었어요 28 침묵 2012/04/09 10,009
94387 박근혜가 정말 대통령감이라고 생각하세요?? 38 나는 싫어요.. 2012/04/09 2,883
94386 2억5천 6개월간 은행에 넣으면 이자가 어느정도 나오나요? 1 돈 잘 몰라.. 2012/04/09 2,600
94385 송영기 교수님.... 1 갑상선 2012/04/09 616
94384 문재인 후보와 김정숙 여사의 결혼기념일 이벤트!! ^^ 2012/04/09 2,045
94383 25년 전으로 돌아간 편파적인 총선 뉴스 [참다못한 카메라 기자.. 5 투표 2012/04/09 1,418
94382 누구 뽑아야 할지 고민이예요... 8 여기는 대전.. 2012/04/09 753
94381 찝찝해서요. 누가 저의 점을 보고와서 얘기해주네요. 3 ... 2012/04/09 1,682
94380 고 노무현 대통령이 한미 FTA로 노린 이득 2 참맛 2012/04/09 750
94379 그래도 김종훈 얼굴정도면 잘생긴거 아닌가요? 37 ... 2012/04/09 2,249
94378 뉴스타파 기자의 전언 [여론조사 믿지마세요] 4 투표 2012/04/09 1,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