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그릇장 옮기기

그릇장 옮기기 조회수 : 1,572
작성일 : 2012-02-21 16:52:40

집 정리를 과하게 하고 있는 중이예요 오늘은 남편이 쉬는 날이구요

남편은 거실을 운동장으로 만드려는 뜻이 있어서요..ㅋㅋ

오늘 제가 회사에 있는 시간에 혼자서 후다닥 해치우려고 하는데요..

현재 저희 집 주방쪽으로 수납공간이 부족해서 그릇장 하나와 양문형 수납장 하나를 세워뒀어요

둘 다 사이즈가 대략 180 높이 너비 60 폭 40 정도예요

남편이 그 두 가구를 작은방에 넣어두려고 하는데요

양문형 수납장에는 안에 베이킹 도구와 무쇠후라이팬,무쇠냄비, 기타 스텐 냄비 이것저것 주방소도구 등 이 가득 차 있는데요 안에 물건을 빼지 않고 있는 채로

작은 방에 문턱이 없어서 수납장 밑에 수건이나 이불?같은거 끼우고 살살 끌고 오거나 무거우면 남편 등으로 받쳐서..ㅋㅋ 가져오려고 하는거 같은데요

그런데 문제는..

그릇장도 안에 있는 그릇을 빼지 않고 자기가 요령껏 잘 이동 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게 가능한 일인가요?

왠만하면 당신이 하고 싶은데로 하라고 말하고 싶지만..

그렇게 했다간 끝이라고 얘기했어요..ㅋㅋㅋ

결국 남편도 화?가 나서.. 에잇. 둘다 안 옮겨.. 이랬는데

(전 휴~ 안도와주는게 도와주는 거란 생각이..)

궁금한건 정말 남편 말대로 그릇장에 커피잔, 접시, 아무튼 유리관련된 그릇들도 많고, 그 그릇장도 결국 앞이 유리창으로 되어 있는데요.. 이게 정녕 가능한 것인가요?

궁금해서 여쭤요..

IP : 125.128.xxx.145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2.21 5:03 PM (1.225.xxx.29)

    그릇 작살납니다.

  • 2. 어머나
    '12.2.21 7:00 PM (58.124.xxx.211)

    그릇을 꼭 빼세요...

    작은 충돌에도 금이가거나 이라도 나가면 ...그릇장가격보다 타격이 클수도....

  • 3. 사기그릇
    '12.2.21 7:06 PM (14.52.xxx.59)

    아니고 무쇠 베이킹도구 등등이네요
    그럼 괜찮아요
    전 책도 안빼고 그냥 옮겨요
    깨지는거 미리 빼고 옮기면 됩니다

  • 4. 양문냉장고 옮기는 녀자
    '12.2.21 7:36 PM (110.15.xxx.248)

    집에서 무언가 옮기고 싶을 때, 적당히 넣은 채로, 또는 움직일 수 있을만큼만 빼고..
    이거 일 크게 벌리는 지름길이에요
    하다가 결국에는 다 빼거든요.
    그럼 처음부터 다 빼고 시작하는 것보다 넣을 때 더 힘들어요.

    저는 그릇장 옮길 때
    일단 식탁을 그릇장 옆으로 옮깁니다
    그리고 식탁도 모자라니 의자도 조르륵..
    그리고 그릇장의 그릇중 제일 깨지기 쉬운 것부터 식탁 위에 빼놓고, 좀 덜 위험한거 의자에 놓고
    그냥 막 놔둬도 되는 거는 바닥에 둔 쟁반에 내려놔요.

    그러면 그릇장은 자기 혼자 방문턱을 넘어가더군요
    가지말라고 말리는게 더 힘듬..

    그릇장처럼 속에 뭔가 흔들리는게 들어 있는 건 밀고 움직이는 것도 좀 위험해요
    특히 방문턱 넘는거..

    귀찮더라도 다 빼고 하세요

    그릇장 자리 잡고 그릇장 근처로 식탁을 밀고 움직이세요
    그러면 서서 정리하는 거라 힘도 덜들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2091 알집매트 어떤가요?? ... 2012/04/07 622
92090 오늘 저녁은 7 ... 2012/04/07 904
92089 화이팅 2 .. 2012/04/07 504
92088 윗글도알바글 ./아랫글 알바글이니 피하시고 5 .. 2012/04/07 458
92087 ◕ั‸◕ั◕ั‸◕ั새누리당 14명, 민주통합당 60명, 통합진보.. 5 ... 2012/04/07 911
92086 문재인 양산과련 보도 부산일보가 기사를 바꾸는군요? 1 .. 2012/04/07 1,741
92085 과외학생 어머니께서 수업료를 안주세요.. 47 과외선생입니.. 2012/04/07 11,633
92084 진보27%-민주24%-새누리9.8% 군대이야기가 잠잠한 이유 13 軍면제율 2012/04/07 780
92083 이명박근혜를 제일 먼저 쓴 사람이 누구게요? 5 .. 2012/04/07 1,127
92082 민주 "김용민에 정돈된 당 메시지 전달할 것".. 2 .. 2012/04/07 1,053
92081 공감을 잘 하는 것과 비위를 맞추는 것의 차이는 뭘까요 ? 3 / 2012/04/07 1,245
92080 어젯밤에 뜬 회 언제까지 먹을 수 있나요? 3 질문 2012/04/07 1,127
92079 김발이랑 면보 어떻게 세척하나요? 9 ** 2012/04/07 13,700
92078 공기청정기 추천부탁 3 황사 2012/04/07 1,095
92077 개념찬 콘서트 바람이 생중계됩니다. 5 라디오21 2012/04/07 1,087
92076 애들남편없이 혼자 이틀이 주어지면 뭐하고싶으세요? 3 답답 2012/04/07 962
92075 통합진보, 日서 '새누리가 좋다' 부정선거 의혹 제기 .. 2012/04/07 659
92074 저 남편이 있는데도 이 남자가 좋아요 21 .. 2012/04/07 11,352
92073 지금생각하니 서울광장은.. 2 .. 2012/04/07 847
92072 드디어 새당 알바가 양산집 물고 왔구나~~~~. 8 얼쑤~!!!.. 2012/04/07 1,058
92071 ㅎㅎㅎ 점쟁이말 어디까지 믿으세요? 3 닉네임 2012/04/07 1,499
92070 결혼 예단으로 개량한복을 해드릴까하는데 괜찮을까요? 40 .... 2012/04/07 2,693
92069 외국도 키 심하게 따지나요? 10 ... 2012/04/07 3,436
92068 성조숙증??? 2 엄마 2012/04/07 1,182
92067 고르곤졸라 치즈 빨리 소비하는 요리법 궁금 8 얼릉 2012/04/07 4,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