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온수 안쓰고도 설거지 충분히 깨끗이 할수 있네요

.... 조회수 : 2,804
작성일 : 2012-02-21 12:51:47
엄마가 설거지 하실때 물을 끓여서 하시는거 보고 그냥 온수 틀어 쓰면 되지 
왜 물을 끓여서 하느냐고 했는데 
물 끓여서 하니 온수 안써도 설거지가 더 손쉽고 깨끗하게 잘되네요. 
전 세제를 계속 펌핑해서 설거지를 하지 않고 작은 볼같은곳에 세제를 한번 풀어 놓고 
거기다 거품을 내고 수세미를 담가가며 그릇을 닦는데요.
이때 세제를 풀어둔 물을 팔팔 끓여 놓은 물로 사용하면 거품도 더 잘나고 
그릇이 잘 닦여요. 
그리고, 헹굼물을 찬물로 하면 온도차?때문인지 거품이 잘 씻기구요.
그릇이 더 뽀드득한것 같구요. 
물만 좀 끓이면 온수도 절약하고, 세제도 절약하고 그릇도 더 깨끗하고..
여러모로 좋네요. 
좀 신기하기도 해서 알려드려요. 
   


IP : 119.192.xxx.98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2.21 12:55 PM (118.222.xxx.175)

    전 이 설거지방법 좀 불안하네요
    그릇이 거의 대부분 온도가 높아지면 팽창하고
    낮아지면 수축하는데
    팽창시켜서 세제를 쓰고
    수축시켜서 헹구면
    잔여세제가 남아있을것 같은 불안감이 드는데요.

  • 2. 맞아요
    '12.2.21 12:56 PM (123.213.xxx.31)

    물조금끓여 설거지하니 온수트는거보다
    훨나았어요
    스맛폰쓰니 글쓰기답답해요

  • 3. ..
    '12.2.21 1:00 PM (58.239.xxx.82)

    물에 녹물방지제 들어간다고 온수로 그릇닦지말란 글을 보고 나니 찝찝해서 물끓여서 닦아요
    볼에 끓인물넣고 세제 한방울만 넣어도 충분히 깨끗하게 닦여요. 그냥 흐르는물에 하면 다섯번은 펌핑하는데 그것만해도 세제가 덜들어가서 좋은듯

  • 4. 윗님
    '12.2.21 1:00 PM (119.192.xxx.98)

    제가 사용해본 바로는 그럴정도로 그릇이 민감하고 약하다고는 생각이 잘 안들어서요.
    직접 한번 해보세요.
    오히려 40~50도 정도의 온수에 하는것보다 세제가 더 잘풀리고
    헹굴때 훨씬 뽀드득해요. 속이 시원하던걸요.
    이게 생각하는거랑 실제로 해보는거랑 달라요.
    찜찜하시면 하시던대로 하시면 되죠. 뭐.^^

  • 5. 저희 어머니도
    '12.2.21 1:05 PM (211.223.xxx.95)

    기름진 그릇 있으면 다른 그릇에 물을 끓여서 그물로 다른 그릇도 씻더라고요.
    기존에 양은 그릇 가벼운 거 있으면 거기다 물 끓이면 금방 뜨거워지고 가벼워서 좋아요.
    일단 세제도 잘 풀리고 다른 그릇에 적당히 뜨거운 물 부어서 불린 다음에
    씻으면 거품도 잘 나고 바로 찬물에 헹궈도 뽀득거리더군요.
    저도 보일러 따듯한 물은 되도록 먹는 그릇에 사용 하지 말라는 글을 예전에 봤기 때문에
    설사 처음엔 쓰더라도 마지막 헹굴 땐 찬물로 헹굽니다.

  • 6. 슈맘
    '12.2.21 1:17 PM (1.226.xxx.186)

    살림 돋보기에 네오님 께서도 알려준 방법이지요 ^^
    저두 늘 찬물로 설거지 했었는데 네오님께 얼마나 감사한지
    덕분에 손도 고와지고요 ^^
    매식사때마다 국 냄비나 편수에 물 받아서 가스렌지에 올려 놓고 식사후 뒷정리 하고 고무장갑 낄때쯤이면 물이 데워져 있어요 면장갑 끼고 하니까 더 손이보호 되는 기분이구요
    손도 따듯하고 세제 거품도 잘 일어나고 그릇도 더 깨끗하게 닦이는듯 하구요
    헹굴때도 찬물에 하니까 더 뽀드득한 기분이있긴 해요
    아무튼요
    네오님 소중한 정보로 설거지 하는 시간 즐거워졌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4325 주5일 수업을 하니 평일에 아이 수업부담이 늘어나는 것 같아요... 8 ㄷㄷ 2012/02/22 1,828
74324 FTA 발효일 발표 2012년 03월 15일 0시 FTA 2012/02/22 869
74323 봉주6회...넘 짜증나요!!! 7 ㅇㅇㅇ 2012/02/22 2,475
74322 시어버터 어느단계에서 발라야 하나요? 1 항상피곤해 2012/02/22 1,814
74321 존 박 신곡 나왔어요 !!^^ 4 좐러브러브 2012/02/22 1,376
74320 아이패드1 업그레이드.. 2 미루기 2012/02/22 2,037
74319 콜레스테롤 수치가 너무 높다네요 8 새봄 2012/02/22 3,052
74318 침대없이 바닥생활하시는 분들, 요이불 세트 얼마만에 새걸로 바꾸.. 4 침대싫어.... 2012/02/22 5,760
74317 영어 이름 줄여서 말하는거, 왜 그런거고 어떤것들이 있나요??.. 11 영어 이름 2012/02/22 2,837
74316 명품 아울렛과 필웨이.. 1 ... 2012/02/22 1,835
74315 어그부츠 세탁 내구성 질문 2 ... 2012/02/22 1,410
74314 냄비에 물 데워서 설겆이하는거요.. 8 창피하지만... 2012/02/22 2,234
74313 맞벌인데, 아이 방과후 친정엄마께 맡기는게 최고일까요? 5 지혜 2012/02/22 1,794
74312 국시(國詩) 바람돌돌이 2012/02/22 1,091
74311 소득공제 시댁에 얼마 드려야 할까요? 23 연말정산 2012/02/22 2,894
74310 인천상수도 국내 최대 태양광 발전설비 구축 참맛 2012/02/22 1,085
74309 남편감 고를 때 외모는 안 봐도 되는거 맞죠? ㅠㅠ 63 못난이 2012/02/22 11,857
74308 시어머니께 받은 상처때문에... 4 로즈 2012/02/22 2,157
74307 봉주 6회 빠른 주소 3 밝은태양 2012/02/22 1,532
74306 봉주 6회 몇 시간 짜리인가요? 1 궁금 2012/02/22 1,258
74305 <대구>저녁에 퀼트 배울 수 있는곳 알려주세요^^* 대구아줌 2012/02/22 1,432
74304 [원전]키타 이바라키시 목장, 기형소가 대량으로 태어났다? 2 참맛 2012/02/22 1,865
74303 중고등 입학식에 부모들 안가시나요? 10 검은나비 2012/02/22 2,230
74302 중앙일보 정진홍기자 vs 시사인 주진우기자 7 파리82의여.. 2012/02/22 4,866
74301 코트라(한국무역진흥공사)에대해 알고 싶어요. 2 입사 2012/02/22 2,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