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온수 안쓰고도 설거지 충분히 깨끗이 할수 있네요

.... 조회수 : 2,799
작성일 : 2012-02-21 12:51:47
엄마가 설거지 하실때 물을 끓여서 하시는거 보고 그냥 온수 틀어 쓰면 되지 
왜 물을 끓여서 하느냐고 했는데 
물 끓여서 하니 온수 안써도 설거지가 더 손쉽고 깨끗하게 잘되네요. 
전 세제를 계속 펌핑해서 설거지를 하지 않고 작은 볼같은곳에 세제를 한번 풀어 놓고 
거기다 거품을 내고 수세미를 담가가며 그릇을 닦는데요.
이때 세제를 풀어둔 물을 팔팔 끓여 놓은 물로 사용하면 거품도 더 잘나고 
그릇이 잘 닦여요. 
그리고, 헹굼물을 찬물로 하면 온도차?때문인지 거품이 잘 씻기구요.
그릇이 더 뽀드득한것 같구요. 
물만 좀 끓이면 온수도 절약하고, 세제도 절약하고 그릇도 더 깨끗하고..
여러모로 좋네요. 
좀 신기하기도 해서 알려드려요. 
   


IP : 119.192.xxx.98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2.21 12:55 PM (118.222.xxx.175)

    전 이 설거지방법 좀 불안하네요
    그릇이 거의 대부분 온도가 높아지면 팽창하고
    낮아지면 수축하는데
    팽창시켜서 세제를 쓰고
    수축시켜서 헹구면
    잔여세제가 남아있을것 같은 불안감이 드는데요.

  • 2. 맞아요
    '12.2.21 12:56 PM (123.213.xxx.31)

    물조금끓여 설거지하니 온수트는거보다
    훨나았어요
    스맛폰쓰니 글쓰기답답해요

  • 3. ..
    '12.2.21 1:00 PM (58.239.xxx.82)

    물에 녹물방지제 들어간다고 온수로 그릇닦지말란 글을 보고 나니 찝찝해서 물끓여서 닦아요
    볼에 끓인물넣고 세제 한방울만 넣어도 충분히 깨끗하게 닦여요. 그냥 흐르는물에 하면 다섯번은 펌핑하는데 그것만해도 세제가 덜들어가서 좋은듯

  • 4. 윗님
    '12.2.21 1:00 PM (119.192.xxx.98)

    제가 사용해본 바로는 그럴정도로 그릇이 민감하고 약하다고는 생각이 잘 안들어서요.
    직접 한번 해보세요.
    오히려 40~50도 정도의 온수에 하는것보다 세제가 더 잘풀리고
    헹굴때 훨씬 뽀드득해요. 속이 시원하던걸요.
    이게 생각하는거랑 실제로 해보는거랑 달라요.
    찜찜하시면 하시던대로 하시면 되죠. 뭐.^^

  • 5. 저희 어머니도
    '12.2.21 1:05 PM (211.223.xxx.95)

    기름진 그릇 있으면 다른 그릇에 물을 끓여서 그물로 다른 그릇도 씻더라고요.
    기존에 양은 그릇 가벼운 거 있으면 거기다 물 끓이면 금방 뜨거워지고 가벼워서 좋아요.
    일단 세제도 잘 풀리고 다른 그릇에 적당히 뜨거운 물 부어서 불린 다음에
    씻으면 거품도 잘 나고 바로 찬물에 헹궈도 뽀득거리더군요.
    저도 보일러 따듯한 물은 되도록 먹는 그릇에 사용 하지 말라는 글을 예전에 봤기 때문에
    설사 처음엔 쓰더라도 마지막 헹굴 땐 찬물로 헹굽니다.

  • 6. 슈맘
    '12.2.21 1:17 PM (1.226.xxx.186)

    살림 돋보기에 네오님 께서도 알려준 방법이지요 ^^
    저두 늘 찬물로 설거지 했었는데 네오님께 얼마나 감사한지
    덕분에 손도 고와지고요 ^^
    매식사때마다 국 냄비나 편수에 물 받아서 가스렌지에 올려 놓고 식사후 뒷정리 하고 고무장갑 낄때쯤이면 물이 데워져 있어요 면장갑 끼고 하니까 더 손이보호 되는 기분이구요
    손도 따듯하고 세제 거품도 잘 일어나고 그릇도 더 깨끗하게 닦이는듯 하구요
    헹굴때도 찬물에 하니까 더 뽀드득한 기분이있긴 해요
    아무튼요
    네오님 소중한 정보로 설거지 하는 시간 즐거워졌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803 앱 좀 찾아주세여 3 아이폰 2012/02/26 866
75802 참 허무하네요... 24 .... 2012/02/26 10,773
75801 어떻게 말을 해야 할까요? 2 고민녀 2012/02/26 1,331
75800 아 82님들 가죽의자 냄새 SOS 요 ..ㅠㅠㅠ 5 머리가아파 2012/02/26 2,465
75799 해외로 나가는데 주소지 퇴거신청 어떻게하지요? 3 보람 2012/02/26 1,937
75798 오늘도 남편은 그냥 잡니다. (19금) 45 이름지우고픈.. 2012/02/26 32,321
75797 지방인데 1년새에 2천만원뛴 아파트값... 28 집고민 2012/02/26 4,383
75796 함께 살수 있다고 생각하는걸까? 4 콩가루 2012/02/26 1,969
75795 모리녹스 브랜드 아시는 분 계세요? 1 사까마까 2012/02/26 1,736
75794 관리자님, 최근 많이 읽은 글의 순서는 어떻게 정하나요? 5 궁금한 사람.. 2012/02/26 836
75793 오늘 kbs 주말영화 2 추천 2012/02/26 1,875
75792 거실에 TV없애고 책장 안놓으면 뭘로 허전함을 가리나요? 9 궁금맘 2012/02/26 2,616
75791 김혜수가 출연했던 "꽃피고 새울면"이란 들마 .. 6 궁금이 2012/02/26 3,694
75790 눈 작고 하관 넓고 얼굴 큰 사람은 어떤 안경을 써야 할까요? 1 ... 2012/02/26 5,288
75789 프로젝트 런웨이 코리아를 보면 우승자가 항상 제 예상과 빗나가는.. 4 brams 2012/02/26 1,865
75788 5학년 어린이가 팬티에 변을 묻히는데요(죄송, 비위약한분 패스).. 6 지저분하지만.. 2012/02/26 1,717
75787 내일 회계사1차 보는 친구에게 ㅇㅇ 2012/02/26 915
75786 거제도 여행 코스 3군데만 추천해주세요.. 6 .. 2012/02/26 3,527
75785 상처 잘 받는 성격인데요 편의점 아르바이트 중에 ㅠㅠ 13 ... 2012/02/26 3,899
75784 점점 저렴한 그저 그런 거리로 변하는 인사동 23 못내 아쉬움.. 2012/02/25 8,317
75783 집을 사야할지.. 그냥 전세를 갈지 고민이 너무 되네요 7 집고민 2012/02/25 2,992
75782 생리대 이야기예요 20 저두 2012/02/25 6,480
75781 강기옥 브랜드 가격대가 어느정도 해요? 5 궁금해요 2012/02/25 2,815
75780 통영에 잘방이 없네요 27 여행자 2012/02/25 7,949
75779 로얄 알버트 100주년 커피잔세트 사고싶어요. 9 지름신 2012/02/25 4,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