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옹기그릇은 별로 무섭지 않게 깨지는거 같아요.

숭늉 조회수 : 1,814
작성일 : 2012-02-20 23:05:11

집나와서 자취하는지라 제가 지금 참 단촐한 그릇들로 살고 있어요.

밥그릇 3개 우동기 2개 샐러드볼 하나. 접시도 좀 기다란 직사각 접시 2개..정말 몇개 없네요ㅎ

슬슬 세트를 장만해볼까 싶어서 여기저기 뒤져보다가 전에 옹기 쓸 때가 생각나서 적어봐요.

인터넷으로 전통옹기 파는데서 2인조로 밥그릇 국그릇 접시세트를 사서 쓴 적이 있어요.

저는 그릇엔 별 관심도 없었고..저희 언니가 그런 걸 좋아해서... 사더라구요.

세제쓰면 안된다길래 웬만한건 따뜻한 물에 아크릴 수세미로 씻고, 기름진 걸 먹은 날엔 밀가루 살짝 풀어서 씻고 그랬었어요.

그러다가 한번은 설거지를 하는데, 그릇이 손에서 미끄러지더니 어깨넘어 뒤로 휙 날아가는 거에요.

목덜미를 스치고 지나가 바닥에 쿵.

헐...하고 뒤돌아보는데 두 조각으로 이쁘게도 쪼개져 있네요 -_-;;

작게 깨진 조각들 없이 그냥 두 조각.

날아간 모양새나 깨어진 모양새나...좀... 웃겨서 피식 웃다가..

날아간게 그냥 사기접시였으면 하고 생각하니 모골이 송연해지더라구요.

깨지기도 뾰족하게 깨지고 그렇게 높은데서 떨어졌으니 튀기도 많이 튀었을테고..

접시면 차라리 낫지 글래스락이었으면...헉.

 

옹기는 참으로 안전한 식기였구나...란 생각을 했습니다 -_-

 

근데, 다시 구입하는게 참으로 망설여지는게 말이어요.

요놈들이 안전하긴 한데 이가 잘 나가네요.

구입한지 6정도 지나긴 했지만..집에 가보면 지금 남아있는 그릇은 동그란 반찬기 몇개뿐..밥그릇 국그릇은 오데 간건지..

설거지도, 뚝배기 아니라 그냥 찬기여도 세제 쓰면 안 좋을까요. 바글바글 끓이는 그릇이 아니긴 한데 애매하네요.

요런것만 아니면..왠지 친근한 색상에, 꺼끌한거 같으면서도 맨질맨질한 그릇 느낌은 참 좋은데말이에요.

간단하게 차려도 상차림이 이쁘고..

그릇 많이 놓고 살게 아니라서 고민이네요 ㅎㅎ

 

 

IP : 112.156.xxx.118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빠진 그릇 안쓰는거
    '12.2.20 11:09 PM (122.128.xxx.72)

    유독 우리나라만 특히 예민한거 맞나요?
    옛날부터 우리나라가 그릇만들 좋은 흙도 많아 서민들이 쓸 그릇들이 흔해서 그런가모르겠네요.
    잘은 모르지만 일본을 비롯 외국에선 금가거나 작은 이 빠졌다고 미련없이 그릇을 버리진않는걸로 아는데요...

  • 2. 숭늉
    '12.2.20 11:25 PM (112.156.xxx.118)

    그게, 티가 별로 안나면 그냥 쓰겠는데 옹기가 색이 진한만큼 이가 나가면 속살이 드러나서 눈에 확 띄어요.
    큰 접시는 살짝 나갔어도 아까워서 가지고 있다가 쓰긴 하더라구요.
    저도 상차림 사진 찍을 때 고부분만 살짝 돌려서 찍기도 했었고..
    그래도, 다른 멀쩡한 그릇이 많으니 이빠진 그릇은 손이 안 가겠죠. 그러다보면 이사때 쯤 안 쓰는 그릇에 분류되서 버리게되구요.
    저는 이 잘 나간다 싶으니 사기전에 망설이게 되구요. 알면서 사기엔 좀 고민되지 않겠어요.
    문제는...그래도 이쁘긴 참 이쁘단 말이에요...어흑

  • 3. ..
    '12.2.20 11:31 PM (121.134.xxx.42)

    전 이빠진 그릇 쓰는거 싫어요.
    설겆이 하다 손다쳐요.
    저는 과감히 버리는 편..

  • 4. 쟈크라깡
    '12.2.21 5:30 PM (121.129.xxx.228)

    맞아요.
    해도 없고 다 좋은데 약해서 잘 깨지는게 단점이예요.
    저도 찬기 뚜껑을 2개나 해 먹고 .....
    뚜껑이 없으니 아쉽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4931 득템했어요^^ 모두 얼마일까요? 8 이클립스74.. 2012/02/23 2,338
74930 박원순 시장에 대한 강용석의 비인간적 행태..... 15 분노가 들.. 2012/02/23 2,079
74929 이번달 내역서보니 전기요금이 이해가 안가서요 8 아파트관리비.. 2012/02/23 2,959
74928 한화 주식 거래 정지 글 보고 묻습니다 4 양파 2012/02/23 1,620
74927 롱코트 수선 아무데나 맡겨도 잘 하나요? 3 ... 2012/02/23 1,414
74926 그리움도 습관인 거지요? 5 아마도 2012/02/23 1,741
74925 돈많은 친구들 1 영화보기 2012/02/23 1,788
74924 입주베이비시터를 쓰는데... 일을 할수가 없네요. 이런 방법은 .. 10 아고 2012/02/23 3,072
74923 초록마을 크게 세일하는 달이 언제인가요? ... 2012/02/23 617
74922 그러는게 아니다. 아고 겁나 2012/02/23 632
74921 코엑스 지하에서 바른손 학용품 세일합니다.. 1 바느질하는 .. 2012/02/23 808
74920 소아치과 부정교합 잘보는 선생님 계실까요 2 ㅎㅎ 2012/02/23 1,252
74919 탈모때문에 샴푸 선택에 고민이라면... 2 마리아 2012/02/23 1,324
74918 반지의 아주 작은 큐빅... 빼는 방법 2 궁금 2012/02/23 2,908
74917 자다가 머리 잘 부딪치는 잡고 일어서는 아기 범퍼침대 좋나요? 2 싱고니움 2012/02/23 1,779
74916 최근많이읽은글에보니... 1 무슨일? 2012/02/23 786
74915 제과점에서 생도너츠를 찾을 수가 없어요ㅜ 4 생도너츠 2012/02/23 1,686
74914 MB는 정연주사장님을 과연 복직시킬까? 2 .. 2012/02/23 899
74913 (생방)선관위,참여연대 선관위 공격 브리핑 사월의눈동자.. 2012/02/23 548
74912 네스프레소 머신 쓰는데요... 8 플뢰르 2012/02/23 1,731
74911 대법 “정연주 KBS사장 해임 취소하라” 확정판결 2 샬랄라 2012/02/23 856
74910 한화 무슨일인가요? 3 재벌에게 무.. 2012/02/23 1,984
74909 아이들 집에서 독서실 책상 효과 좋나요 ? 5 마리아 2012/02/23 2,278
74908 시판되는 라면중 제일 안맵고 순한라면좀 알려주세요 25 .. 2012/02/23 4,729
74907 네살 아이 아무것도 안 시켜요 25 낫띵 2012/02/23 3,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