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비단같은 원단은 다른 나라에선 안쓰나요?

궁금 조회수 : 1,453
작성일 : 2012-02-16 13:30:30
좀 궁그만게 있는데요.
우리나라 한복을 보면 한복에 쓰이는 원단이 있잖아요.
여름은 모시.
봄,가을은  ..??
겨울은  비단?  공단?

뭐 이런 원단이 많잖아요.

이런 원단이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옷에 많이 쓰여지는 걸로 아는데
이런 나라 말고
다른 나라는 저런 원단의 의류를 아예 안입는 건가요?

보면 저런 원단의 옷을 입는 걸 잘 못본 거 같아서요.
원래 저런 원단을 잘 안쓰는 것인지
저런 원단의 의류를 잘 안입는 것인지.

생뚱맞지만  그게 궁금했어요.^^;
IP : 112.168.xxx.6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2.16 1:33 PM (220.255.xxx.34)

    쓰죠. 비단이 실크잖아요. 중국에 실크로드가 괜히 있겠어요^^

  • 2. 아돌
    '12.2.16 1:36 PM (116.37.xxx.214)

    원래 실크 자체가 동양에서 건너간거지만 서양에서도 입어요.
    비싼데 신축성이 없고 화학섬유들이 워낙 잘 나오기 때문에 요새는 소비량이 더 줄었겠지만
    주변의 멋쟁이 할머니들 말씀 들어보면 50년 전에도 일부러 프랑스까지 가셔서
    실크 블라우스 맞춰 입으셨대요.

  • 3. 00
    '12.2.16 1:44 PM (115.138.xxx.28)

    실크 린넨(마+면)..중상 브랜드에서 지금도 많이 쓰이는 소재에요..
    겨울코트..캐시미어나 모직100%
    실크블라우스나 치마100%
    리넨 100%..이런 섬유조성표는 거의 고가의 옷들이에요

  • 4. ..
    '12.2.16 2:05 PM (1.225.xxx.105)

    모시나 견같은 소재를 다른 나라에서 안 쓰는가 물으시는거면 아닙니다.
    다른 나라도 다 써요.
    다만 각 나라마다 풍토나 취향이 다르니 옷감을 직조하는 방법이 다른거죠.
    같은 아시아라도 동남아에서 실크를 쓰지만 우리나라 겨울같은 공단, 양당처럼 두껍게 짤리는 없죠?
    실크로 똑같이 두껍게 옷감을 짜도 일본 기모노에 쓰이는 옷감과 한복에 쓰이는 옷감, 중국 전통 복장으로 쓰이는 옷감이 다 문양과 직조방법이 달라요. 그러다보니 각 나라마다 옷감이 다 다른겁니다.

  • 5. ..님
    '12.2.16 2:35 PM (112.168.xxx.63)

    아..그런거군요.
    정말 궁금했어요.
    직조방법에 따라 그렇게나 달라지는 거였군요.^^

    댓글 달아주신 분들 감사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478 이거 정형외과인지 재활의학과인지요ᆢ 2 갈수록더 2012/03/30 1,250
89477 015B와 무한궤도요.. 10 intell.. 2012/03/30 2,303
89476 전 서울대 의대 중퇴입니다... 16 별달별 2012/03/30 18,045
89475 무상보육이 없어지면 ... 2012/03/30 882
89474 길냥이 돌보는데, 이게 금지되었네요,, 8 길냥이 2012/03/30 1,983
89473 입원하러 가요 2 팔랑엄마 2012/03/30 1,010
89472 동물과 말할 수 있는 여자아이가 나오는 만화 2 .. 2012/03/30 1,920
89471 세종시 살기 어떨까요? 3 세종시 2012/03/30 2,067
89470 의사선생님이 손잡아주는거요, 일반적인 건가요? 30 ........ 2012/03/30 12,768
89469 봄비가 여름비처럼 내려요. 천둥치고 2 .. 2012/03/30 1,171
89468 짜장면 먹을때 소스에 흥건히 물생기는것 17 개나리 2012/03/30 21,487
89467 어제 짝 보니까 불여시 한 명 있던데... 12 ..... 2012/03/30 5,208
89466 돈버니까 세상이 달라보이네요... 14 손님 2012/03/30 12,012
89465 매실차를 물대신 먹음 살찔까요?? 5 .. 2012/03/30 2,447
89464 나물 대체할 만한 채소 요리 있으려나... 2 이놈의 나물.. 2012/03/30 1,314
89463 (원글 수정)옆지기가 모르는 내 이중인격.. 6 2012/03/30 2,122
89462 수다공방은 가게가 어디 있나요? 3 ... 2012/03/30 1,342
89461 요미요미 이런조건에서? 4 결정 2012/03/30 1,038
89460 착한 울 아들(고1) 언어땜에 죽고 싶다는데.. 29 님들도와주세.. 2012/03/30 3,595
89459 원자재 펀드 환율햇지 않된다는 뜻이? 1 ㅇㄹㅇㄹ 2012/03/30 1,013
89458 베트남 며누리가 열심히 일하는 이유를 알았다. 2 베트남 2012/03/30 2,714
89457 퀸침대 아이둘이랑 같이자니 자는게 자는것 같지 않네요 2 수면부족 2012/03/30 2,038
89456 박원순시장님은 데체.. 1 。。 2012/03/30 1,735
89455 마음이 공허하고 외로워요 2 바람 2012/03/30 2,019
89454 011 번호로 스마트폰 쓸 수 있는 방법 있나요? 11 ㅇㅇ 2012/03/30 2,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