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9개월 아기, 어린이집에 맡기기 싫어요

워킹맘 조회수 : 5,605
작성일 : 2012-02-14 18:19:02

9개월된 아기를 키우고 있는 워킹맘입니다.

아기는 시어머니께서 봐주고 계세요.

저보다 더 잘 보살펴주셔서 매번 감사하고 또 감사한 마음입니다.

아기 봐주시는 정성에 비하면 정말 아무것도 아니지만 매달 얼마씩 용돈은 드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무래도 친정 어머니가 아니다 보니 마음이 많이 불편합니다.

어깨, 목이 아프시다 하시거나, 다리가 아프시다 하시거나,

혹은 안색이 좀 안 좋으실 때는 죄스런 기분에 눈치 살피게 되구요.

그렇다고 저에게 뭐라 말씀하시진 않지만,, 뵈면 알잖아요.

어머니께 파스 냄새가 나거나 하면 또 많이 죄송스럽습니다.

저보다 더 잘 보살펴주신다는 것이 빈 말이 아닌 게,

저는 밤에 많이 피곤하면 공갈젖꼭지 물려두고 그냥 자버리거든요.

그런데 어머니께서는 찡찡대면 잠시 물려두셨다 또 잠들면 꼭 빼놓으십니다.

그러면 하룻밤에도 몇 번을 깨셔야 하는 지 저는 엄두도 안납니다.

저는 아기 보면서 하루 두 끼 챙겨먹기도 벅찬 데, 어머님은 김치도 담그시고,

가끔 밑반찬도 해서 먹으라고 주시는 데다 또 가끔은 저랑 남편 불러서 밥도 주십니다.

요즘 티비에 0세~만2세까지 무상보육 이야기가 나오잖아요.

이 소식을 듣고는 남편이 하루 몇 시간이라도 맡길까 얘기하더라구요.

혹시 어머님도 그럴 생각 있으신 가 싶어 말씀드렸더니 한번 알아보라 하시는 게 마음은 있으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는 못 보내겠어요. 아니, 보내기가 싫어요.

제 손으로 아이 하나 건사하지도 못하면서 왠 배부른 소리냐 타박하셔도 할 말 없습니다.

그냥 솔직한 제 맘이 그렇습니다. ㅠㅠ

지금도 저나 어머님 없으면 음마~음마~ 하면서 우는 데 어린이집 데려다 놓으면 얼마나 찾을까 싶고,

입이 짧아서 하루종일 이유식이며 분유며 데워서 떠다 먹여야 하는 데 이걸 제대로 챙겨줄까 싶고,

수면교육을 아직 못해서 졸릴 때 투정 장난 아닌데다가 조용한 곳에서 안거나 업어서 재워야 하는 데

어린이집에서 제대로 잘 수 있을 까 싶고,

두 달 차이나는 시조카랑 마주보게 하면 무서워서 울거나 제 품에 파고드는 겁많고 소심한 아긴데

어린이집에서는 얼마나 겁에 질릴까 싶기도 하고...

적으면서 상상하니 또 마음이 아프네요..

티비에서 어린이집에 영유아들 있는 거 나오기만 해도 마음이 아파요. 왜 그런 지 모르겠지만.

어머님께서 안 봐주시면 어린이집에 맡기고 출근해야겠다 생각한 적도 있어요, 아기 낳기 전엔.

그 때는 이런 맘이 들 줄 상상도 못했어요.

아기 보는 게 이렇게 손 많이 가는 거고,

엄마가 한 아이만 온전히 챙기는 것도 이렇게 노력이 필요한 데

어린이집에서 선생님 한 명당 세명의 아이를 어떻게 챙길지 짐작해보는 건 그 흔한 상상, 계획 언저리에 조차 못해봤습니다.

어머님 힘드신 거 생각하면 맡겨야 하는 데, 못 하겠어요.

그냥 어머님께서 봐주시면 좋겠는 데, 어머니 힘드신 거 생각하면 한 두 시간이라도 맡기는 게 대수랴 싶기도 하고.

이런 상황에서 어머님은 어떤 마음이실 지, 전 어떻게 하는 게 좋을 지 좀 가르쳐주시겠어요?

어떤 냉정한 의견도 달게 듣겠습니다.

IP : 58.184.xxx.74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냥
    '12.2.14 6:24 PM (59.15.xxx.229)

    적어도 두돌은 지나야 기관에 맏기는게 그나마 마음이 놓이죠
    어쩔수 없는 상항이라면 맏겨야겠지망 시어머님이 봐주신다면 어머님께 용돈 좀 더 넉넉히 드리고
    두돌까지만 데리고있어주십사 하는게 좋을거 같아요
    저는 두돌터울 세아이의 전업맘입니다
    큰애 작은애 유치원 어린이집 다니는데 막내 20개월인데 요즘은 체력이 딸려서 힘들어요
    그래도 두돌은 지나고 어린이집 보내야겠어서 올봄에 보내겠냐 연락왔는데 미뤘거든요
    20개월짜리도 깜딱지인데...9개월이라면 아직은 할머니 품에 있는게 좋을듯 싶어요
    시어머님이 많이 힘드실거 같으면 주 2-3회 도우미를 부르시는건 어떨런지요
    어머님들 돈 아깝다 말리실지 몰라도요...여러가지 방법을 생각해보세요

  • 2. 깡깡
    '12.2.14 6:29 PM (110.70.xxx.222)

    전 그래서 양가 부모님께 안 맡기고 그냥 아파트 단지 내에서 좋은분 만나서 그분 댁에 맡겼습니다. 부모님께 맡기는 것보다 돈도 더들고, 칼퇴도 해야하고, 저녁내내 애봐야하고, 이유식에 집안일까지 모두 제가...ㅜㅜ 저도 애한테 단체생활 감내하게 하기 싫었고, 부모님과는 사이가 안 좋아서 이 방법밖에 없다 생각하고 아둥바둥 살았죠 뭐. (그래서 애는 하나로 땡입니다 ㅎㅎ)
    단체생활 싫고, 남 못믿는다 생각하면 계속 시어머니께 맡길수밖에 없어요. 그럴거면 시어머님 살림부담 덜고 밤에라도 편히 주무실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셔야 할거에요.

  • 3.
    '12.2.14 6:30 PM (222.117.xxx.39)

    시어머니께서 봐주시면 용돈 좀 더 드리더라도 기관에는 맡기지 않으시는 게 나을 듯 합니다.

    아닌게 아니라 잠시라도 쉴 틈이 필요하시다면 윗분 조언대로 도우미를 들이시는 것도 고려해 보셨음 하고요.

    저도 그 개월수에 어린이집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한참 낯가림 시작할 시기잖아요.

  • 4. ..
    '12.2.14 6:34 PM (125.246.xxx.66)

    복이 많으시네요
    조선족 입주아주머니들 150 줘야 하지만
    그들은 남일 뿐이란 것 아이가 더 잘 압니다.
    부모 앞에서만 기분 맞추지요,
    아무리 잘한다 하드래도 그저 돈 벌러 오는 사람일 뿐이예요
    피가 물보다 진하다는 것입니다.
    입주아줌마 쓴다고 생각하고
    용돈도 드리고 2,3회 파출부도 불러 드리세요
    그게 아이를 위해 그리고 님을 위해 남는 장사입니다.
    그런 시부모님 두신 님이 참 복이십니다.

  • 5. 워킹맘
    '12.2.14 6:36 PM (58.184.xxx.74)

    도우미라 하시면 집안일 도와주시는 분 말씀하시는 거죠?
    그것도 방법이 되겠네요.
    감사합니다.

  • 6. 붕어
    '12.2.14 6:37 PM (120.142.xxx.181)

    9개월은 커녕, 두돌이 지나도 말이 유창하지는 않기 때문에 기관에 맡기기 주저하는 엄마들 많아요. 애가 맞거나 당하고와도 미주알고주알 엄마한테 알려줄수 없으니깐요.
    경제적으로 부담이되셔도 자식일이니 눈 질끈감고 도우미 쓰세요. 전일도우미는 부담스러우니 일주일에 두서번반일도우미라도 불러서 집안청소는 도우미에게 맡기고 아이한테만 신경써주십사 하세요.
    저 아는 분 보니 그래도 며느리월급으로 용돈받는데 허술히 살수없다 하면서 화장실청소부터 아이방청소도 깔끔하게 하시던데 그 시간동안 또 아이는 방치되거든요. 한달에 한 30만원정도 더 지출되겠네요.

  • 7. 알럽커피
    '12.2.14 8:14 PM (112.150.xxx.91)

    어린이집 무료로 바뀌는 바람에 대기자가 많아서 1년씩 기다릴 수도 있어요.
    일단 살짝 알아보신 후 대기자 많다고 설명드리고
    도우미를 알아보시는 게 최대한의 어머님께 성의를 보이는 길인 것 같습니다.

  • 8. dd
    '12.2.14 8:56 PM (123.213.xxx.74)

    집에 도우미를 몇시간 부르세요. 어머님이 대화할 상대라도 있으면 훨씬 나으살거예요.

  • 9. 아파트
    '12.2.14 9:22 PM (192.148.xxx.95)

    동네 아줌마 하루 두시간 정도 부르시고, 어머님 잠깐 낮잠 주무시게끔요.. 혼자 보는 거 많이 힘드실 겁니다..

    그러게 너무 어린 아기는 좀 그렇더라구요. 아이가 육아원? 너무 싫어해서 3살 넘어서 천천히 적응시켰더니 좋으네요. 전 오늘 첨으로 종일 일 갔다 왔는 데 잘 놀고 있었데요. 물론 유치원 반나절 다녀와 반나절은 집에서..

  • 10. 가난한마음
    '12.2.14 11:33 PM (125.187.xxx.170)

    베이비 시터도 불러서 쓰시라 하세요. 어머님이 같이 계셔도 좋고 잠간씩 외출하시라고요_아기보는 일이 힘든게 거기 매인다는 생각에 더 힘들 수 있어요. 젊은 분으로 불러서 시터선생님이 아가랑 놀아주고나면 어머님이 재우거나 먹이는 게 훨씬 수월해집니다. 윗 님들처럼 집안일은 따로 도우미 꼭 부르시고요. 김치담고 하는거 재미나고 신나서 해야 안힘들지 집안일 다 보고 아기보고 그거까지 하면 하면서도 점점 짜증나실거에요. 도우미분 일주일에 세 번만 오셔도 할일이 확 준답니다. 지금 할머니손에서 커야 일년 후 이년후에 어린이집가서 잘 다니죠. 힘내세요!!

  • 11. 아이돌보미서비스
    '12.2.15 9:06 AM (121.100.xxx.62)

    아이돌보미서비스 이용하세요, 저도 친정엄마가 봐주시는데, 일주일에 두세번 불러요, 그럼 외출도 하시고 여가활동도 즐기실수 있어요. 아기보기도 한결 수월하실거구요, 나라에서 하는 제도이니..잘 알아보시구요, 아이돌보미서비스 아니더라도,, 아기봐주는 사람 일주일에 두세번 부르세요, 어머님도 좀 쉬시고 볼일도 보시고해야지 힘이 나시죠.

  • 12. 워킹맘
    '12.2.15 9:28 PM (58.184.xxx.74)

    답변 감사합니다.
    조언해주신대로 도우미도 알아보고 용돈도 더 올려드리고 어머님께 좀 더 봐주십사 부탁드려야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8368 저두 동서 얘기 4 저도 동서 .. 2012/04/17 3,268
98367 이효리가 김제동 스킨쉽도 싫을만큼 못생겼다는거 51 ..... 2012/04/17 14,123
98366 네이버 부동산에 매매가와 융자금이있더라구요 1 딸기파이 2012/04/17 2,381
98365 노무현하면 정몽준이 나쁜놈이죠 4 노빠종식 2012/04/17 1,550
98364 잘 나가는 사람들이 평생 잘나가는건 확실히 아니에요. 5 화무 십일홍.. 2012/04/17 3,093
98363 어린가장,독거노인 돕기란말이 자취를 감춘이유? 2 실종 2012/04/17 1,626
98362 배추를 삶은 것에 밥을 싸서 먹을 때요. 2 먹고싶다 2012/04/17 1,727
98361 도올 김용옥 선생은 지금 어떤 정치적 입장을 보이나요? 7 열공자 2012/04/17 1,727
98360 이효리,정재형의 유앤아이에서.....'짙은' 3 불친절여사 2012/04/17 1,946
98359 공중파에서 김구라 안보게 되어서 속 시원해요 18 어찌되었든 2012/04/17 2,417
98358 아....금융권에 근무하는 신랑의 하소연. 27 루이제린저 2012/04/17 11,255
98357 너무 놀랐어요.;;제발 개 목줄 꼭 해주셨음 해요..ㅠㅠ 2 .. 2012/04/17 1,083
98356 민주주의는 한판의 승부가 아니다 1 샬랄라 2012/04/17 822
98355 황숙자 관련검색어로 5 아이쿠 이런.. 2012/04/17 2,182
98354 이효리 아버지 화나면 밥상 엎었다고 하시네요 34 ... 2012/04/17 15,765
98353 나꼼수가 수사받는 이유는? 2 참맛 2012/04/17 1,477
98352 이효리..심하게 솔직하네요~ㅋㅋㅋ 5 역시 2012/04/17 4,299
98351 아휴 지겨워 노무현,노무현 15 ... 2012/04/17 1,724
98350 안녕하십니까 애국보수 벌레입니다. 1 곱퀴벌레 2012/04/17 1,131
98349 워터픽 어떤가요? 3 바느질하는 .. 2012/04/17 1,525
98348 화 많이 날때 칼 드는것 19 제 주변에 2012/04/17 4,922
98347 나이키 루나 글라이드 구매대행 하면 많이 저렴하게 살수있나요? 2 궁금 2012/04/17 1,303
98346 한국조리사관전문학교를 아시는 분.... 2 조언을..... 2012/04/17 1,232
98345 이효리 힐링캠프 지금보고 있어요. 26 힐링캠프 2012/04/17 5,532
98344 서양여배우들의 우아한 각진 턱-데미무어, 기네스펠트로.... 12 푸른연 2012/04/17 6,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