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대학 새내기. 선배들이 1학년 때는 알바말고 공부만 하라했대요

ㅇㅇ 조회수 : 2,794
작성일 : 2012-02-14 15:01:23

좀 빡센 과에 입학했어요. 이과

선배 블로그를 보면 3일에 3시간 잤다고 하면서 올에이 성적표 인증한 것도 있대요.

적어도 1학년 때는 공부만 해야 할거다. 라고 했대요.

진짜 그래야 할까요?

용돈벌이 초등 영어과외를 하고 있는데 학부모님들은 더 해주기를 바라신대요.

일주일에 한번. 한시간씩 하는데 한 개 정도는 해도 되지 않을까요?

 

 

 

IP : 114.206.xxx.7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2.14 3:05 PM (210.119.xxx.206)

    1학년이면 교양 수업 듣는다고 바쁠테고 기껏해야 수학이나 기초과학 정도 들을거예요.
    요즘 대학생들은 공부와 아르바이트가 바뀐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과외 정도면 크게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 2. noname
    '12.2.14 3:08 PM (58.140.xxx.232)

    어느 과인지 정도는 알려주셔야...

    요즘 학점경쟁이 1학년부터 치열하기는 하죠

  • 3. 아지아지
    '12.2.14 3:15 PM (118.33.xxx.169)

    1학년때보통 학교에서 지정해주는 공통교양많이들어요..
    상위권대학이라면 모두다 그렇습니다.
    전공은 기초 쉬운거 학기당 2~3개정도라 시간많을겁니다^^

    3시간자고 공부했다는 선배.... 이해가 사실안되네요

    1학년때말고 학년올라살수록 모든과목 전공으로 들을수도있구요
    점점힘들어지죠^^ 1학년때는 대학에서도 공통교양 이런걸로 시간표 맞쳐주기때문에
    시간 오히려 많이 남을겁니다. 과외 2개해도 문제없습니다^^

  • 4. 사회성
    '12.2.14 3:17 PM (114.207.xxx.163)

    과외한 개 정도는 괜찮다고 봐요,
    누군가를 가르쳐 보는 경험은 오히려 대인관계지능S.Q 도 높아지고 좋아요. 리더쉽이 별개 아니예요.
    나보다 못한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서 몸도 움직이고 머리도 쓰게 하는 거거든요.
    솔직히 시간만 많으면 다양한 알바에 자신을 노출해 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은데 그게 안 되니 안타깝죠.
    제가 아는 학생은 레지던트인데도 방학 때는 어린이 도서관에서 봉사해요.
    저렇게 여유부릴 시간이 있을까 싶기는 한데, 애들에게 영어책 읽어주는 경험미리 해봤으니,
    아이 생기면 좋은 아빠는 되겠죠.

  • 5. 원글
    '12.2.14 3:21 PM (114.206.xxx.75)

    계열별 모집에 합격했고. 2학년때 과 선정해요.
    공부 못하면 원하는 과 못갈 수 있겠죠.
    그 선배는 몇학년인지 모르겠구요. 시험주간 때 잠 많이 못잤다고 올린 글인가봐요.

  • 6. 공부에는 때가
    '12.2.14 3:30 PM (58.140.xxx.20)

    일주일한번 한시간정도면 별 무리없을것 같아요.
    하지만 공부할때 바짝 공부하는것도 중요해요..
    학생때 돈맛들이고 씀씀이커지면 학업이 재미없어져요.
    갠적으로 집안사정 넉넉하면 알바는 사회경험삼아 하는 선으로 하는게 좋은 것같아요.
    제 친구 중에는 과외로 돈버는 재미에 빠져서 막상 학교공부는 게을리하고
    나중엔 학원강사로 빠지고 유급 계속 당하다 군대간 녀석도 있어요.
    중고딩 시험기간 맞춰서 특강해주다보면 자기 시험공부할 시간이 안난대요.
    동기들은 전부 졸업해서 훨씬 큰 돈을 버는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6145 그래도 전여옥 떨어진게 어디에요.. 15 ... 2012/04/12 1,999
96144 내용은 이겼는데 게임은 졌다... 3 존심 2012/04/12 1,048
96143 자야하는데 잠이오질 않네요 4 불면 2012/04/12 764
96142 판세 읽는 전문가가 없는가요? 6 야당은 2012/04/12 1,178
96141 언제부터 그랬는지 아시는 분? 1 궁금 2012/04/12 806
96140 82쿡 언니들 저는 이만 자러갑니다 5 저는 2012/04/12 920
96139 부재자 투표는 원래 여 성향인가요? 4 궁금한거 2012/04/12 969
96138 뭐가 문제일까요? 5 왼손잡이 2012/04/12 830
96137 새누리 152석...... 아 패닉이네요.. 19 2012/04/12 2,975
96136 다행인거는... 7 그래도 2012/04/12 1,239
96135 참여계도 전멸이네요 1 .. 2012/04/12 893
96134 출구조사 아르바이트 경험자입니다 12 답답 2012/04/12 5,878
96133 헐 강원도는 왜 저런거죠? 18 .. 2012/04/12 1,817
96132 부정선거투표 지금 생방송으로 난리났어요!!!! 8 유이샵 2012/04/12 2,260
96131 경남 김해시갑선거구 민주통합당 민홍철 후보 당선! 5 yawol 2012/04/12 1,305
96130 내일 출근해서 그 인간들 꼴 어찌 보나.. 1 저기 2012/04/12 958
96129 5년동안 다들 살만했나봐요 2 지난 2012/04/12 1,033
96128 진보신당은 정당해산합니다. 45 나거티브 2012/04/12 3,379
96127 기분은 너무 참담하지만..82가 있어서 ...다행입니다.. 9 홍이 2012/04/12 1,114
96126 홍준표는 떨어지지 않았나요? 3 그나마 2012/04/12 1,661
96125 속보 2 9 .. 2012/04/12 2,692
96124 강남을 선관위 1 아비시니안 2012/04/12 1,367
96123 우리나라 정치지역에서는 그나마 서울이 정상인듯.. 2 안녕 2012/04/12 1,038
96122 심상정님이 트윗에 당선감사글 올리셨어요 6 꾸미 2012/04/12 1,864
96121 김형태후보, 제수씨 가족이 걱정되네요. 7 삐끗 2012/04/12 1,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