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국 매일 끓이시나요?

솥뚜껑운전사 조회수 : 2,781
작성일 : 2012-02-09 19:21:33

날이 추운 겨울엔 매일 뜨거운 국에 말아먹으면 아침 먹기도 좋고 해서 매일 국을 끓여요.

그런데 우리 식구들 상큼한 냉이에 콩나물 까지 넣은 냉이국도 아침 한끼 먹을 땐 맛있다 하는데

저녁에 한번 더 이튿날 아침 한번 더주려면 벌써 얼굴이 틀려집니다.

객관적으로 맛이 없어서 그런 것같지는 않아요. 그냥 지겨운 거죠.

아주 좋아하는 미역국 정도만 용서가 되지 매일 다른 국을 끓여 대야 합니다.

컨디션 좋을 땐 괜찮은데 요즘 처럼 몸살로 꼼짝하기 싫을 땐 참 신경쓰이네요.

그렇다고 먹성이 없는 편들은 아닌데...

대신 같은 반찬 몇번 먹는거 너무 싫어하는 편이예요. 물론 좋아하시는 분은 없겠지만.

제 주변엔 국 한솥 끓여놓고 몇일씩 내놓는 집도 있어요.

그 엄마는 국만 많이 있으면 편하다는데..

 

님들은 매일 새 국에 새 반찬하시나요?

요즘 무슨 국을 끓어서 드시는지.

마흔 넘어 하는 고민이 낼 아침 뭔 국을 끓이나 하는 먹거리 고민이라니

오늘 하루 종일 몸이 으슬거려 몸살약을 먹었더니 몸이 더 천근 만근

등짝에 얼음이 들러 붙어 있는 것 같네요.

에고....
IP : 1.227.xxx.83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사태 넣고
    '12.2.9 7:37 PM (118.91.xxx.65)

    무우, 양파, 콩나물, 버섯 등등 넣고 고추가루 넉넉히 푼 소고기 무국...
    지금 그거 하고 있어요

  • 2. 아뇨
    '12.2.9 7:40 PM (121.130.xxx.78)

    저흰 국 없이 밥 잘 먹는 집입니다.
    국이 원래 건강에도 안좋다니 (염분 많고 소화기능에도 안좋고 )
    꼭 갖춰 먹지 않습니다.
    국은 먹고 싶을 때 한솥 끓여서 며칠 두고 먹네요.

  • 3. 식구들이
    '12.2.9 7:41 PM (121.147.xxx.151)

    모두 국물 있는 음식을 좋아해서
    결혼해서 30년은 국이나 찌개를 필수로 끓였는데
    최근 아들아이가 위가 안좋아서 병원에 갔는데
    국물과 밥을 먹으면 소화에 좋지않다고해서
    최근에 국을 자주 안만들어 먹고 있어요.

    제가 자주 끓이는 국은 육개장 배추국 미역국 무국 시금치국 콩나물국이구요

    병원에서 뭐라해도
    요즘처럼 추울때는 일찍 출근하는 식구들
    따끈하게 먹이려고 국을 끓이거나
    떡국 또는 감자 스프 양파 스프 끓여줘요.

    매일 다른 국을 끓여야한다면 정말 힘드시겠네요.

    마흔이면 앞으로 오십 육십에도 매일 다른 국을 끓여야하는 건가요?

    전 적어도 세번은 커녕 국이 바닥을 칠때까지
    식구들이 함께 책임을 지도록 합니다
    국도 너무 적은 양을 끓이면 맛이 없잖아요.

    그리고 아무리 전업이라도 그렇지
    끼니마다 새 반찬에 새 국을 만들어야하다니
    주부가 무슨 최요비요리선생입니까?
    저같으면 식구들 입맛을 바꿔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몸살이 나서 천근 만근 일때는 다른 식구들이
    주부 역할을 하기도 해야죠.

  • 4. 아뇨
    '12.2.9 7:44 PM (59.86.xxx.18)

    매일은 안끓여요. 이틀에 한번 삼일에 한번정도요...국 안끓일땐 그냥 밑반찬에 생선구워먹거나, 아님 김치볶음밥 같은 단품식품먹어요. 국 매일 끓이기는 좀 그렇네요.

  • 5. 식구들이
    '12.2.9 7:44 PM (121.147.xxx.151)

    제가 너무 길게 썼는데..........

    마흔이면 결혼 생활이 짧지도 않으셨을텐데

    앞으로의 결혼 생활 아니 주부 생활이 더 길면 길었지 짧지않다는 걸 생각하시며

    이번 몸살을 기회로 날마다 끼니 챙겨주는 것만도 감사할 줄 알도록 해보세요.

  • 6. 식구들이
    '12.2.9 7:46 PM (1.227.xxx.83)

    님 말씀이 구구절절 옳소~
    아직 애들이 초등 저학년으로 어리다 보니 고 녀석들 비위맞추고
    매일 야근하는 남편 비위맞추다 보니 속없는 아줌마 됐네요. 애고 ~

  • 7. ㅇㅇㅇㅇ
    '12.2.9 8:08 PM (118.220.xxx.113)

    국은 다른 요리들에 비해 다시 끓여도 맛있는 편이니까 두 세가지 끓여서 돌려가며 줍니다.
    예를 들어 소고기 육수를 만들면 소고기 무국, 선지 배추 된장국, 미역국 등으로
    콩나물 육수를 만들면 김치 콩나물국, 황태 콩나물국, 콩나물 멸치 된장국 등으로

    그러면 안질려 하고 잘 먹더라구요.

  • 8. ㅎㅎ
    '12.2.9 8:31 PM (58.141.xxx.145)

    육수만 만들어놓고 냉장고에 얼려 넣으면 국 다른거 끓이기 어렵지 않아요

    그때 그때 육수에 메뉴만 추가하면 되는데요

    일주일에 한 번 육수만 왕창 만들어 저장해놓으세요

  • 9. 국...
    '12.2.9 9:07 PM (123.111.xxx.244)

    전 제가 국을 좋아해서 항상 준비하는 편인데요,
    대신 매끼 새로 끓이진 않고 한번에 두 세끼 분량 끓여요.
    다행히 남편과 애들 모두 아무말 않고 잘 먹어주거든요.
    미역국, 된장국 여러종류(시금치국, 시래기국, 근대국 등등) 번갈아서, 오징어국, 콩나물국,
    김치국(멸치넣고 끓인 걸 아주 좋아해요), 소고기무국, 황태국 등등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4925 (추천 부탁)전기 밥솥의 왕중왕은 뭔가요? 4 maya 2012/03/19 1,566
84924 중딩1학년 rcy 2 어떨까요 2012/03/19 1,274
84923 핸드폰 사은품중에 뭘 선택해야 잘 선택했다고 할수 있을까요? 7 답글절실 2012/03/19 1,336
84922 결혼 해야 하는 이유... 8 명란젓코난 2012/03/19 1,900
84921 동생아기 토요일만 봐주는데요~ 18 얼마가 적당.. 2012/03/19 3,340
84920 트윗하시는분 presidentYSkim 이분 ㅋㅋ 7 ㄴㄴㄴ 2012/03/19 1,160
84919 남편이 갑자기 라식하고 싶다네요 어디가 잘 하나요?? 서울 3 라식 2012/03/19 1,451
84918 어제 친정갔더니 엄마가, 오래 서있으면 무릎이 아프시다고.. 2 어떻함좋을까.. 2012/03/19 1,734
84917 그런데 유시민은 왜 경선참여 안한건가요 11 .. 2012/03/19 1,951
84916 방콕 여행 질문이요 4 보드천사 2012/03/19 1,101
84915 걸스카우트 문의합니다 2 초등6년 2012/03/19 995
84914 단독]김보연-전노민 부부, 결혼 8년만에 이혼 41 밝은태양 2012/03/19 24,139
84913 애 머리에 머릿니가 생겼어요.. 경험 있으신분 좀 알려주세요.... 19 ㅜㅜ 2012/03/19 25,637
84912 들깨가루 가 너무많아 19 들깨 2012/03/19 2,953
84911 회원 장터에서 파는 반찬들 어떤가요? 5 .... 2012/03/19 1,593
84910 언니 결혼식에 결혼한 여동생이 한복을 입어도 되나요? 6 오호라 2012/03/19 4,294
84909 다락방 교회(?)가 나쁜건가요? 5 교회 2012/03/19 5,727
84908 고추장에 조기를 묻었어요 짝퉁주부 2012/03/19 1,106
84907 서울 - 랍스터 레스토랑 ... 2012/03/19 1,103
84906 제발 노처녀들 좀 내버려두세요. 17 두분이 그리.. 2012/03/19 3,137
84905 무릎연골 병원 추천 좀! 3 카페인 2012/03/19 2,811
84904 저녁이라는걸 제대로 먹어본지..십년은 넘은거 같아요... 2 봄이오네.... 2012/03/19 2,223
84903 캐시미어 100프로니트..원래 관리하기가 어렵나요? 1 한숨이.. 2012/03/19 2,090
84902 어제 8살10살 딸데리구 음식점에서 쫓겨났어요 71 속상 2012/03/19 15,297
84901 장터에 신발은 쫌 12 상식 2012/03/19 2,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