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문에 지잡대라는 글 보다가,,,,,,,,,,

인서울 조회수 : 1,755
작성일 : 2012-02-07 16:16:14

제가 외국 생활이 길어서 잘 몰라 질문드리는데요.

옛날 아마 80년대 초반 이전에는 지방에서 서울대를 못가면 지방 국립대 가는 경향이 주였었죠 (경제적인 면때문에)

그러다가 80년대 후반 부터 서울 몇몇 사립대까지 지방출신이 확대되고,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요즈음 '인서울'이라는 말의 의미를 잘 모르겠어요..

위에 언급한 옜날에는 없던 말인데, 요즈음은 많이 나오드라구요,

제가 궁금한 것은,

'인서울'이라는 것이 즉 서울에 있는 대학 출신이라는 것이, 상징적인 의미말고, 실질적인 이득이 있는 걸까요?

예를 들면, 전공이나 대학 특정하지 않고, 서울에 있는 대학과 지방에 있는 대학을 비교할 때 일반적으로 서울이 낫다 이런분위기로 이해되는데, 실질적으로 무슨 득이 있는지 모르겠어요.

IP : 217.165.xxx.134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2.7 4:27 PM (211.237.xxx.51)

    다 그런건 아니지만 요즈음은 일단 서울안에 있는 대학을 우선순위로 가는 추세다 보니
    일반적으로 상위 10% 까지 서울안에 있는 대학(in서울)에 간다고 보는거고요...
    예를 들어 이런 고민이 가능한거죠..
    서울에 있는 중간수준대학 그저그런과 vs 지방에 있는 별로 안좋은 대학 좋은과(예를들어
    취업이 보장되는 간호학과?)
    그런데 아이가 지방대 간호학과 가고싶어한다..
    이러면 반정도씩 갈리죠... 그래도 in 서울인데 아깝다 하고
    아무리 인서울이라도 그저그런과 나와서 취업못하느니 지방이라도 간호학과 잘가는거다로요..

  • 2. 원글
    '12.2.7 4:38 PM (217.165.xxx.134)

    그러니까 인서울 대학이 취업시에 더 좋게 평가되는 모양이군요,,
    전 참 생소합니다. 그 인서울이라는 용어가..

  • 3. ...
    '12.2.7 11:26 PM (119.201.xxx.192)

    인서울이란 용어가 생긴건 서울에 살면서도 서울에 있는 대학을 못가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생긴겁니다.
    지방에 사는 사람이 인서울 못해 안달하는게 아니라
    서울에 살면서 서울내에 있는 대학에 갈 곳이 없어 지방으로 가야하는 사정이 생겨버린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1486 밑에'조선족의 아버지 노무현...' 1 밑에 읽지 .. 2012/04/24 910
101485 조선족의 아버지 노무현 9 부엉이바위청.. 2012/04/24 2,100
101484 반값등록금 누구의? 누구를 위한? 누구에 의한? 도대체 왜? 2 safi 2012/04/24 861
101483 후유장해진단서 문의 도와주세요... 2012/04/24 1,684
101482 보라돌이맘님 장아찌 대박이네요. 22 키톡은 아니.. 2012/04/24 8,138
101481 '나경원vs나꼼수' 고발전 무승부로 1 세우실 2012/04/24 1,012
101480 대학생은 알아서 하도록 내버려 두시나요? 14 부모맘 2012/04/24 2,277
101479 딸기쨈 1킬로 만들려면 몇킬로의 딸기가 필요할까요? 7 선물 2012/04/24 1,937
101478 근로자의 날 중학생들 학교에 가나요? 9 고뤠 2012/04/24 3,342
101477 검색중 원치않는사이트로 납치되는거요 1 토실토실몽 2012/04/24 944
101476 한경*스팀다리미 어떤가요? 4 다리미 2012/04/24 1,857
101475 생일선물 뉴 아이패드.... 5 자랑이요.... 2012/04/24 1,013
101474 시간별로 피아노 소리 들리는 것과 한꺼번에 들리는 것, 어느 편.. 6 여러분같으시.. 2012/04/24 773
101473 운동장 김여사, 천하의 인간말종 47 ㅜㅡ 2012/04/24 12,992
101472 부동산이고 주식이고 폭락이 오긴 올까요? 7 ... 2012/04/24 3,429
101471 금융 상품 가입할 때 제 3자 정보 제공 동의 꼭 해야 하나요?.. 3 크리스티 2012/04/24 635
101470 가사도우미 토요일이나 일요일에 부를 수도 있나요? 1 일주일에 한.. 2012/04/24 1,721
101469 차이가 클까요? 차이 2012/04/24 641
101468 침대 없는 아이방 이불은? 2 좁은방 2012/04/24 2,558
101467 외롭다 1 2012/04/24 982
101466 흉터제거 연고를 긁은흉에 발라도 되나요? 4 ... 2012/04/24 3,148
101465 추석연휴 비행기 대기 안 빠지겠죠? 1 .. 2012/04/24 1,051
101464 전철타면 눈이 이상해요, 2 .. 2012/04/24 1,052
101463 23일로 부터 3일 내에.... soso 2012/04/24 903
101462 [탁샘 트윗] 오버 더 레인보우 2 우리는 2012/04/24 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