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연말정산 환급 많이 받는법..?

마우스 조회수 : 2,908
작성일 : 2012-02-07 15:56:20
안녕하세요.

저희는 맞벌이 부부고, 연봉이 제가 7900 + 와이프 6500 정도 됩니다.
보험은 자동차 보험과 운전자 보험밖에 든것이 없구요. 대출 없고 전세3억 짜리 빌라 삽니다.
애는 아직 없고..(올 3월 출산예정). 지출액은 제가 올해 600 , 와이프가 1200정도 썼네요.

작년에도 환급은 커녕 토해내기만 했는데..
저희같은 경우는 환급받을 방법은 없는건가요?
IP : 27.1.xxx.162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클로버
    '12.2.7 3:57 PM (121.129.xxx.210)

    네....... 없어 보이네요 ㅎㅎ;;

  • 2. 라플란드
    '12.2.7 4:00 PM (211.54.xxx.146)

    공제가 가장큰부분이 인적공제거든요..
    가족들 양가부모님 형제자매 중..소득없으신분 올리는게 젤좋은데.
    부모님들은 다 공제가 안되시나봐요? 그외에는 별다른게없어요.
    카드..현금영수증..의료비 교육비 안경구입비 주택자금대출..연금 ..이런거에요..

  • 3. 미르
    '12.2.7 4:01 PM (121.162.xxx.111)

    환급되기는 어려울 듯....
    부모님(남편, 아내) 4분다 등재할 수 있다면...아니 2분정도라도 올릴수 있으면
    환급이 되겠지만....

  • 4. 은현이
    '12.2.7 4:02 PM (124.54.xxx.12)

    양쪽 부모님 연세가 있으신 분이 계시면 올리면
    조금이라도 도움 받을수는 있겠네요.

  • 5. 미르
    '12.2.7 4:03 PM (121.162.xxx.111)

    내년에 2012년도는 아이가 출산하므로 엄마는 환급을 받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 6. 저희는
    '12.2.7 4:12 PM (58.76.xxx.59)

    부모님까지 부양가족들 많은데도 매해 토해냅니다.
    그냥 내가 소득대비 소비가 적었거니...알뜰하게 살았거니...생각하고 맙니다.

    하지만, 주변에 우리보다 더 안 쓰고 사는 집도 얼마를 돌려받았네 하면 조금 억울한 마음은 있어요.
    그래도 연말정산 그거 얼마 돌려받겠다고 연금저축 같은 거 무리해서 들고 이런 우를 범하진 않습니다.

  • 7. 태극브이
    '12.2.7 4:16 PM (112.216.xxx.122)

    결정세액 보다 많이 납부하였으면 많이 환급받습니다.
    정산금액 = 기납부세액 - 결정세액
    결정세액을 낮출려면 과표를 낮추시면 되며, 소득공제를 많이 받으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연말정산은 받을 돈 미리 내 놓은 것입니다.
    대출없고, 지출도 적으니, 기부도 하시고, 연금저축도 들면 환급율이 높아지겠네요.

  • 8. 환급
    '12.2.7 4:35 PM (203.232.xxx.53)

    연말정산해서 환급 받는 경우는
    근본적으로 매월 내는 세액의 합이 연말정산해서 결정된 세액보다 많기 때문입니다.
    즉 토해 낸다는 얘기는 평소 월급 받으며 원천징수하는 세액이 적다는 의미도 되죠.
    연말 정산 환급액은 절대로 공돈이 아니고, 공돈 같은 기분이 들 뿐인 겁니다.

    실제로 환급액으로 집에 모르게 비상금 챙긴다고 매월 세액을 일부러 많이 떼달라는 요청이 있기도 합니다.

  • 9. ..
    '12.2.7 4:39 PM (203.226.xxx.129)

    장기마련저축(남편분) 드셨으면 (요즘은 가입가능한지모르겠어요)
    나이가 많으시면 연금저축(이것도 나중에 연금으로 받을때 수입에따라 세금을 떼서.. 좋은 판단인지 모르겠어요
    그래도 수입이많으니 드시는것도 ,,,)
    그래야 그나마 많이 공제가 되더라고요
    기부금이 큰데..환급 얼마 받자고 아무데나 기부할 수도 없고 아이가 태어나고 어린이집 다니고해야 덜 토해내실 것 같내요

    저흰 인적공제가 (경로우대 2명,아이둘) 많은데도 토해냈어요
    교육비공제도 있는데도 그러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8472 전세 얻으실 분들 중에 피아노 치는 자녀분 있으신 분 전세대란 2012/02/07 1,064
68471 시누 행동이 불편합니다. 72 2012/02/07 13,948
68470 우리가 나꼼수에게 여성이란 이름으로 인격 폭력을 가하고 있는건 .. 66 캡슐 2012/02/07 3,009
68469 사회생활을 하고나니 부부클리닉에서 봐왔던 일들이 진짜 생기네요 6 사회 2012/02/07 2,808
68468 통일 될까요? 8 마크 2012/02/07 1,047
68467 월세가 밀린사람 내보내고 ...새로운사람을 들일경우 복비는 어.. 1 첨이라.. 2012/02/07 1,298
68466 관리자님~~~~^^ㅎ 쪽지가 왔을때 소리가 났음 좋겠어요 ^^.. 5 쪽지 도착신.. 2012/02/07 601
68465 세상에 공짜가 어디있냐? 군말말고 「병역세」나 거둬라! 1 세마 2012/02/07 1,063
68464 십 오년 쯤 된 아파트 비디오폰 수리 1 비디오폰수리.. 2012/02/07 4,721
68463 초3 남자아이 수학학습. 선배맘님들 조언 좀 주세요. 3 알려주세요 2012/02/07 1,034
68462 급>>18개월 아기..벤토린&풀미코트 사용법 .. 4 ... 2012/02/07 8,848
68461 만 13세라면 몇년도 몇 월 생 까지 인가요? 2 수에약해서 2012/02/07 668
68460 궁금해요 예중얘기가 나와서요 9 andyqu.. 2012/02/07 2,953
68459 이사가는데 옷장 선택 부탁드려요... 1 옷장고민 2012/02/07 639
68458 맛있는 찰떡집 추천해주세요 1 .. 2012/02/07 701
68457 오늘같은 날 스타킹에 보통 구두 신으시는 분들,진짜 능력자..!.. 4 발이꽁꽁꽁 2012/02/07 1,629
68456 비염에 커피 안좋나요? 언니 2012/02/07 933
68455 항암치료 7 도와주세요 2012/02/07 1,449
68454 전기밥솥에 (밥하면서 동시에)계란찌는거 하고싶은데요 3 찐계란 2012/02/07 1,393
68453 유모차 없이 아이 키우기...가능할까요? 19 5층 새댁 2012/02/07 2,924
68452 지금 19금이라며 올라오는 글들 삭제해주세요. ... 2012/02/07 1,117
68451 티맵 쓰는 분들 궁금한게 있어요. 티맵말이져... 2012/02/07 840
68450 아이폰 4gs 지금 바꾸면 후회될까요? 2 아이 폰 2012/02/07 946
68449 중학교수준인 아줌마...영어공부 할수 있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17 대학원 2012/02/07 3,267
68448 제2외국어 선택과목 뭘 해야 할까요...? 3 .....?.. 2012/02/07 1,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