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연말정산 환급 많이 받는법..?

마우스 조회수 : 2,997
작성일 : 2012-02-07 15:56:20
안녕하세요.

저희는 맞벌이 부부고, 연봉이 제가 7900 + 와이프 6500 정도 됩니다.
보험은 자동차 보험과 운전자 보험밖에 든것이 없구요. 대출 없고 전세3억 짜리 빌라 삽니다.
애는 아직 없고..(올 3월 출산예정). 지출액은 제가 올해 600 , 와이프가 1200정도 썼네요.

작년에도 환급은 커녕 토해내기만 했는데..
저희같은 경우는 환급받을 방법은 없는건가요?
IP : 27.1.xxx.162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클로버
    '12.2.7 3:57 PM (121.129.xxx.210)

    네....... 없어 보이네요 ㅎㅎ;;

  • 2. 라플란드
    '12.2.7 4:00 PM (211.54.xxx.146)

    공제가 가장큰부분이 인적공제거든요..
    가족들 양가부모님 형제자매 중..소득없으신분 올리는게 젤좋은데.
    부모님들은 다 공제가 안되시나봐요? 그외에는 별다른게없어요.
    카드..현금영수증..의료비 교육비 안경구입비 주택자금대출..연금 ..이런거에요..

  • 3. 미르
    '12.2.7 4:01 PM (121.162.xxx.111)

    환급되기는 어려울 듯....
    부모님(남편, 아내) 4분다 등재할 수 있다면...아니 2분정도라도 올릴수 있으면
    환급이 되겠지만....

  • 4. 은현이
    '12.2.7 4:02 PM (124.54.xxx.12)

    양쪽 부모님 연세가 있으신 분이 계시면 올리면
    조금이라도 도움 받을수는 있겠네요.

  • 5. 미르
    '12.2.7 4:03 PM (121.162.xxx.111)

    내년에 2012년도는 아이가 출산하므로 엄마는 환급을 받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 6. 저희는
    '12.2.7 4:12 PM (58.76.xxx.59)

    부모님까지 부양가족들 많은데도 매해 토해냅니다.
    그냥 내가 소득대비 소비가 적었거니...알뜰하게 살았거니...생각하고 맙니다.

    하지만, 주변에 우리보다 더 안 쓰고 사는 집도 얼마를 돌려받았네 하면 조금 억울한 마음은 있어요.
    그래도 연말정산 그거 얼마 돌려받겠다고 연금저축 같은 거 무리해서 들고 이런 우를 범하진 않습니다.

  • 7. 태극브이
    '12.2.7 4:16 PM (112.216.xxx.122)

    결정세액 보다 많이 납부하였으면 많이 환급받습니다.
    정산금액 = 기납부세액 - 결정세액
    결정세액을 낮출려면 과표를 낮추시면 되며, 소득공제를 많이 받으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연말정산은 받을 돈 미리 내 놓은 것입니다.
    대출없고, 지출도 적으니, 기부도 하시고, 연금저축도 들면 환급율이 높아지겠네요.

  • 8. 환급
    '12.2.7 4:35 PM (203.232.xxx.53)

    연말정산해서 환급 받는 경우는
    근본적으로 매월 내는 세액의 합이 연말정산해서 결정된 세액보다 많기 때문입니다.
    즉 토해 낸다는 얘기는 평소 월급 받으며 원천징수하는 세액이 적다는 의미도 되죠.
    연말 정산 환급액은 절대로 공돈이 아니고, 공돈 같은 기분이 들 뿐인 겁니다.

    실제로 환급액으로 집에 모르게 비상금 챙긴다고 매월 세액을 일부러 많이 떼달라는 요청이 있기도 합니다.

  • 9. ..
    '12.2.7 4:39 PM (203.226.xxx.129)

    장기마련저축(남편분) 드셨으면 (요즘은 가입가능한지모르겠어요)
    나이가 많으시면 연금저축(이것도 나중에 연금으로 받을때 수입에따라 세금을 떼서.. 좋은 판단인지 모르겠어요
    그래도 수입이많으니 드시는것도 ,,,)
    그래야 그나마 많이 공제가 되더라고요
    기부금이 큰데..환급 얼마 받자고 아무데나 기부할 수도 없고 아이가 태어나고 어린이집 다니고해야 덜 토해내실 것 같내요

    저흰 인적공제가 (경로우대 2명,아이둘) 많은데도 토해냈어요
    교육비공제도 있는데도 그러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5100 내일 낮잠 푹~욱~ 자 두세요 10 .. 2012/04/10 1,847
95099 아직도 결정못한 정당투표.어디에 할까요?가 8 크롱크롱 2012/04/10 1,113
95098 가난한 학생이 엄마와 재미있는 하루 보낼 방법 알려주세요 13 .. 2012/04/10 2,779
95097 이번 선거의 하이라이트는요 4 참맛 2012/04/10 1,033
95096 기사/아파트거래 사상최저,5-6년전 가격에 내놔도 안팔려 4 매일경제 2012/04/10 1,616
95095 알바하는데 월급계산 좀 봐주세요 1 알바 2012/04/10 951
95094 얼굴에 흰털한가닥 요건뭘까요 11 얼굴에 2012/04/10 28,014
95093 진보신당 공약중에 예비군 훈련 폐지 3 ㄴㅇㅁㄹ 2012/04/10 865
95092 연신내에도 나꼼수가 떴어요^^ 6 병다리 2012/04/10 1,562
95091 제발 농사좀 짓지마세요..며칠 전 두물머리를 찾아온 양평군공무원.. 18 달쪼이 2012/04/10 3,740
95090 구글닷컴에 이중섭의 황소가 떠있어요! 1 ... 2012/04/10 1,155
95089 KBS, ‘정치 냉소주의’ 부추기는 이유는? 도리돌돌 2012/04/10 769
95088 화정역 근처에 제일 깨끗한 목욕탕 추천 좀요~ 6 ... 2012/04/10 2,814
95087 최근 아마존 비스퀵가루 사보신분 계신가요? 1 .... 2012/04/10 1,011
95086 너무싱싱한생멸치...젖갈담기 조언부탁드려요!!! 2 케리 2012/04/10 1,644
95085 눈뜨고 당하지 맙시다. cocoat.. 2012/04/10 626
95084 선관위의 꼼수??? 6 투표합시다 2012/04/10 1,130
95083 외할머니보다 친할머니를 좋아하는 4살아이. 10 mom 2012/04/10 2,661
95082 고등학교 때 사진 보니 진짜 촌스럽네요 2 아나나 2012/04/10 1,365
95081 선거유세할때, 후보외에는 유세를 할수 없나요? 1 궁금 2012/04/10 563
95080 펌)목격! 조금전에 구리시에 박근혜 떴는데 동원 청중 딱 걸림 .. 26 만년feel.. 2012/04/10 3,549
95079 [필독요망] 투표 요령^^ 불티나 2012/04/10 799
95078 남편와 아기 커플 운동화 좀 추천해주세요. ^^ 2 운동화 2012/04/10 762
95077 19) 솔직히 여자들은.. 3 아르테타 2012/04/10 4,367
95076 정말 열심히 야당 지지글 올리시는 분들께. 43 궁금 2012/04/10 1,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