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홍도(금란교회)는 수구목사로, 나는 종교다원주의자로 졸업한 이야기

썩다른상담소 조회수 : 850
작성일 : 2012-02-07 11:43:05

신학대학 관련 재미난(?) 이야기를 해드릴까요? 그리고 왜 한국교회가 보수적일 수밖에 없는지도 언급할게요.

김홍도 목사와 전 같은 신학대학(감리교신학대학/122년역사) 신학과를 졸업했어요. 아마 두 사람이 신학대학에 들어간 목적은 비슷했을 것 같네요. 예수천국 불신지옥의 독실한 신앙심에 따라 불신자를 교회로 이끄는 목사가 되겠다는 사명감이겠지요. 그런데 한 사람은 13만명 신자를 거느리는 목사가 되었지만, 한 사람은 종교다원주의자(현재는 불교에 더 관심 많음)가 되었지요. 김홍도 목사에게 종교다원주의자는 빨갱이 보다 더 악질적인 사탄일거에요. 그러니 두 사람은 극단의 길로 갈리면서 졸업한 셈이네요.

그런데 재미난 사실이 하나 있어요. 제가 신학대학에서 공부를 제대로 안하고 삐딱선을 타 종교다원주의자가 된 것이 아니란 사실. 오히려 교수님들의 가르침을 잘 소화해서 그에 맞는 길을 잘 걸었다고 자부할 수 있어요. 후후..

1학년 필수과목인 기독교교리 수업에서 교수님이 이런 얘기를 해주었어요. 목사님이 설교시간에 사랑하라고 가르침을 줄 때 아멘으로 답하면 3등 신학생, 어떻게 사랑해야 하지 방법론을 찾으면 2등 신학생, 왜 사랑해야 하지하고 근원을 의심하면 1등 신학생이라고 말씀하셨어요. 농담이 아닌 진담이었고 이 수업시간에 들은 이야기는 저에게 엄청난 충격적인 것들로 제가 그동안 교회에서 들었던 성경이야기, 교리와 전혀 달랐어요. 예를 들어 이런 거죠. 홍해 바다를 가르는 모세의 기적은 사실 갈대밭을 건넌 것이다. 아담과 이브이야기는 신화를 기반으로 한다. 예수의 부활은 초자연적으로 3일 만에 실제 부활한 사건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헐헐...

전 모태신앙이었고 고3 1년 동안 야간자율학습이 끝나면 하루도 빠짐없이 교회 가서 기도한 후 집으로 간 아주 독실하면서 보수적인 모범생이었어요. 그랬던 제가 교수님의 가르침에 따라 1등 신학생이 되었고 2학년 무렵 회의주의자가 되었죠. 회의주의자는 자신이 의심한다는 사실을 제외한 모든 것을 의심하지요. 그래서 거의 무신론자가 된 거나 다름없게 되었죠. 그때 괴로운 나날을 보낸 걸로 기억합니다. 교수님의 수업을 같이 들었지만 김홍도 목사처럼 사탄의 시험에 넘어가면 안 된다고 생각했는지 입학하기전의 신앙을 그대로 간직한 채 3등 신학생의 길을 걸었던 학생들도 있었고, 저처럼 아 맞아~ 이것이 진리야 하며 희열을 느꼈지만 결국 내 안의 신념들을 하나씩 걷어내다 거의 남지 않은 밑바닥까지 내려가 버리는 이들로 나뉘어졌지요.

또 하나 재미난 사실은 저같은 지방출신은 학교 기숙사에 대부분 들어가는데 입학 전에 기숙사가 소돔과 고모라(성경속의 타락과 방탕한 도시의 대명사)라는 정보를 듣고 1학기동안 훨씬 비싼 사립기숙사를 들어갔지요. 왜 소돔과 고모라고 불렸냐면 신학대학 기숙사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제재 없이 24시간 개방되고 술과 담배를 아무렇지 않게 하고 선배들로부터 사탄의 유혹을 받아 빨갱이가 된다는 것 때문이에요. 그런데 1등 신학생이 되고 나서 2학기 때 바로 학교기숙사로 들어갔고 전 그들의 문화에 그대로 동화되었지요. 방탕자가 되었고, 무신론자가 되었고, 운동권이 되었지요.

여기까지 읽고 딱 느끼셨나요? 감신대는 일반 신학대학과 달리 학풍으로나 문화적으로나 매우 진보적인 학교였어요. 문익환 목사님의 한신대가 감신대와 비슷한 환경이었지만 한신대는 교단 자체가 진보적인 곳이었고 감신대의 모교단인 감리교는 일반적인 한국교회와 다를 바 없는 보수적인 곳인데도 불구하고 학교는 전혀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아주 의아한 일이지요.

이런 학교문화로 인해 입학하기 전에는 목사님과 같은 신앙으로, 그러나 1학년 때는 장로로, 2학년 때는 권사로, 3학년 때는 집사로, 4학년 때는 평신도로, 졸업할 때는 무신론자가 된다는 우스갯소리도 있었죠.

그런데 우스갯소리와 같은 일이 실제로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일어나지는 않아요. 저와 같이 목사의 길을 포기하고 종교다원주의자가 되는 경우는 소수고 대부분 목사의 길을 가니까요. 다수가 목사의 길을 가는 것은 좋은데 문제는 그들이 학교에서 배운 내용이 교회 현장에 제대로 전해지지 않는다는 거지요. 왜냐하면 학교는 현대성경해석학, 현대철학, 현대물리학을 수용한 21세기 현대신학을 가르치고 있는데 현장인 교회의 신도들은 중세시대의 신앙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니 그 엄청난 시간의 괴리를 좁힐 수 없기 때문이지요. 그것을 그대로 가르치면 당장 이단이라 쫓겨나기 때문에 현실과 타협을 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제가 학교 다니던 시절 종교계에서 파장이 있었던 20세기 종교재판이 있었어요. 피고인은 앞서 언급한 교수님과 총장을 지냈던 교수님이었고, 원고는 바로 김홍도 목사를 대표로 하는 감리교 교단의 교리수호대책위원회라는 곳이지요. 신앙검증 재판으로 두 교수님은 교수직과 목사직을 모두 박탈당했지요. 죄목은 바로 종교다원주의자였기 때문입니다. 교회밖에도 구원이 있다는 말씀을 하셔서 종교다원주의자라는 딱지를 붙여 두 분을 학교에서 교회에서 쫓아냈지요. 두 교수님은 용기있게 자신의 신념을 얘기했고 20세기에도 한국교회가 살 길을 모색한 죄밖에 없었어요. 중세적 신앙으로는 교회가 오히려 사회에 해가 될 수 있는 것을 알고 계신 거죠. 교회밖에도 구원이 있다는 이야기에 김홍도 목사와 같은 삯군들은 자신들 밥그릇을 뺏길 것 같은 두려움에 칼날을 휘두른 것이죠. 그때 학생들과 교단의 대립이 아주 극렬했어요. 참으로 안타까웠던 아니 분노한 사건이었습니다.

두 교수님 같은 분들이 어린 양과 같은 신입생들의 신앙을 무참히 깨는 일을 하셨냐 하면 바로 이것 때문이죠. 네 스스로 소화하지 않는 신념들을 모조리 버리지 않으면 목사가 될 수 없다는 것. 이제껏 고3시절까지의 신앙은 교회에서 목사님이나 선생님들이 가르친 것을 합리적 의심 없이 아멘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에 그건 본인 것이 아닌 즉, 세뇌의 학습에서 비롯된 신앙이라는 것이지요. 그런 신앙은 자발적인 신앙이 아니었기 때문에 쉽게 흔들릴 수 있고 합리적 생각을 하는 현대인들을 전도할 수 없는 길이기 때문이지요. 과학적이며 자발적 의심을 거쳐 밑바닥부터 하나하나 자기화한 신앙을 쌓을 필요를 말하는 거예요.

한국교회 보수화의 근본 이유는 유일신앙과 문자주의적 성경해석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이 이야기는 길기 때문에 나중에 기회되면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소신(학교에서 받은 가르침을 전파하는 것)과 타협(목사직을 유지한다는 것)간의 갈등의 문제는 신학생뿐만 아니라 누구에게나 있겠지요. 시민운동가는 소신만으로도 운동이 가능하지만 정치인이 되어 정당에 들어가게 되면 소신을 누르고 타협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는 것을 목격합니다. 정치적 타협이 불의와 결탁이라는 부정적인 면도 있지만 독불장군에서 벗어난 융통성과 소통이란 긍정적인 면도 있을 것입니다. 소신과 타협의 중용이 필요한데 그것이 어렵죠. 그런데 신학생들은 소신과 타협에서 무게추가 너무 한쪽으로 쏠린 선택을 하고 그로 인해 너무 안타까운 현실을 생산해냅니다. 기독교가 개독교로 불리는 현실 말입니다.

IP : 168.126.xxx.21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나거티브
    '12.2.7 11:54 AM (118.46.xxx.91)

    퍼오신 글인지, 직접 작성하신 글인지 모르겠으나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의심하지 말고 무조건 믿으라는 분위기에 어리나마 진지했던 신앙심에 찬물을 덮어썼던 기억과 겹쳐지네요.

  • 2. 썩다른상담소
    '12.2.7 12:03 PM (168.126.xxx.218)

    나거티브 // 펀글이면 펌이라 씁니다. 제 경험담입니다

  • 3. 뻘플
    '12.2.7 12:06 PM (203.247.xxx.210)

    모태신앙이라는 말
    신비주의에 끈을 대는 오바스러움에 오글오글

    유전자에 텔로미어라도 하나 더 받았?
    엄마가 무당이면 모태신앙?
    아비가 교황이면 부태신앙?
    조케따...풉

  • 4. 썩다른상담소
    '12.2.7 12:15 PM (168.126.xxx.218)

    뻘플 // 모태신앙을 비판할 때 아직 사리분별을 못하는 아이에게 종교를 강요하는 또하나의 폭력이라는 극단적 비난도 있는데... 사실 종교뿐만 아니라 부모의 신념은 자녀에게 투영될 수 밖에 없어요. 자유롭게 사고하는 법을 가르쳐 종교든 어떤 신념이든 자녀가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하는데 부모의 욕심은 그것을 방해할 때가 많지요. 세뇌라는 것 종교에만 있는 게 아니에요. 우리 일상생활 속에 넓게 퍼져있죠.

  • 5. 생각하게 하는 글^^
    '12.2.7 12:54 PM (125.142.xxx.233)

    참신하고 진지한 글, 좋네요.
    저는 초보신자인데 아직 믿음이 너무 얕아요.저에게 언제 제대로 된 믿음이 생길까요...

  • 6. 도라지
    '12.2.7 1:25 PM (123.109.xxx.36)

    감리교신학대학이면 서대문에 있는학교 맞죠?
    그 옆 동명여중 다녔는데.. 80년대초 대학생들 시위(그땐 데모라고 했음) 하면
    조용히 최루탄 때문에 창문 닫고...파란하늘에 대학 종탑(?) 물끄러미 보던 기억이납니다

    감리교나 장로교의 보수화도 보수화지만
    순복음교회 같은 초대형 교회사업들이 정말 특이해요
    전 한겨레 21 김진호의 ' 신들의 사회' 라는 연재물에서
    반공주의와 기독교, 대형교회의 태생에 대해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했는데요
    일관된 보수적인 교리 해석과 현실적용은 차라리 예측가능하니 개인의 가치관과 격차를 좁혀갈수있다지만
    지극히 집단영달에서 출발한 한국대형교회는 종교/기독교라고 할수가 없더군요
    이부분은 어떻게 보시는지요?

  • 7. 낯선사람
    '12.2.10 12:17 PM (116.37.xxx.172)

    이 글은 많은 분들이 읽고 공감하면 좋겠네요.
    잘봤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8084 엑기스류 걸러서 어디 보관하시나요? 2 보관 2012/02/10 620
68083 밥이 너~~무 맛나요 5 미치겠어요 2012/02/10 1,577
68082 방에 두는 옷걸이 추천해 주세요~~ 3 옷걸이 2012/02/10 1,030
68081 팔자주름 테이프 붙일때요... 13 2012/02/10 5,925
68080 키톡에 자스민님이요 2 부야맘 2012/02/10 2,394
68079 서울시장 일본 순방때 묶은 호텔이랍니다. 12 소망2012.. 2012/02/10 2,791
68078 초등 아이들도 화장을 하나봐요 8 해피 2012/02/10 1,078
68077 졸업식때 단상에 올라가 상 받는 아이들 보니까 34 중학교졸업식.. 2012/02/10 11,344
68076 다이어트 중입니다. 쳐진 뱃살 관리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6 로스 2012/02/10 2,184
68075 참 현명하신 우리 시부모님 9 ** 2012/02/10 3,392
68074 외국에 가게 되었는데요, 국제학교와 사립학교 여쭤봅니다.... 3 인도 2012/02/10 1,187
68073 우*비 초등자습서가 문제집인가요? 3 초딩맘 2012/02/10 1,111
68072 컴퓨터가 이상해요(82쿡만오면...) 3 ㅠㅠ 2012/02/10 513
68071 고등학교 수학여행 중국코스 2 .. 2012/02/10 644
68070 초등가는남자아이가방 좀 저렴한데 추천부탁드려요 3 정말 이럴래.. 2012/02/10 589
68069 봉주5회 듣고 충격... 8 나꼼수짱 2012/02/10 3,505
68068 고깃집추천해주세요(안암역, 혜화역 주변) 맛집추천요망.. 2012/02/10 639
68067 달콤함과 매혹의 상징인 초콜릿, 가난과 아동 노예노동의 상징인 .. 착한아이카페.. 2012/02/10 449
68066 얼마전에 이사 잘하신 분들.. 이사업체 추천 좀 해주세요. 5 .. 2012/02/10 1,408
68065 2월 10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1 세우실 2012/02/10 465
68064 [원전]일본의 탈원전 주민투표 동향 2 참맛 2012/02/10 686
68063 한달동안 14k님과 달리 체중변화 하나도 없는 나만의 운동법 6 운동과 체중.. 2012/02/10 1,845
68062 냉동실에 있는 제누아즈 어쩌지요??? 1 현성맘 2012/02/10 566
68061 등교길 사춘기 아들의 모습에 충격받았어요! 56 당황~ 2012/02/10 19,034
68060 한겨레 자극적 제목 : 공지영 연예인 자살 이해 이게 뭐하는 .. 8 산은산물은물.. 2012/02/10 1,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