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독일로 이민을 가는 친구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요.

친구야 조회수 : 2,223
작성일 : 2012-02-07 10:05:58

대학때부터 친하게 지냈던 친구가 갑작스레 이민을 가게 되었네요.

이민을 간다길래 삼성그룹에 다니는 남편이 주재원으로 몇년 다녀오나부다~했더니

사표쓰고 다른 회사로 옮기면서 독일로 간다네요.

지금 큰 아이가 10살, 작은 아이가 6살 되었는데 적어도 고등학교까지는 거기 있을 생각인가봐요.

친구도 원래 별로 없는데 친한 친구가 멀리 간다고 하니 마음이 많이 허전하네요.

 

이민준비하느라 정신없을 친구에게 해외이민하신 분들의 소중한 경험을 통한 이민노하우를 전해주고 싶은데요.

일단...배로 보내는데 적도를 지난다네요. 음식물은 어찌 해야 할까요. 고추장 된장 멸치 등등이요.

그리고 배로 올 짐들이 한두달 걸린다니 그동안 먹고 입고 할 짐들은 어찌 싸는게 좋을지요.

친구는 독일 베를린으로 가는데 그곳에 꼭 가져가야 할 만한 것들은 뭐가 있고..

별로 필요없을 짐은 뭐가 있을까요..

워낙 똑 부러지고 야무진 성격인 친구라 알아서 잘 하겠지만

좀 더 수월하게 준비하면 좋을 거 같아서 글 올립니다.

IP : 218.232.xxx.13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2.7 10:12 AM (175.209.xxx.22)

    전기 장판이요^^

  • 2. ....
    '12.2.7 10:16 AM (50.133.xxx.164)

    건어물이나 김 새우젓 매실액 멸치 혹은 돈이 많이 들테니 돈주면서 잘살라고하는거..

  • 3. 일단
    '12.2.7 10:50 AM (110.15.xxx.248)

    뭘 도와주시려면 이삿짐 싸기 전까지 도와주셔야 하구요
    짐 다보냈는데 선물이라고 뭘 들고가면 민폐입니다...

    거기서 한두달 지내는 기간에 살 곳이 어떤지 정보는 알아야해요
    주방기기 있는 콘도같은데서 사는지
    호텔에서 사는지
    아니면 아무것도 없는 방만 덩그러니 있는 아파트에서 사는지..

    일단 아무것도 없는 아파트라 가정하고
    가서 최장 두 달 동안 살 때 필요한 품목은요
    *밥해먹는 도구-밥솥, 수저, 식기 몇 개, 접시(는 아쉬운대로 멜라민으로라도 무게 줄이구요)
    칼, 후라이팬(중요!!) 감자칼(전 이거 없음 못살아요~) 체(전 이걸 많이 쓰는지 없으면 아쉬워요)
    *식재료 중 현지에서 구할 수 없는 것들-된장, 고추장, 간장(이삿짐으로 일단 부치는 것 빼구요 당장 먹을 것)
    조미김, 카레가루 같이 쉽게 해 먹을 수 있는 식재료, 당장 가서 어디서 뭘사야하는지 모를 지경이면 설탕, 소금 같은 것도 지퍼백에 조금씩 덜어서 챙기면 되구요
    *가서 당장 입어야 하는 옷. 속옷, 세면도구.. 같은 여행용품
    전기장판이 필요할 수도 있겠네요(전 동남아로 가서요..ㅎㅎ)

    저 정도면 일인당 한도가 있어도 챙겨갈 수 있더라구요
    가서 사는 것도 다 돈이고, 내 손에 익은게 더 편할 수도 있으니 챙겨 가는게 낫구요

    이민가방보다는 그냥 마트에 있는 박스 좀 큰걸로 몇개 해서 포장하는게 무게가 덜나가고 나중에 처분하기도 쉬워요.
    그렇게 이민 갈 정도면 주변에 누가 공항버스까지는 태워주지 않겠어요?
    그럼 나머지는 공항카트 이용하면 되니 굳이 바퀴달린 가방 필요 없더라구요
    박스에 넣어서 차곡차곡 쌓으면 돼요

    된장 고추장 같은거 이삿짐센터에서 깡통에 넣어서 잘 포장해주니 상관 없구요
    매실은 터질 가능성 많아서 안돼요(아쉬우면 핸드캐리..)
    건어물 미리 사서 이삿짐에 싸구요(전 슈퍼 쇼핑품목만 거실 한쪽에 가득 쌓아두고 있었어요) 건어물 정도는 습기만 피할 포장이면 잘 배달 됩니다

    그리고 된장은요.. 전 중간에 메주를 사서 부쳐달라고 했어요
    이삿짐에 항아리 하나 넣어가서(유리병으로도 가능해요~) 된장 담아 먹으면 된장 부치는 것보다 편하던데요

    인터넷 폰.. 아주 유용할텐데 그쪽 상황이 어떨지 모르겠네요

    친한 친구가 멀리 떨어지니 힘들겠네요

  • 4. 유럽
    '12.2.7 11:10 AM (110.15.xxx.212)

    독일 옆나라에 살았어요.
    시험삼아 밀봉된 제품 멸치 선편으로 받아봤는데, 곰팡이 피어서 배달되었어요. 건어물은 비행기 탈때 들고 가심이 좋을듯..

    비행기탈때 짐들은 이민가방으로 가져가는게 좋아요. 박스에 포장해서 들고 가면 독일 세관에서 거의 걸려서 박스 풀러봅니다.

    매실액은 발효되어서 터질 가능성 높으니 이삿짐이든 비행기든(기압이 높아져서 위험해요) 안가져가는게 좋아요.

    커가는 아이들 있으니 속옷,양말...사서 가도 좋아요.

    베를린은 워낙 한인들도, 한국수퍼도 많아요. 각 제품들이 유통기한도 있으니 적당히 가져가라하세요.

    외국나가는 친구에게 가장 좋은 선물은.. 정없어 보이지만 현금이죠.유로로 바꿔서 주면 더 고맙구요.

  • 5. 일단 님께 보태서
    '12.2.7 11:44 AM (116.37.xxx.141)

    도착후, 서울서 부친 짐이 도착하기 전에 지내는 곳이 집만 덩그러니라면. 가재도구 특히 부엌살림 필요하잖아요.
    일단님 말씀처럼 멜라닌 같은 가벼운거 추천할께요

    코펠

    저는 아주 요긴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8489 가장 올바른 기도는 어떻게 해야하는걸까요? 14 기도 2012/02/07 1,786
68488 눈치없는 신랑이 한말이 걱정.. 10 눈치 2012/02/07 3,571
68487 82 쿡 힘내세요! 1 예지랑 2012/02/07 845
68486 영통에서는 김포공항 바로가는 버스가 없나요? 3 공항 2012/02/07 3,742
68485 이해 안 가는 것 하나. 3 장터에서 2012/02/07 1,043
68484 제가 이래서 82를 못떠납다 ㅎㅎ 19 산들이 2012/02/07 3,343
68483 졸업식에 꽃다발 추천해주세요^^ 3 졸업이야 2012/02/07 1,077
68482 과일값,딸기가 한 알에 700원꼴 이더라고요, @@ 11 아고 2012/02/07 2,093
68481 KT 웨딩컨벤션서 결혼하시분 계신가요? 1 ^^ 2012/02/07 1,039
68480 보험 관련 아시는 분께 여쭐게요 4 보험궁금 2012/02/07 577
68479 <조선일보> 학교 폭력, ‘게임 죽이기’가 정답? 1 yjsdm 2012/02/07 656
68478 일억오천으론 구할집이 없네요.. 16 2012/02/07 4,110
68477 조선시대 경복궁과 일제에 의해 파괴된 우리의 궁궐 사진.... 6 ㅠㅠ 2012/02/07 2,764
68476 성인남자인데 수염이 거의 안나요. 특이한 경우일까요? 6 궁금 2012/02/07 23,926
68475 종아리 알통 없애는 데 마사지가 효과 있을까요? ㅠㅠ 2012/02/07 1,858
68474 휴롬 망설이는데 싼거 아트론 제품 지금 홈쇼핑방송하는데 어떤가.. 1 주부 2012/02/07 957
68473 서울, 수도권 어린 아기 키우면서 살기 좋은 곳 어디일까요? 9 ?? 2012/02/07 2,820
68472 전세 얻으실 분들 중에 피아노 치는 자녀분 있으신 분 전세대란 2012/02/07 1,057
68471 시누 행동이 불편합니다. 72 2012/02/07 13,937
68470 우리가 나꼼수에게 여성이란 이름으로 인격 폭력을 가하고 있는건 .. 66 캡슐 2012/02/07 2,998
68469 사회생활을 하고나니 부부클리닉에서 봐왔던 일들이 진짜 생기네요 6 사회 2012/02/07 2,793
68468 통일 될까요? 8 마크 2012/02/07 1,039
68467 월세가 밀린사람 내보내고 ...새로운사람을 들일경우 복비는 어.. 1 첨이라.. 2012/02/07 1,280
68466 관리자님~~~~^^ㅎ 쪽지가 왔을때 소리가 났음 좋겠어요 ^^.. 5 쪽지 도착신.. 2012/02/07 597
68465 세상에 공짜가 어디있냐? 군말말고 「병역세」나 거둬라! 1 세마 2012/02/07 1,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