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겨울내내 난방 안하는 방은 보일러관 터지나요?

요즘같이 추운 조회수 : 15,688
작성일 : 2012-02-04 11:07:43

대문에 걸린글 보다가 문뜩 궁금해서요.

저희집 작은방이 외벽쪽에 있다보니 한겨울엔 진짜 너무 추워요.

그래서 그방은 겨울은 아예 문을 닫고 쓰질않거든요.  그래서 보일러밸브도 그방만 늘 잠궈놓구요.

그치만 보일러는 안쓸땐 외출상태로 해놓고 전원을 끄진 않아요.

근데 이런 식으로 해도 보일러 안떼는 방은 관이 터질 위험이 있나요?

사실 그방이 보일러가 잘 되는지 안되는지 확인해본 기억이 없네요..

겨울만 되면 지금까지 쭉 안써왔으니 ㅡ.ㅡ

만약 쭉 안키다가 지금처럼 한파일때 켜면 오히려 더 터질 위험이 높을까요?

추위 좀 풀리고 나서 켜보는게 나을까요?

관 터질까봐 무서워서 확 켜보지도 못하겠어요..좀 알려주세요 ㅠ.ㅠ

 

 

IP : 1.231.xxx.67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얼마전
    '12.2.4 11:08 AM (1.251.xxx.58)

    남편에게 물어봤는데
    방이 터지는게 아니래요. 그러니까 걱정 안하셔도 될듯..

    보일러 기계가 터지나보더라구요(근데 하나라도 난방하면 그런일 없나봐요)

  • 2. ...
    '12.2.4 11:15 AM (116.122.xxx.82)

    제가 상가주택가지고 있을때요..
    보일러에 대해 많이 들었는데요.
    그렇게 사용안할려면 애초에 배관에 있는 물을 다 뺀후에 밸브를 잠궈야 된다고 들었어요.
    바닥에 보일러 배관이 좍 깔려있잖아요. 그안에 물들이 들어 있거든요.
    근데 만약 완전 안돌아가게 해서 겨울에 얼어버리면...배관속 물들이 얼어서 부피가 늘어나고 그러면
    바닥속에 있는 배관이 터진데요.
    이것이 나중에 해동이 되면요.
    방에 자꾸 습기가 차고..물이 생기고 장판밑을 걷었을때 물이 있거나 그 물을 다 말린후 장판을 덮었는데도
    계속 물이 생기면 의심해 봐야된다고 들었어요.
    심하게 터지면 아랫집 천장에 물기가 보인다데요.

    저희 집 2층 비어있을때 보일러 꺼놨다가 배관이 터진적이 있었어요. 정말 추운날이 지나고 좀 따스해졌는데
    보일러실쪽에 물이 ....
    이때 다행히 방바닥이 아니라 보일러실로 나오는 배관이 터져서 대공사는 막었던 기억이 있어요.

    제 경험으로 왠만하면 외출로 해놓고 놔둬요. 한겨울엔..
    방이 터지는게 아니구요. 방바닥에 있는 보일러 배관이 터진다는 겁니다^^

  • 3. ..
    '12.2.4 11:20 AM (112.121.xxx.214)

    난방 계속 안하면 고장날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자세히는 모르지만.
    그래서 아주 추운날은 가끔씩 돌려줏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그리고 일부 방 잠가논다고 난방비가 절약되는것도 아니라대요.
    차라리 그 방에 단열벽지 하고, 유리창 단열도 하고 커튼도 치고 등등..최대한 단열을 해서
    겨울에도 잘 쓰시는게 더 낫지 않을까요?

  • 4. 윗님
    '12.2.4 12:26 PM (110.15.xxx.248)

    난방 배관 잠궈둔다고 난방비 절약 안된다고 하시지만
    제가 실험한 바로는 난방 배관 일부 잠그고 보일러 10분 돌린 후의 가스 소모량이랑
    다 틀어놓고 똑같이 한 후의 가스 소모량이 다릅니다
    사실 차이는 얼마 안나요..
    계산하면 한 달에 5~10만원 차이..
    이게 작다면 작지만 차이가 크다고 느끼는 집은 또 다르겠지요
    저는 난방비가 15만원이 안 넘었으면 좋겠기 때문에 다 틀고서 난방 돌리면 25만원 정도 나올 것 같더군요.
    그래서 잠궈 둡니다

    전에는 거실도 일부 틀어서 온수온도를 40도로 두고 있었는데
    요 며칠 추운 동안 잘 때 추워서 거실도 잠그고 방만 튼 채로 온수 온도를 60도로 높여놨어요
    이러면 원래보다 조금 더 나오긴 하는데, 방이 따뜻해서 좋더라구요
    방문은 열어놓고 사는데 실내온도는 거실 온도가 1도 낮아졌습니다(17도)
    대신 방은 별로 차이 없구요(조금 더 따뜻한 듯. 온도계가 방에는 없어요)

    온도 차이 거의 없지만 가스 소모량이 더 많은데도 이렇게 사는 이유는 따끈따끈한 방바닥이 있어서요.

    잠그면 가스비 덜 드는 거 맞습니다

  • 5. ...
    '12.2.4 12:27 PM (121.184.xxx.173)

    저희도 안쓰는 방 있는데 그냥 보일러배관 열어둡니다. 난방비 차이 얼마 나지도 않아요.

  • 6. 윗님
    '12.2.4 12:39 PM (110.15.xxx.248)

    앗 다 틀어놓은 것과 일부 잠근거 금액 차이 저거보다 더 나오네요. 계산이 틀렸어요.
    다 틀어놓은 적 없어서... 착각했네요
    일부 조금 잠근 것과, 많이 잠근 것의 차이에요

  • 7. 저희는
    '12.2.4 1:40 PM (112.148.xxx.78)

    낮엔 아예 난방안해요.
    온도가 난방안해도 항상 24도예요.
    5년된 아파트인데 이렇게 따뜻한 집은 첨봐요.
    단열이 정말 튼튼하게 잘 되어있어요.
    밤에도 난방안해도 되겠어요.
    그런데 아이가 있어 자기전에 3시간정도 돌려요. 방만.
    집이 안추우니 보일러 터질 걱정 안해도 되겟지요.
    그런데
    너무 부러워들 마세요.
    단열이 심하게 잘되어있어 여름에 더워요,.
    참다참다 작년 여름에 에어컨 들여놓으니 살것 같습디다.
    겨울에 난방비로 여름에 에어컨틀다.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232 여행 다녀왔어요~ 생존일기 올려요 3 홍대중어 2012/02/04 1,495
67231 부산 동래구 복천동 덕산아파트 사시는분 계신가요..? 1 .. 2012/02/04 1,439
67230 미치기 일보직전 3 병원 2012/02/04 1,610
67229 해외있는사람과 카톡할때 요금이요 7 카톡 2012/02/04 4,505
67228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해서 병원에 갔는데... 9 급해요 2012/02/04 3,232
67227 박원순 서울시장님 아들 참 미남이네요 8 현무의계시 2012/02/04 3,564
67226 이거 도입하려면 세금 얼마를 올려야 하는 걸까요? ... 2012/02/04 580
67225 급질...네이트로 메신저 할 때 사진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하죠.. 1 프라푸치노 2012/02/04 850
67224 정녕 코수술은 티안날수없나요?? 34 Hh 2012/02/04 21,829
67223 40대男, 배달원 얼굴에 피자 문질러 12 말종 2012/02/04 3,270
67222 불후의 명곡,,,성훈,,,아흐 넘 멋져요 2 ... 2012/02/04 1,562
67221 주부들이 일할만한곳 월급이 정말 짜지요? 3 진짜 2012/02/04 2,633
67220 로스쿨변호사 = 법대4학년이라고 법무부가 인정했죠 9 2012/02/04 2,195
67219 도와주세요! 두부조림이 너무 매워요...ㅠㅠ 6 매워요ㅠㅠ 2012/02/04 1,176
67218 예전엔 서울대,연대,고대에 여자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1 ... 2012/02/04 1,847
67217 상품권을 받는다면 어떤 상품권 받고 싶으세요? 14 상품권 2012/02/04 1,851
67216 김어준의 관점에서 나꼼수팬께 당부합니다 12 썩다른상담소.. 2012/02/04 2,135
67215 저 나쁜딸입니다.엄마..우리집에 좀 오지마..했어요. 60 나쁜딸 2012/02/04 15,013
67214 여성부 자체가 이화여대출신들의 10 ... 2012/02/04 2,227
67213 급질이에요. 사골끓이려고 하는데요 7 급해서 2012/02/04 1,011
67212 영어 문법 좀 봐주세요 6 분사 2012/02/04 851
67211 상문고 1 학교문의 2012/02/04 1,271
67210 자색양파오킬로랑 양파즙을...택배비도공짜라니 5 대머리되기시.. 2012/02/04 1,255
67209 쿡티비+인터넷 사용하시는 분 얼마 내시나요? 1 궁금 2012/02/04 1,499
67208 이화여대 출신들 자신들 동문 챙겨주는건 정말 장난 아니라더군요... 11 ... 2012/02/04 4,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