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 엄마들 끼리 호칭

엄마 조회수 : 3,666
작성일 : 2012-02-04 02:10:12
전 애가 워낙 늦어서 애 친구 엄마들하고 대략 띠 동갑이에요.

첨에 4-5세때  어린이집 다닐땐..
서로서로 아이 이름 붙여서 ~ 어머니 (가끔 어머님하는 경우도..)
아니면 ~ 엄마라고 불렀었거든요.
나이가 많던, 적던, 모두 존대하고,  그렇다고 친하지 않았던건 아니고
잘 모이고 아직도 연락하고 그런 사이예요.

전 이런 호칭 분위기가 편한데

신도시로 이사왔더니
나이에 따라서 ~~언니,  ~~자기 라고하고 
금새 말 놓고..친구같이 굴더라구요. 
물론 전 "왕언니" (별로 듣고 싶은 호칭아니에요)
라고 하면서 저에겐 존대를 합니다.
저도 띠동갑아래인 엄마들이지만 존대합니다.
그래서 모이면 저에게만 존대하고 저도 존대하고
다른 엄마들끼리는 반말하는 좀 이상한 분위기가...
그래도 자주 모이긴 하는데...

그리고 서로 아이들에게는 이모라고 부르는데
전 이것도 어색해서..
아이에게 친구엄마는 아줌마라고 부르라고 
합니다.
친한친구도 아이에게 스스로 이모라고 호칭하는데
전 쫌 걸리더라구요. 

제가 호칭에 있어서는 좀 까다로와서
일하는 아주머니에게 ~ 이모
시장가서 상인아저씨에게 ~ 삼촌
어디던 물건사러가서 ~ 언니..

뭐 이렇게 못부르겠거든요.

대략 이렇게 부르는 분위기면 
그대로 따라하는게 좋은건지...



IP : 125.178.xxx.159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모..
    '12.2.4 5:43 AM (115.64.xxx.244)

    통상적으로 친구 엄마에게 요새는 이모라는 말을 친근하게 많이 쓰는데요..
    아줌마는 그 쓰임새때문에.. 기피하는 분들 많지 않나요?

    저는 이모라고 불리는 관계에 있다가 이사와 다른 아이들 만났는데
    그 아이가 저더러 아줌마라고 부른순간 확 기분이 상하더라구요..
    저는 아이에게 제 친한 친구면 이모라고 부르라고 하고
    그냥 오다가다 아는 아이 엄마면 ** 엄마 라고 부르라고 시켜요

    아이들 말고 다른 상황에서 아줌마라고 불리는 상황들이
    항상 유쾌하진 않더라구요. 제가 그 호칭 자체가 싫다라기 보다
    그 사람들이 저를 깔아뭉개고 싶을때 안그러다가 갑자기
    아줌마! 이런식으로 많이들 쓰던걸요?

    저 같은 사람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 2. 저도
    '12.2.4 8:27 AM (121.169.xxx.78)

    원글님과 대략 성향이 비슷한 편이고 비슷한 상황인데요.
    원글님이 아이친구 엄마들과 원만하게 지내고 계속 교류할 생각이 없다면 원글님 방식대로 해도 되죠.
    그런데 그게 아니시라면 혼자만의 방식을 고집하시면 안되요.
    우리나라에서 '아줌마'호칭, 연령을 떠나서 굉장히 민감한 호칭이예요. 아이 친구엄마들이 아직 젊은데 더더더욱이요.
    여러 사람들과 무리없이 지내시려면 '본인이 선호하는 호칭'보다는 '상대방이 들어서 기분상하지 않을 호칭'을 쓰시는게 맞아요. 그런 점에서 친구 엄마에게는 '이모'가 요즘엔 무난한 편이구요, 그게 정 싫으시다면 아줌마는 피하시는게 좋아요. 사실 저는 친하지 않은 아이친구 엄마에게는 **이 엄마, 라고 부르는데요, 그건 엄마들끼리 쓰는 호칭이지 만약에 제 아이 친구가 "**이 엄마!" 이렇게 부르면 좀 깜짝놀라고 기분 별로일것 같아서요.
    저는 어디 쇼핑가거나 개인적으로 아는 관계가 아닌, 나이가 있으신 분들(할머니라고 불러도 무리는 아닌 연령대까지)께는 그냥 아줌마라고 하게 하구요, 그보다는 연령대가 낮고 개인으로 만나는 관계에서는 이모, 개인으로 만나는 관계이지만 서로 불리울릴 없는 먼 관계에서는 **엄마라고 아이에게 '지칭'만 합니다.

  • 3. ...
    '12.2.4 8:35 AM (183.98.xxx.10)

    원글님처럼 그룹에서 혼자 존대하고 호칭 가리고 하면, 다른 사람들 눈에는 선을 긋겠다는 걸로 보여요. 원하시는 게 그거라면 상관없는데 아니시라면 다들 하는대로 따라가세요.
    원글님 개취도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아- 이 사람은 우리랑은 좀 어울리고싶지 않은가보다. 혼자 좀 유별나네?"이런 생각 하게되면 자연스레 멀어지게 되더라구요.

  • 4. 꼬마버스타요
    '12.2.4 8:37 AM (116.39.xxx.83)

    저는 30대중반이고 제 친구나 오래된 선,후배로 아이가 뱃속에 있을 때부터 만나온 자매와 같은 사이는 모두 자연스럽게 '이모'라고 해요.
    저도 원글님과 성향이 비슷한 편에 속해요. 그 동안, 아이 키우면서 모임이 거의 없다가 육아카페에서 친해진 (아이와 엄마 모두 동갑 친구) 두명은 저와 성향이 비슷해서 인지 지금까지 두어달에 한 번씩 만나면서도 서로 말 놓는대 오래 걸렸고 아이들도 '이모'라고 안 해요. 저도 아이한테 얘기할 때 '~엄마'라고 지칭하고 저희도 애들한테 말 할 때, '아줌마'가 해줄게...이런 식으로 '아줌마'라는 말을 편하게 쓰거든요.
    그러다 지난해 아이가 유치원 가면서 이미 친한 사이의 모임에서 저한테 먼저 친해지자고 했는데 그 모임에서 저만 일하는 엄마라 제가 도움 받는 일이 많아요. 만나다 보니까 아주 편하게 말을 놓고 서로들 '자기야'라고 부르고 아이들한테도 '이모'라는 말을 쉽게 쓰더라고요. 적응하는데 한학기 걸렸는데, 다들 좋은 사람들이고 아이들끼리도 아주 사이좋게 놀아서 제가 그 무리에 맞추는게 좋은 거 같아서 저도 조금씩 호칭을 바꿔 부르네요.
    그래도 성향을 버리기가 어려운지 제가 따로 친해진 엄마를 만날 때는 ~어머니,~엄마'라고 부르고 애들한테도 '아줌마'라고 써요. 그 엄마들도 또 저랑 성향이 비슷해서 그 분위기가 어렵지 않고요. 그런데 이 아이들이 초등학교 가고 고학년이 될 때까지 관계가 유지 되면, 아마도 '이모'라는 호칭으로 바뀌지 않을까 싶네요.

  • 5. 블레이크
    '12.2.4 8:42 AM (175.197.xxx.19)

    아이들이 이모라고 부르는 거는 좀 뜬금없는데요...
    그냥 아줌마라고 부르는데....엄마들끼리야 누구 어머님부터 자기야, 이름 부르기도 하고..
    누구씨~ 이렇게 친해지면 부르는데 아이들한테 이모 소리는 한 번도 못들어 봤어요.
    이모~ 부르면 어머 내가 왜 네 이모야? 이렇게 답 할 것 같네요. ㅋ

  • 6. 아줌마가 보통~~
    '12.2.4 8:47 AM (211.111.xxx.89)

    저희 동네도 애들은 그냥 아줌마라고 다들 불러요. 친구 아이 이름 붙여서..지원이아줌마..뭐 이렇게 부르죠.
    아이 친구 엄마들 끼리는..누구엄마라고 부르기도 하고..나이가 많이 차이 단다싶으면..언니라고 부르기도 하더라구요..그래도 통상은 누구엄마라고 부르는 편이예요.
    이모 소리는 가끔 한두 아이가 그렇게 부르는데..저도 쪼금 오글거리더라구요..

    대신 아주 가까운..30년 유지되온 모임에서 만나는 가족의 경우는 이모라고 부르게 해요. 그 경우는 평생 있을 관계라서..아줌마라고 부르면 왠지 서운해할 그런 관계예요.
    그때는 꼭 이모라고 부르게 함니다. 엄마 이름붙여서요..

  • 7. ***
    '12.2.4 8:51 AM (119.67.xxx.4) - 삭제된댓글

    저도 그다지 친분있지 않은 아이친구가 저에게 이모라고 부르는 것이 거북해요..
    저는 아줌마라고 불러 주는게 더 좋아요..
    어떤 아이들 보면 친구 엄마 뿐 아니라 아줌마라고 불러야 할 상대에게 무조건 이모라 부르던데
    전 듣기 불편하더라구요...

  • 8. 저도
    '12.2.4 9:41 AM (118.217.xxx.53)

    아줌마라고 제가 알아서 지칭해요. 이모...어색합니다.
    저도 오랜지기한테는 이모라고 불러도 뭐라고 안해요.
    전 아직 30년 친구는 없기에...20년 넘는친구들은 이모라고 제가 치칭하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8764 이럴때 화나시나요? 아님 제가 예민한가요? 22 ㅇㅇ 2012/03/28 3,156
88763 자식을 못되게 키우는게 맞나 봅니다 -4- 4 아들 2012/03/28 1,197
88762 몇년을 시도때도 없이 와서 수다떨던 동네아짐 작정하고 안받아줬더.. 4 수다 2012/03/28 2,058
88761 행당+왕십리 부근 차 엔진오일 믿고 교환할 곳 2 행당왕십리 2012/03/28 1,144
88760 아이앞으로 들어줄 저축상품 2 저축 2012/03/28 810
88759 가방 골라주세요 : 펜디 피카부 랑 보테가 위빙 호보 6 가방살여자 2012/03/28 4,701
88758 독일 아가씨가 한국에서 할 수 있는 일? 13 한류 2012/03/28 1,924
88757 리빙데코에.. 5 어리둥절.... 2012/03/28 1,074
88756 어깨결림이 심해서요. 일산에 마사지 잘하는 곳 알려주세요.ㅠㅠ 2 헬프미 2012/03/28 1,426
88755 매달 지출되는 고정비 말고 유동적인 지출비는 어떻게 관리하세요?.. 2 궁금 2012/03/28 938
88754 혹시 월마트에서 온라인으로 물건 사보신분 있나요? 2 이쁘니 2012/03/28 627
88753 시어머니와 형님사이에서 31 작은며느리 2012/03/28 4,288
88752 여자도우미 나오는 가요주점 같은곳... 11 dd 2012/03/28 8,153
88751 남자아기가 귀엽긴더 귀여운듯 7 tttt 2012/03/28 1,913
88750 영어 한문장 봐 주세요 2 .... 2012/03/28 585
88749 강릉편입학원 2 막내 2012/03/28 968
88748 어린이들 잘 때 고개 이리저리 굴리는거 방지하는 법 있을까요? 5 차에서 2012/03/28 625
88747 세무일과 간호조무사중... 어떤일을 해볼까요? 5 막강 고민중.. 2012/03/28 2,611
88746 꼭 사과를 받아야만 마음이 풀리시나요? 4 고민 2012/03/28 1,216
88745 사춘기 아들 땜에 마음이 너무 아파요. 6 사춘기 2012/03/28 2,359
88744 회사별로 효과,성분이 차이가 나나요? 1 홍삼잘아시는.. 2012/03/28 514
88743 입영일자 때문에 문의합니다. 12 입영 2012/03/28 964
88742 19대 총선 금품사범 72% 늘었다 1 세우실 2012/03/28 575
88741 50~60만원대 가방브랜드 추천 좀 해주세요.. 2 허브 2012/03/28 2,868
88740 아이가 티눈치료시작하고 너무 아파해요 6 티눈 2012/03/28 2,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