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주방 깨끗히 정리하고 사시는 분...

실천 조회수 : 4,500
작성일 : 2012-02-02 10:15:05

요즘 주방 싱크대 위 깨끗하게 사시는 분들께 질문요!

 

그릇씻고 건조대위에 그릇도 치우시나요?

 

그건 어떻게 하시나요?

건조대도 없애야하나요???

 

IP : 114.206.xxx.254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2.2 10:15 AM (220.149.xxx.65)

    건조대는 둬야죠

    설거지하고 건조대 위에 잠깐 놔뒀다가 물기 빠지면
    장 속에 넣어요

  • 2. 아니요..
    '12.2.2 10:16 AM (115.161.xxx.209)

    전 건조대는 두고요. 그안에 그릇도 늘 있는편이에요.
    막 쌓여올라가 있지는 않고요.

  • 3. 저도
    '12.2.2 10:21 AM (222.106.xxx.120)

    건조대는 둬요.. 그릇도 가지런히 건조대에 두고요..

  • 4. 전 아니고
    '12.2.2 10:22 AM (110.15.xxx.248)

    친한 사람이 그렇게 깔끔하게 사는데
    건조대에 뒀다가 물기 좀 빠지면 얼른 치우더라구요
    그런데 4식구 식기는 그냥 뒀는데 (냄비 접시 이런거 치우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 깨끗한 부엌이었어요
    게다가.. 풀타임 일까지..
    절보고 언니언니 하는 사이인데, 정말 부끄러웠어요 ㅎㅎ

  • 5. 근데 사실
    '12.2.2 10:22 AM (112.168.xxx.63)

    건조대위의 물기가 바로 빠지는 것도 아니고
    몇시간 후에 물기 빠지면 넣고..바로 점심 시간이라 다시 꺼내고..
    이건 좀 비효율적인거 같아요.

    깨끗한 주방의 장단점이 좀 있는 듯.

  • 6. 물기마르면
    '12.2.2 10:26 AM (211.210.xxx.62)

    물기 마르면 그때 바로 그릇을 정리하더라구요.
    친정에서 그렇게 해요.
    대가족인데도 항상 싱크대에 딱 정수기랑 전자렌지 커피포트 이렇게만 있어요.

  • 7. ....
    '12.2.2 10:31 AM (119.69.xxx.194)

    건조대위에 최소한의 그릇만 두고 씽크대로
    옮깁니다

  • 8. ....
    '12.2.2 11:26 AM (180.230.xxx.22)

    전 평소에 사용하는 그릇만 건조대에 두고
    다른건 다 정리해서 서랍에 넣어두거든요
    그래도 괜찮은거 같아요

  • 9. 그럼
    '12.2.2 11:43 AM (121.190.xxx.60)

    저도 추가로 궁금한점 있는데요~

    남은 반찬은 도대체 어떻게 처리해야하나요?

    적게 담으면 식사도중에 더 꺼내야해서 불편하기도 하구요. 김치같은건 따로모아 찌개도 해먹고 한다지만

    그외 반찬들은..

    처음 시댁에서 얼마가 남건 다 버리는것 보고 기함했었네요.

    먹는거 보다 버리는게 더 많았음T.T

  • 10. 남은반찬
    '12.2.2 11:46 AM (115.161.xxx.209)

    없게 조금씩담아요.
    절대 많이 안담고요(특히 김치같은거...)
    중간에 다시 꺼내먹더라도 조금씩 꺼내요.
    어쩔수없이 남았다면 버립니다.(하지만 버리는거 최소화하게....)

    메인 반찬만 많이 담아냅니다.

  • 11. ...
    '12.2.2 1:47 PM (121.184.xxx.173)

    냄비같은 큰 도구들은 가스불 켜고 물기 말린다음 좀 식으면 넣어놓으면 편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6288 낙동호수 썩어야 정신을 차릴까요? 4 두번째 별 2012/04/12 856
96287 드라마 스페셜 - 2012 총선 총선 2012/04/12 930
96286 누가 권력의지가 더 센가 5 하마 2012/04/12 790
96285 강남 강남.... 창피합니다 12 ㅇㅇ 2012/04/12 2,078
96284 선거를 졌다, 하지만 세상일은 모른다. 26 파리82의여.. 2012/04/12 3,504
96283 이해안되는 기준들. 3 음.... 2012/04/12 768
96282 작년10월 바람기억하시나요? 2 히호후 2012/04/12 968
96281 정동영후보 대변인 말하네요 6 아프리카tv.. 2012/04/12 2,366
96280 채널A에서 강남을 소식.... 1 .... 2012/04/12 1,044
96279 우리도 늙으면 보수성향이 될까요? 23 ... 2012/04/12 1,965
96278 강남을만 그랬을까요? 확인되지 않은 부정투표함이 얼마나 20 하정댁 2012/04/12 1,470
96277 청와대 대변인 성명 ㅠㅠ 2 willca.. 2012/04/12 1,348
96276 지금 강남을은 어떻게 되어 가고 있나요??? 5 강남을 2012/04/12 937
96275 아들넘 대충 키워서 국회위원 만들어야겠어요. 4 zzz 2012/04/12 1,076
96274 야당에서 대통령이 나와도 문제네요... 6 아...씨 2012/04/12 1,471
96273 제철이는 어떻게 될까요 3 언론이 문제.. 2012/04/12 900
96272 문재인님은요? 11 새누리당싫어.. 2012/04/12 2,115
96271 기뻐하며 함박웃음 짓는 이 정희 14 그냥 2012/04/12 2,904
96270 선거법위반한 인간들 잡아냅시다.. 1 정신차리고 2012/04/12 694
96269 이제 대항마는 안철수 밖에 없는건가요? 안철수가 대안인건 확실할.. 32 대선예측 2012/04/12 1,780
96268 아무리 생각해도 투표함 바꿔치기 한것 아닐까요? 9 2012/04/12 1,202
96267 그거 아세요? 민주세력이 역대 2번째로 많이 당선된 선거예요. 28 희망 2012/04/12 2,736
96266 자책좀 그만하세요. 6 제발 2012/04/12 1,059
96265 그네 아버지는 부산을 학살하려고 했었는데.. 하늘아래서2.. 2012/04/12 988
96264 한명숙 대표의 입지가 작아지겠네요 7 dd 2012/04/12 1,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