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상이 났을때 장례비용은 누가 내나요?

초상 조회수 : 8,593
작성일 : 2012-01-28 14:07:28
집안 초상시 장례비용은 자식들이 내는건가요?부조금은. 어머니가 다 가지시고 장례비용도 자식들이 내야 한다는데 이게 맞는건가요?차례음식 장만 비용도 아들들이 다 내는건가요?친정에서는 장례비용 제하고 남은돈 자식들 다 나눠줬고, (자식들 빚이라고) 차례비용이나 제사비용 친정엄마가 다 내고 우린 딸 아들 구분없이 엄마께 봉투만 드려요. 시댁과 친정이 너무 달라서 어렵네요.
IP : 112.152.xxx.13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8 2:08 PM (59.29.xxx.180)

    그렇다고 부조받는 걸로 장례치를 생각하는 것도 웃기지 않나요.

  • 2. 윗님
    '12.1.28 2:10 PM (59.86.xxx.217)

    일반적으로 초상나면 부조금으로 다 계산들해요
    그리고남으면 자녀들에게 돌려주던지 부모님드리던지하지요

  • 3. ㅇㅇ
    '12.1.28 2:12 PM (211.237.xxx.51)

    당연히 부조금으로 장례비용 대죠
    그래서 장례식장은 거의 현금결제를 많이 해요.
    남은거야 가족들이 의논해서 누굴주던가 나누던가 하지요.

  • 4. ㄱㄱㄱㄱ
    '12.1.28 2:15 PM (115.143.xxx.59)

    상조회사에서 해주는거아닌가요?저희는 그거 들어놨는데.

  • 5. 윗님
    '12.1.28 2:15 PM (125.133.xxx.197)

    부조금의 취지가 뭔가요?
    큰일을 치룰때 주위사람들이 힘을 보태주는 것이 아닌가요? 십시일반이라고?

    부조금으로 장례치르고 나머지는 부조금 관련된 지인들의 금액 파악해서 공평하게
    나눠 가져야 하지요. 그래야 나중에 그분들의 경조사 때에도 부조할것 이니까요.
    부조금이 사실은 공돈이 아니고 빚이 되는 거지요. 결혼식 축의금도 그렇고요.
    다 그동안 쌓았던거 인사받는거예요.

    형제들 중에 큰 부자가 하나 있다면 그분이 다 치를 수도 있지만
    우리 서민들은 다 협조해서 하는거지요. 어찌 그것을 어머니가 다 가지시나요
    혹시 어머니의 끼니꺼리가 없어서 그렇다면 몰라도.

  • 6. ...
    '12.1.28 2:17 PM (121.136.xxx.28)

    이런문제떄문에 요즘 상조회사 많죠...
    이번에 저희 이모할아버지 돌아가셨는데
    상조에서 척척 잘해주더만요..진짜 잘해주더라구요;;할거 아무것도없었음.

  • 7.
    '12.1.28 2:17 PM (183.116.xxx.249)

    부조로 장례비용 정산해요ᆞ 남는 건 상황에 따라 살아 계신 어머님이나 아버님 드리던지 의논해서 하고요ᆞ 시어머님은 생각이 많이 다르시고 욕심이 과하시네요

  • 8. ..
    '12.1.28 2:18 PM (59.29.xxx.180)

    그럼 나누는 비율은 어떻게 되는거예요?
    장남 앞으로 들어온 부주가 천만원, 둘쨰 앞으로는 7백, 셋째는 3백 그런식이면
    만약 장례비가 구백이 들었다면 각 3백씩 부담하고 각각 남는 거 주나요?

  • 9.
    '12.1.28 2:30 PM (183.116.xxx.249)

    일반적으로 얘기할 뿐이지 정해져 있는 건 없지요ᆞ 장례비용은 빼고 남은 돈을 비율대로 나눠 주는 경우도 있고 ᆞ
    저희 시댁은 안 나눠 주고 제사등 필요 경비로 예치해 둡니다

  • 10. ..
    '12.1.28 2:42 PM (222.121.xxx.183)

    집마다 다른데요..
    저희는 부주가 4천5백만원 정도 들어왔는데 장례비 쓰고 이것저것 했어요..
    상속세는 안나왔는데 상속 하느라 부대비용 들어가고..
    시아버지 돌아가시고 시어머니 혼자 사셔야하니 집 새로 고쳐드리구요..

  • 11.
    '12.1.28 2:53 PM (211.244.xxx.66)

    부조금으로 하죠 대게는..

  • 12.
    '12.1.28 3:09 PM (221.151.xxx.24)

    부조금으로 장례비 치르구요.
    나중에 정산할때...부조금 많이 들어온집은 조금 더 나누어 주면 됩니다.

    부조금으로 공평성 따진다면 형제들사이에 싸움밖에 더 나나요?

  • 13. ..
    '12.1.28 4:06 PM (125.152.xxx.184)

    부조금 누가한테 더 많이 들어왔네..어쩌네 하는 인간들이 있다는 게 놀랍네요.

    실제로 그런 인간들 있겠죠?

    할머니 돌아가실 때(5일장).......우리 아버지 일체....부조금에 관심도 안 뒀고....모든 건 큰아버지가

    알아서 처리 했는데...........그러고 보면 그런 돈에......관심 안 갖는 게 더 나은 거네요.

    윗님 댓글 읽어보니.....

  • 14.
    '12.1.28 4:29 PM (221.139.xxx.63)

    보통 부조금으로 해요.
    상조회에 들어있다고해도 부수적으로 들어가는 비용도 많구요.
    또 형제라도 각기 직업이나 상황에 따라 돈이다르게 들어오쟎아요. 보통 장례비 부조금으로 계산하고 나머지돈은 나눠 가지기도 하더라구요. 솔직히 각자 개인의 가정으로 돌아가면 가정에서 다 다른데도 부조금내니까 결국 그것도 개인마다 빚이나 마찬가지라고...
    남은돈은 형제기금으로 쓰거나 어머니 드리거나 뭐 그렇데도 하고, 나누기도 하구 집안마다 달라요,.
    그러나 보통 우리나라 어느집이건 부조금이 장례비용으로 들어가는집이 대부분일거예요

  • 15. 은현이
    '12.1.28 5:58 PM (124.54.xxx.12)

    4년전 엄마 돌아 가셨을때 남편과 밑에 동생이 대기업에 다녀서 그런지 부조금이 많이 들어왔어요.
    형제들이 많아 다 제각각 이었지만 이해 하면 하등 문제 될것 없더군요.
    부조금으로 장례비용 치르고 제사를 모시는 막내오빠에게 몰아 주기 위해 통장에 꼽아 두었어요.
    그것으로 오빠네 이자라도 받아서 제사 모시고 벌초 할때 쓰시라구요.
    글고 나중에 산소 다시 보강 한다고 해서 그때 쓸려구요.
    우리에게 들어온 봉투는 가져 와서 보관 해 놓고 있습니다.
    나눠서 가져 올려면 그것 나누는 것도 머리 아프고 형제 간에 의 상할것 같아요.
    예치해 놓고 가장 고생 하시는 분이 쓰시는것이 좋겠지요.

  • 16. yawol
    '12.1.28 7:49 PM (121.162.xxx.174)

    부조금으로 계산하는게 맞습니다. 서로 장례비용을 품앗이하는 것이거든요.
    5년전 저희 아버님 장례시에는 들어온 부조금으로 장례비용 정산하고,
    홀로 사시는 형수님 앞으로 들어온 부조금은 전액 형수님께 드렸고요,
    나머지는 어머님 계좌에 넣어드렸습니다. 물론 다른형제들은 안받았습니다.
    장례 이후에 발생하는 묘 개보수 비용하고, 묘지기 수고비는 원래 남은 자금으로
    펀드 만들어서 하는거라는데, 저희는 형제들이 나눠서 부담하고 있습니다.

  • 17. yawol
    '12.1.28 8:08 PM (121.162.xxx.174)

    형제들이 부담하는 이유는 계속 돈을 내면서 관심을 갖자는것입니다.
    부담이 없으면 관심이 없어져서 선산관리를 잊어버릴까 염려해서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132 친구같은 아내? 3 Trustw.. 2012/01/30 2,103
65131 저도 오늘 광역버스에서 4차원 아줌마를 만났어요 11 연두 2012/01/30 3,401
65130 활자가 흐려요 진하게 하는방법좀................ 1 글자체 2012/01/30 1,186
65129 택배로 먹을껄 보내줬는데 감감무소식... 6 예민 2012/01/30 2,362
65128 바람과 이혼글보니 일부다처제도 이해갑니다 20 돈이 많으면.. 2012/01/30 4,970
65127 냄비밥 맛있네요 3 ........ 2012/01/30 1,377
65126 숙주나물은 왜케 귀할까요?? 11 ㅇㅇ 2012/01/30 3,446
65125 새옷이든 이불이든 처음 사면 다 세탁해서 쓰시나요 21 ,,, 2012/01/30 19,663
65124 분당지역 유치원 저렴하고 좋은곳 추천부탁드려요 1 귀국하는 6.. 2012/01/30 1,295
65123 컴퓨터 마우스 끝이 화살표가 사방으로 나오는거 왜그런가요? 컴맹 2012/01/30 898
65122 오늘자 TV뉴스 이모저모!! 1 도리돌돌 2012/01/30 900
65121 누가 가장 피해자였을까요?(깁니다) 20 이십년전막장.. 2012/01/30 4,108
65120 2013년 특례입시포함 6회제한이면 어떻게지원하나요? ㅠㅠ 2 해외고 2012/01/30 1,448
65119 깻잎 장아찌가 김치같이 익었는데 2 궁금 2012/01/30 1,521
65118 당장 행복하라 1 김어준 2012/01/30 1,253
65117 초등 졸업식후 식당예약은 어디가 좋을까요... 1 초등졸업 2012/01/30 1,273
65116 맛난 과메기 어디서 살까요? 6 과메기 2012/01/30 1,876
65115 소변볼때 밑이 빠질꺼 같은 증상 9 ? 2012/01/30 6,209
65114 지워보신분 계세요 반영구 2012/01/30 1,024
65113 시댁생활비.이건 적은가요? 25 .. 2012/01/30 4,497
65112 양념치킨 소스 황금비율 좀 알려 주세요. 6 비법 2012/01/30 3,274
65111 처음으로 봉하마을, 부산여행 가려합니다. 4 .. 2012/01/30 1,597
65110 노원,중랑 쪽에 돌잔치 장소 추천 좀 부탁드려요~ 4 씩씩한캔디 2012/01/30 1,188
65109 학원수업료납부..계산좀 해주세요ㅠ.ㅠ 6 좀... 2012/01/30 1,236
65108 한우갈비 적정가격 ? 1 .. 2012/01/30 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