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개인난방 가스 절약하는 방법 이게 맞나요?

가스절약법 조회수 : 3,064
작성일 : 2012-01-27 18:52:38
중앙난방만 살다가 개별난방인곳으로 이사 오니 잘 가늠이 안되네요.
가스비 절약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집은 34평 방 3개 구조구요. 거실을 확장해놨는데, 집주인이 이상하게 해놓은건지 먼지
거실 창이 이중창이 아니라 그냥 창 하나에요. 열면 바로 방충망...그래서 더 춥구요.
또 지역 자체가 북쪽 끝이라 더 추워요.

안방 창에서는 침대에 누우면 바람이 조금씩 들어오는거 같아 뾱뾱이로 감싸고 비닐까지 쳐서
이제 잘때 바람은 잘 안들어 오는데, 나머지 두 방이 많이 춥네요.

오늘 어떤 분이 이렇게 하는게 더 절약된다고 하시길래 진짜 그런지 궁금하여 여쭤봅니다.

일단 제가 사용하는 방법은,

평소엔 꺼놓구요. 쓸 방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잠궈둡니다. 쓸때 마다 안방이나 거실 두 곳을 열구요.
나머지 두 방은 사실 거의 사용을 잘 안해서 대부분 안열어둬요.
설거지나 샤워할때는 온수 전용으로 틀고 일 다 보면 끄구요.
외출할때도 끕니다. 저녁에 잠들기 전에 두어시간, 아침에 일어나서 한두시간 틀어놓구요.
대신에 뜨끈하게 27도 이렇게 희망 온도를 해둡니다. 그렇게 해놔도 23도 이상 안올라가구요.
그 이하 25도나 26도로 희망온도를 해두면 따듯한 기운이 없어요...
전기 매트는 사용하지 않구요. 집에서는 양말, 긴팔 긴바지 다 껴입고 조끼도 입고...등등..


그분이 알려주신 방법은,
잠궈두는거나 열어두는거나 별 반 차이가 없으니 다 열어두고 (밸브)
오히려 꺼두면 그 방 차가운 온도 때문에 열 뺏긴다고...
외출시에는 보일러를 외출로 20도로 맞춰서 켜두고
평소에는 24-5도 정도로 맞춰두라고. 오히려 껐다 켰다 하면 더 나온다고...
그니까 끄지말고 계속 켜두라는 얘기인거 같아요.

지난달 가스 요금은 23만원 정도가 나왔습니다.
그 분이 알려주신 방법이 맞는거면 오늘 부터 다 열어두고 온도 내리게요..^^

IP : 114.202.xxx.129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은빛1
    '12.1.27 10:06 PM (182.211.xxx.7)

    그 분 말씀이 맞아요. 더 절약하고 싶으시면 외출시는 19도, 평소에는 23도 정도로 맞추시고 집안에서 따듯하게 입고 지내세요. 34평에 23만원이면 많이 나온 건 아니고 평균정도입니다.

  • 2. 마스카
    '12.2.2 4:57 PM (210.95.xxx.35)

    전 싱글인데 30평 아파트에 살아요. 이번달 가스비가 15,000원 정도 나왔습니다.

    겨울엔 안방과 거실, 부엌만 밸브 열어두고, 나머지 방 2개는 밸브 잠궈둡니다.
    보일러 한번 돌려서 23~24도로 따뜻하게 데우고 나면 온도스위치를 20도에 맞춰 놓고 삽니다.
    그 밑으로 내려가면 보일러 돌아가게...
    그러나 거의 22도에서 머물러서 안내려가더라구요.
    집이 남향이고 앞에 가리는게 없어서 햇볕이 무지 잘 들고, 단열도 잘되는 편인가봐요.
    며칠이고 보일러 돌아가지 않고 내부 온도는 22도 거의 유지해요.
    그러다 보니 일주일에 2~3번 정도 바닥이 서늘하게 느껴질때 온도 좀 올려서 보일러 돌려줍니다.
    그래도 저 반팔 티셔츠 입고 살아요.
    가만히 앉아서 책 보거나 TV 볼때는 기다란 가운을 입고 있구요.
    움직일때나 잘때는 반팔 입거든요.
    침대의 전기매트도 자기전에 따끈해지면 끄고 잡니다. 더우면 잘 못 자겠더군요.
    대신 이불을 얇은 오리털과 가벼운 밍크담요 같은 것 두개 겹쳐 덮어요.
    그럼 정말 따뜻하게 밤새 잘 수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964 왜 먼지가 분홍색일까요 5 ?? 2012/03/21 2,041
85963 순수친목 카페에 경찰소장이 나서서 참여하네요. 새봄이지만... 2012/03/21 1,229
85962 나이들어 쌍꺼풀 수술하면 흉한가요? 9 내년에 마흔.. 2012/03/21 4,303
85961 중국황사 언제 오나요? 프라푸치노 2012/03/21 2,314
85960 헬스 시작하고 한 달도 못채우고 그만두는 사람들이 절반 넘는데요.. 1 ... 2012/03/21 2,317
85959 김지수씨 원래 솔직하고 개방적인 타입이신가 봐요. 7 @.@ 2012/03/21 3,890
85958 BBK 가짜 편지 쓴 신명 씨 "홍준표가 진실밝혀야&q.. 세우실 2012/03/21 1,264
85957 이런 자격증에 도전해 보려고 하는데 어떨까요? 1 열공해보세 2012/03/21 1,361
85956 수학의 神들 ‘수제비’ 만들어 교육기부 1 샬랄라 2012/03/21 1,424
85955 아 갑자기... 초1 총회 꼭 가야하나요?? 2 총회 2012/03/21 1,884
85954 독감 걸리고 나서 피부가 좋아졌어요 1 김씨 2012/03/21 1,691
85953 용인에서 훼손된 자연을 되살린 사례 조사하기 질문요~ 2012/03/21 1,166
85952 쌍꺼풀액 자주 쓰면 안 좋겠죠? 11 솜사탕226.. 2012/03/21 2,157
85951 요새 중학생 제 2 외국어가 중요한가요? 3 2012/03/21 2,932
85950 누구를 미워한다는 것이, 더구나 아이 또래를 미워한다는 것이.... 7 엄마 2012/03/21 1,873
85949 강아지가 사료를 거부해요 12 강아지 2012/03/21 2,211
85948 덕성여고 나오신분 계세요? 12 덕성여고 2012/03/21 4,416
85947 청소력이나 아무것도 못버리는 사람 같은 책 읽어보신분~~ 12 정리 2012/03/21 3,345
85946 김밥을 건강한 재료로만 쌀수 있을까요? 28 건강한재료로.. 2012/03/21 4,291
85945 초등학교 총회때 아이들 데리고 가도 괜찮나요??? 급 3 총회 2012/03/21 1,475
85944 초등학생 생일잔치 금요일 저녘이 좋으세요 토요일 낮이 좋으세요 14 초등생일잔치.. 2012/03/21 2,013
85943 인터넷에서 사먹어본 양념게장 넘 맛있네요.. 1 ㅜㅜb 2012/03/21 1,218
85942 오늘 본 2개의 트윗에 맘이 가네요 4 공감 2012/03/21 1,106
85941 보험 일일이 다 타먹어야하나요? 6 백세보험 2012/03/21 2,138
85940 매연땜에 미치겠네요. 꺼먼먼지 적은 동네 추천해주세요 3 매연 2012/03/21 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