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역사에 관심 많으신 분 찾아요.

아이 숙제 조회수 : 1,016
작성일 : 2012-01-25 19:55:06

오전에 올린 글인데 아이도 저도 이해하기 어려워 다시 올립니다,

한글로 이해를 해야 영어로 적을 건데 이해가 안 되네요.

 

 

 

안녕하세요.

엄마가 보시는 사이트에 글을 올립니다.

역사 개정의 중요성 서술,역사를 편견에서 보호할 수 있는 시행 가능한 전략 제안이 주제입니다.

제가 에세이 점수 말고는 다른 점수가 좋아서 높은 반에 들어가서 고등학교 언니들과 공부하는데요.

도무지 이 주제가 뭘 말하는지 모르겠어요.

엄마도 모르겠다 하셔서,여기에 글 올리면 잘 가르쳐 주실 거라 하세요.

잘 부탁드립니다.

IP : 118.45.xxx.3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우리나라역사
    '12.1.25 8:23 PM (122.34.xxx.100)

    윗분 이야기가 맞아요.
    역사개정의 중요성이나 편견에서 보호.. 역사를 다각도로 보자는거고 역사는 '진리'나 '사실'이 아니거든요.
    결국 '사실에 대한 해석'이 역사인건데 이게 시각이나 시간, 보는 관점에 따라 많이 달라져요.
    광주민주화 예를 들어주셨지만 가령 안중근은 어떨까요? 한국사람, 일본사람이 보는 시각이 다르죠?
    가톨릭에서도 그 문제에 대해서 설왕설래했답니다.
    http://www.cathol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99

    미국역사에서 인디언-이 말도 잘못된거죠..아메리카 원주민-을 '학살'한건지, 서부를 '개척'한건지에 대해서 논란이 많구요. 뭐 그런 이야기들인거죠. (십자군 원정과 가톨릭 사과한 사례도 있어요)

    시행가능한 전략제안이라는거는 실제로 우리가 역사 개정이나 그 중요성을 일깨우기 위해서 뭘해야 하는가의 문제인데.. 글쎄? 올바른 역사교육이나 역할극(상대방 입장되보기), 웹사이트나 트위터를 통한 홍보?
    (왜 백인 남성이 흑인분장을하고 얼마나 인종차별을 받는가 실험한 사례도있지요?) 그런거 정도가 생각나네요.

    요점을 잘 짚었는지 모르겠지만, 숙제 잘하세요.

  • 2. 기본적으로
    '12.1.25 9:27 PM (14.52.xxx.59)

    역사는 승자의 관점에서 서술되는 거에요,
    근데 같은 역사가 왜 개정이 되느냐는 누가 권력을 잡았느냐와도 관련이 있어요
    가령 광주항쟁 같은건 전두환 노태우 시절엔 아주 언급도 못하게 하던 금기사항이었거든요
    저때는 광주사태라고 했었죠
    근데 김대중이후(다 존칭 생략합니다,,죄송)광주 민주화운동이 됐죠
    요즘 국사책은 가야와 발해를 비중있게 다루더라구요?
    엄마들 때는 신라만 다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어요
    일단 읽어도 모르는 얘기를 영어로 쓸수는 없을테니 이렇게 쉬운 주제로 접근하세요
    뿌리깊은 나무만 해도 세종대왕의 업적을 찬양하던 예전과 달리
    세종을 방해하는 기존 세력을 다루잖아요??
    그런 맥락으로 해석해서 쓰세요,점수가 좀 안 나오더라도 내걸로 만드는 과정이 중요한 시기에요 ^^

  • 3. 원글
    '12.1.27 9:40 PM (118.45.xxx.30)

    답글을 이제야 답니다.
    정말 감사하고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554 중학교 자습서 영어도 사야되나요? 5 2012/03/20 1,460
85553 카타르 항공 이용해보신분 계신가요? 3 loldod.. 2012/03/20 1,676
85552 이민생활 3년차.. 특히 직장에서 힘드네요... 36 아아아. 2012/03/20 13,422
85551 [필독요망] 이번에도 탈탈 털어봤습니다!!! 이털녀 2012/03/20 835
85550 얼마 전에 아이들 학습에 대한 글 .. 2 프라하 2012/03/20 1,172
85549 흰머리 염색을 갈색으로 하고 싶은데요 7 .. 2012/03/20 3,140
85548 [엠팍]이정희...최구식 의원에게 했던 말이 고대로 부메랑이 되.. 13 아이유 2012/03/20 1,953
85547 지독한 독감, 어떻게 해야 빨리 나을까요? 2 ** 2012/03/20 1,555
85546 KBS.MBC, 편파보도 행태 고발합니다!! 호빗 2012/03/20 717
85545 냉이를 누가 많이 줬는데요~ 어떻게 해먹어야 돼요? 19 레시피 2012/03/20 2,163
85544 mb재산 7천억원, 미 법원에서 김경준 진술 7 가카 2012/03/20 1,951
85543 백화점 판매직 월급 보통 얼마 받나요? 8 40살 2012/03/20 13,148
85542 재산 혼자 받을 아들의 생각 6 ... 2012/03/20 3,221
85541 주영훈 살 너무 빼서 늙어보이네요 9 ..... 2012/03/20 3,303
85540 카니발 기준으로 전,후진 주차 설명해 주실 분~~~ 1 또 긁었당 2012/03/20 1,231
85539 집전화가 계속 지직거려요.. 2 남들이 더 .. 2012/03/20 1,652
85538 백김치, 무청김치 다시 살려주세요~~ 4 김치sos 2012/03/20 1,323
85537 잔멸치 볶음에 물엿 안넣으면 맛없겠죠? 6 .. 2012/03/20 1,908
85536 국비지원으로 배워서 취업한분 있나요? 6 궁금 2012/03/20 3,322
85535 제주도 7대 자연경관 1 어떻게 되어.. 2012/03/20 1,081
85534 빛과 그림자 고문 장면.. 11 뭘까 2012/03/20 3,379
85533 만약 남편이 이렇다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조언좀 주세요) 14 넘치는식욕 2012/03/20 3,772
85532 포트메리온 시계 벽에 어떻게 걸어요?? 2 실바람 2012/03/20 3,000
85531 5살 남자아이 방문수업 어떤걸 시키는게 좋을까요? 6 방문수업 2012/03/20 1,958
85530 유치원 하원 후 취침전까지 아이와 어떻게 놀아주세요 2 민트블루 2012/03/20 1,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