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층간소음 정말 ㅋㅋㅋㅋ

저는 특이체질? 조회수 : 2,924
작성일 : 2012-01-25 16:31:11

처음으로 시끄러운 이웃이 이사를 왔어요..저희는 필로티 2층이라 제일 아래층입니다.

줄넘기는 기본이고 뛰어다니면 노는것도 다 하긴 합니다.

저희 아파트 층간소음을 처음 겪고 있는데 일단 목소리나 소리는 안들리고 쿵쿵 진동 소음만 들리는데...

이번 윗이웃은 일단 부부는 굉장히 점잖은데 아들은 개구쟁이입니다...발소리만 들어도 압니다..

제아들도 그래서 이해를 합니다.

처음 듣도보도 못한 진동 쿵쿵거림 때문에 윗집에서 이사후 두번 올라갔다 왔습니다.

죄송하다고 하면서 신경쓰는게 눈에 보이는데..

위의 천장이 순간 부르르??떨릴정도로 쿵쿵 거릴때 가끔 있어요..

조금전에는 천정이 무너지는 느낌의 쾅 소리가 들립니다.

그런데 문제는 낮이고.아이고 12살 9살이고.

전 낮잠 안자고.

신경은 보통입니다.

잘때쯤 되면 윗집 조용하고..

아침에도 일어나는 시간 비슷하니 비슷한 시간에 발소리가 납니다..

그런데 살만한데요 ㅡㅡ?

보통 쿵쿵 소리도 사실 큰편인데도...이게 1달두달 되가니까 적응이 되고..

잘때는 조용하니 크게 신경 안쓰이네요 ㅡㅡ?

놀러온 지인이 와 시끄럽다 하는데 전 쿵쿵쿵 하는 기본적인 소리는 귀엽네요 ㅡㅡ;;;

참고로 대신 저희피아노좀 쳐댑니다..

소리가 위로도 조금은 올라가거든요...

층간 소음.마음 먹기 나름인데...

혹시 제가 성격이 느긋하냐고 물으신다묜,

 

절대 아닙니다^^

 

사소한 일에 목숨 거는 보통 아줌마입니다.

혹시 저 대인배 아닐까요 ㅡㅡ?

10시까지는 쿵쿵 소리가 나지만 그이후로는 조용해서 괜찬네요...

문제는 아이가 아니라 어른인듯 싶습니다..

아이들은 일찍 잠드는데..

개념 없는 성인이 발소리 내면 그때는 저도 편지함에 꽃가라 편지지에 조용히 해달라고 하겟네요~

 

IP : 112.152.xxx.25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동감
    '12.1.25 4:34 PM (115.137.xxx.200)

    저도 천장 내려앉을 정도로 소음 심한 거 아니면 서로서로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는 거 아닌가 생각해요.
    낮에도 소음이 거슬린다는 분들 보면 보통 본인 집에 적막강산 조용한 집인 경우,
    또 한번 소음이 거슬리면 내내 그것에만 신경쓰이는 경우가 아닌가 해요.
    밤에는 다들 쉬는 시간이니 어쩔 수 없는 경우 빼고는 서로서로 조심해야겠죠.
    그렇다고 밤에 화장실 사용하는 것도 들린다며 짜증내는 경우는 좀 심한 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요.
    모두들 편리를 위해 아파트에 모인 거니 서로 너그럽게 생각할 건 너그럽게 생각하고,ㅡ
    너무하다 싶게 내맘대로 사는 거 안하면 다들 편하게 살 텐데
    요즘 사람들이 참 많이 뾰죡하다 싶어요............

  • 2. 원글
    '12.1.25 4:42 PM (112.152.xxx.25)

    화장실에서 소리도 꽤 나요...근데 화장실에서 하루종일 있는거 아니고.
    화장실은 씻고 나오고 문닫음 소리 안나니까 삿ㄹ 소리가 나도 상관 없어요..
    세탁기는 저의 아파트 타입이 다용도실이 왕 구석에 쳐박혀 있어요..물홈통도 3개나 있어요..(원래 다 그런가요??)문은 강화 철문(방화문이래요)이라 닫음 왠만한 소리 안나요 ..우맂ㅂ 세탁기 걸어다니면서 탈수 하던 애였는데 윗집한번도 내려온적 없어요..(물론 바꿨어요)
    저희집 아들이 꽤 시끄럽고 그 시끄러운 친구들까지 몇명 몰려오면 아우성입니다..
    그래서 사실 윗지베 층간소음을 내는지도 처음에는 아에 몰랐어요(이번 이웃이 바뀌고 나서야 조금 깨닫는중)
    지금도 아까 한창 시끄럽더니 조용하네요...그러니까 지속적으로쉬지 않고 소리만 안내면 괜찬네요...
    사실 제 자판 치는 소리가 더 크군요 ㅡㅡ;;;
    한번도 아파트 생활안하고 제일 꼭대기 층 빌라에서만 살아서 위가 발소리 안내고 살았어요.
    그러다보니 윗집의 웬만한 발소리에는 티 안내려고 노력합니다.
    아들이 9살이 되니까 사람되가는지 이제서야 점잖아져 그렇치..
    그전엔 길바닥이고 집안이고 망아지 처럼 뛰댕기던 놈이였어요.
    adhd검사까지 할정도로 ㅡㅡ(정상범주지만 심한 개구장이는 맞습니다)

    층간 소음 아파트에 따라 다르지만....이정도면 아주 양호하게 잘 지내고 있습니다^^;;;;

  • 3. ..
    '12.1.25 4:47 PM (121.139.xxx.226)

    소음에 대한 민감도가 다른 듯 싶어요.
    저도 어릴때부터 길가 집??에서 살아 소음에 무심한 편인지라.
    윗집에서 뛰어도 별 신경이 안가더라구요.
    평소보다 더 심하게 발 소리 나면 윗집에 손님왔나.. 뭐 이런 상상도 하고
    대충 그냥 넘어가요.

  • 4. 원글
    '12.1.25 4:59 PM (112.152.xxx.25)

    지금 망치소리가 나는데 리폼하는것 같아요..ㅋㅋㅋㅋㅋ전 뭑 화가 나냐면..이런 소음이 얼마간 날껃 라고 미리 (소음이 심하게 날 일이 있을떄 평소 소음은 바라지도 않아요)양해라도 구했음 하는거죠.
    그름 아이들 방학이니 공부를 미리 시킨다는지...그후에 할수도 있자나요...그것빼고는 낮잠 자는 아가도 없으니 다른건 괜찬거든요 ㅋㅋㅋㅋ소음은 어릴때부터 노출된적은 없는데 그냥 그런가보다 합니다..윗님...
    윗님 저랑 똑같네요.찌찌뽕쓰~

  • 5. 나도그랬으면...
    '12.1.25 4:59 PM (59.11.xxx.81)

    댓글님들의 맘이 넘 부럽고 또 부럽습니다.

    저는 이미 "우당탕 할머니 귀가 커졌어요"에 나오는 할멈귀가 되버렸어요ㅜㅜ

    윗집 아이는 볼때마다 넘 이쁜데... 차라리 친해지면 덜 미울텐데... 왜 그 젊은 부부는 그걸 모르는지....

    넘 아니에요. 올라갔더니 되려 화내고 대들고...

    두돌쟁이, 초1 두 형제가 엄청시리 뛰어대고, 어른들은 쿵쿵쿵...

    넘 괴로워서 제가 먼저 오리고기 가지고 올라갔답니다. 아무소용 없어요.


    결론은 제가 바뀌는건데... 아직 상처가 크네요ㅜㅜ
    윗님들 존경합니다.

  • 6. ...
    '12.1.25 5:00 PM (175.253.xxx.4)

    전 좀 예민한 편이긴 한데여...

    윗집에 정말 피아노에 소질이 없는 아이가 있어여....이년 가까이 매일 한두시간씩 하던데 당췌 늘지를 않네여;
    본인도 힘들고 짜증나는지 가끔 쾅쾅 피아노 때려 부수는 소리 나고 연이어 아이 어머니 큰소리 내시고,,,ㅡㅡ;

    근데 머 잘 시간에 그러는 것도 아니고 공동주택에서 이정도는 이해하자 싶어서 헤드폰 꺼내쓰고 음악 들어여~

  • 7. ㅋㅋ
    '12.1.25 5:19 PM (59.24.xxx.208)

    뛰는 아이들이 귀엽다? 그 아이가 님의 아이라는데 확신함.

    그리고 아랫층에 피해주고 있다는 느낌.

  • 8. 원글님은
    '12.1.25 6:08 PM (211.215.xxx.64) - 삭제된댓글

    피아노를 쳐댄다고 하셨네요.
    피아노 소음은 생각보다 상당히 많이 퍼집니다.
    피해주는 윗집으로만 가면 다행인데 사방팔방으로 피해를 주죠.
    님 스스로 대인배라시니 제가 다 민망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6493 정치 잘 몰라요 ㅁㅁ 2012/04/12 829
96492 정치 스트레스, 피로도가 상당하네요 13 통합 2012/04/12 1,474
96491 김용민 `막말` 발언, CNN 홈페이지 게재 `망신` 15 호박덩쿨 2012/04/12 1,934
96490 문재인주, 안철수주, 박근혜주. 1 대세 2012/04/12 1,256
96489 광주에서 이정현이 결국 낙선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지요 6 ㄷㄷㄷ 2012/04/12 1,094
96488 인터넷,tv 보게 될까봐 있지도 않은 약속 만들어서 나갑니다 2 너무아파서 2012/04/12 844
96487 이번 총선 결과가 꼭 나쁜것은 아녀요.. 4 이제부터 시.. 2012/04/12 1,346
96486 겨드랑이에 땀이 안나는 사람도 있나요 7 그드랑 2012/04/12 2,471
96485 그래도 이번선거에 희망적인 것은 진보세력만 연대해도 해볼만 했다.. 2 ..... 2012/04/12 803
96484 18대 총선 의석수와 19대 총선 의석수 비교하니 6 잘한 싸움 2012/04/12 1,539
96483 박근혜는 어떤 사람인가요? 19 키키키 2012/04/12 1,761
96482 MB 심판 이제 지겨워요. 다음 대선에서 야권에게 바라는 점 2 새시작 2012/04/12 919
96481 이번 결과 받아드린다고 하지만 대선때는 어떠하죠? 1 부정투표건이.. 2012/04/12 660
96480 시장에서 신선도 떨어지는 딸기 샀는데 쨈만들어도 될까요? 3 ... 2012/04/12 792
96479 이 모든게 김구라 너때문이야 23 에잇 2012/04/12 3,621
96478 이엠파는곳 2 질문 2012/04/12 1,672
96477 정말로... 3 오늘은..... 2012/04/12 708
96476 20대 여성층의 투표율이 10%아래란 말이 맞나요? 15 궁금하네요 2012/04/12 2,025
96475 뚜껑을 열어보니 야권이 안일했네요. 3 ... 2012/04/12 1,039
96474 혹시 어린아이 연예엔터테인먼트사 다녀보신분 있으신지요? 3 ... 2012/04/12 1,330
96473 박근혜대세론이 아니라 한계론 아닌가요? 7 ... 2012/04/12 920
96472 4월 12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세우실 2012/04/12 585
96471 60대 이상 투표하지 말라고 8 아빠짱 2012/04/12 1,179
96470 강심장에 나온 정소민이라는 배우, 너무 비호감이지 않나요? 7 ... 2012/04/12 3,152
96469 진짜 궁금해서 그럽니다. 97년과 2002년에는 어떻게 이겼죠?.. 10 꾸즈 2012/04/12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