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친정 엄마 칠순에 의상 보통 뭐 입나요?

sue 조회수 : 3,729
작성일 : 2012-01-23 16:34:07

잔치를 하시는 건 아니고 참 애매한게

한정식집을 빌려서 친지랑 어머니 친구분들 모시고 간단히 식사를 하거나,

어머니 시골집에 초대해서 부페를 불러서 가든파티(TV에 나오는 거창한거 말구요, 소박하게)

같은 걸 하는 거, 이 두가지 안건으로 나뉘는데..잔치라면 한복을 입어야겠지만, 또

그건 아닌 간단한 식사같은 개념인데 좀 크게 보이거든요.

결혼은 했는데 아이는 없고, 나이는 30대 후반입니다.

친정 엄마랑 멀리 살아서, 일년에 두세번 얼굴 보면 많이 보는 거예요.(해외거주)

깔끔하게 라인 예쁜 검정색 원피스에 스카프나 목걸이 화려한 거 하고 가려고 했는데

어떤 며느리 되시는 분이 검은색 원피스 입고 간다고 하시는 글에 안된다고 말리시는 글이 있어서...

잔치이기 때문에 그런건가, 아니면 칠순생신엔 검정은 안되나 싶어서요.

안된다고 하시면 보통 어떻게 입으시나요? 정장풍으로 아이보리나 밝은 계열로

하나 사입고 가야 할까도 싶고 애매하네요.

 

(추가) 그리고 비행기를 타고 바로 갈 거라서 공항에서 옷을 갈아입어야 할 것 같아요.

그래서 가방에 넣어도 구겨지지 않는 천을 찾다보니 이 원피스가 걸린 거라서요.

아예 한복을 입는게 좋을까 계속 걱정이네요.

IP : 125.0.xxx.7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1.23 4:40 PM (211.237.xxx.51)

    왜 하필 검은색 원피스인가요;;;
    어쨋든 칠순생신이신거잖아요.. 잔치가 별건가요 요즘 잔치라고 거창하게
    사람 불러서 노래시키고 이런거 안해요..
    그냥 가족끼리 모여서 식사하고 절하고 그러는거죠..
    기혼 딸이나 며느리는 당연히 한복 입는건데....
    한복이 아무래도 경사스러운 분위기 내게 하는거죠..
    검은원피스는 장례식 복장 같아요.. 연세드신분 생신에 입기엔 너무 어두운 색상임

  • 2. 원글
    '12.1.23 4:44 PM (125.0.xxx.76)

    그냥 조용히 가족, 친구끼리 식사하는 자리에도 한복 입나요?

    깔끔하고 조금은 화려한 레이스가 있는 원피스인데 보통 경조사때 많이 입던 거라서
    그냥 입어도 될까 여쭤봤어요.

    그럼 검은색은 아니라 하시니, 새로 옷을 사야 할지 아니면 한복을 빌려야 할지 여쭤봐야겠네요~^^

  • 3. 한복
    '12.1.23 4:45 PM (125.0.xxx.76)

    제가 해외에 살아서 칠순 생신 전에야 한국에 도착해서 한복을 살 수도 없고,
    빌리려면 인터넷을 알아봐야 하는데....

    꼭 한복을 입어야 하나요? 다른 분들 어떠셨나요? 살짝 난감하네요.

  • 4. 즐거운
    '12.1.23 10:33 PM (218.38.xxx.126)

    저희 시아버님 칠순 때 가족 정도 30명 정도 불러서 부페에서 했는데,
    한복은 전혀...... 그냥 정장 입으셨던 것 같아요. 며느리인 저도 그냥 정장 입었고요. 시누이도 정장.
    제 생각에 이쁜 원피스 입으시면 좋을 것 같은데, 흰색/검정을 제외하고요.

  • 5. 한복까지안입어도...
    '12.1.24 1:11 AM (222.238.xxx.247)

    그몇일전 밥만먹는 부페에서하는 팔순잔치 다녀왔는데 아들며느리 딸사위 다들 편하게 옷입었어요.

    굳이 기생불러 잔치하는거아니고 일가친지모시고 식사대접하는거 편한정장(옷) 입으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4538 친구집에 가서 자고 오는 경우가 많은가요? 9 중1 여학생.. 2012/01/29 3,366
64537 제가 강아지를 괜히 키우기 시작했나봐요. 11 괴로워요 2012/01/29 3,502
64536 그냥 궁금해서 여쭤봐요.. 39살인데 유치원 다녔던 분들 많으시.. 51 유치원 2012/01/29 7,662
64535 남편이 하는 말.. 4 ,, 2012/01/29 1,713
64534 스킨 추천해 주세요 5 지나 2012/01/29 1,580
64533 시부모님께 아이 낳기를 미루겠다고 얘기해도 될까요? 11 며느리 2012/01/29 2,272
64532 밥상에 먼지 앉지 말라고 덮는 그거... 2 ... 2012/01/29 2,452
64531 무슨 뜻인가요? 3 슬퍼요 2012/01/29 1,435
64530 아들 설겆이하는동안 며느리가 소파에서 tv보고 있으면 기분나쁜가.. 3 나라별 여자.. 2012/01/29 2,313
64529 당장 다이어트 돌입합니다. 13 내맘대로 2012/01/29 3,418
64528 수저통 추천 부탁 .. 2012/01/29 1,426
64527 어제 술 먹고 온 남편 지갑 숨겨뒀어요... 9 --; 2012/01/29 2,288
64526 피부가 맑으신 분들,, 뭐드세요?? 21 .. 2012/01/29 7,322
64525 독서실책상 사면 공부잘되나요? 9 ^^ 2012/01/29 3,320
64524 35년간 년최저 2.63% 금리로 한국서 주택대출 입지 다질것... 6 대박 2012/01/29 2,005
64523 56년생 어머님은 환갑이 언제예요? 2 준비나 2012/01/29 8,719
64522 아이폰4 살까요 프라다폰 살까요? 1 soi 2012/01/29 1,562
64521 마크님 보소 ~ 2012/01/29 673
64520 1940~1950년대 무학은 정말 드물죠? 18 .... 2012/01/29 2,850
64519 맛있는 묵은김치 파는곳 아시나요? 3 ^^ 2012/01/29 1,976
64518 아반테 하이브리드 어떤가요? 1 경차 탈출 .. 2012/01/29 2,642
64517 층간소음으로 글올렸다 삭제했는데... 2 풍경소리 2012/01/29 1,105
64516 혹시 식초에 오이, 토마토 오래 묵혀놔도 되나요? 3 ㅎㅎ 2012/01/29 797
64515 영어(대화체) 해석 짧은 건데 부탁해요. 8 최선을다하자.. 2012/01/29 933
64514 13년 시슬리 썼는데, 마몽드도 완전 좋네요. 62 편견버리기 2012/01/29 17,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