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사상 떡시루 때문에 목멘 며느리가 있다고?

고은광순칼럼 조회수 : 1,550
작성일 : 2012-01-23 12:14:00

http://www.hani.co.kr/arti/opinion/argument/515729.html#thumb_up

 

죽음보다 현재의 삶이 중요하다

차별이 가혹한 시절 만들어진
허세적인 양반문화일 뿐이다
살아계신 동안 가족여행, 소풍,
오락회를 열어 함께 즐겨보자

조상 제사가 우리의 오래된 전통이 아니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중국 황실의 문화를 조선 왕실과 양반들이 모방한 것이며, 평민과 상민이 따라 하면 불러다가 곤장을 때릴 정도로 상류층이 독점했던 문화라는 것을 아는 사람도 많지 않다. 평민의 집 마당에 능소화를 심는 것도 허용하지 않을 만큼 배타적이고 독점적인 문화를 고집했던 것이 그 시절 신분제 사회의 질서였다.

중국 갑골문 전문가인 김경일 교수는 3300여년 전 중국 은나라의 조갑이 형을 해치우고 왕이 된 뒤 권좌에 오른 것을 합리화하기 위해 천신과 황하신에게 지내던 제사를 없애고 무당들로 하여금 까다로운 형식의 조상 제사를 관장하게 했다고 그 기원을 밝힌 바 있다. 이성계가 고려 왕을 배신하고 조선을 세운 뒤 세종 때 <용비어천가>를 지어 자기의 조상들은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갔으며 그런 조상의 후손임을 내세워 쿠데타를 합리화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우리나라에서 족보 만들기나 조상 제사가 대중에게 일반화된 것은 양반의 세도가 무력해진 일제강점기 이후의 일이다. 일제는 식민지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호적제도를 도입했고 성씨가 없던 평민과 상민들은 그때 비로소 성을 만들어 관청에 등록했다. 그러니 그 뒤로 만들어진 대부분의 족보가 가짜일 수밖에 없고, 김·이·박 3성이 전 국민의 45%를 차지하는, 세계에서 희귀한 ‘성 쏠림 현상’도 나타나게 된 것이다.

왕조 시대의 귀족들은 자기의 피가 다르니 감히 자신의 권력을 넘보지 말라는 차별화 전략으로 조상 제사나 족보를 이용했다. 프랑스 민중은 혁명을 성공시켜 독점권력을 무너뜨리고 자유·평등·형제애와 같은 새로운 가치를 내세웠지만, 조선의 백성은 외세의 침략으로 양반이 무력해지자 양반의 문화를 흉내 냄으로써 차별의 서러움에서 벗어나려 했다. 양반 또한 과거의 자존심을 잊지 않으려고 족보나 조상 제사를 고수했으니 일제강점기에 조상 제사는 전 국민의 행사가 되었다.





돌아가신 이를 기리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오래전 신분이나 성별에 따른 차별이 가혹했던 시절에 만들어지거나 유통된 문화가 지금에도 필요하거나 아름다울 리 없다. 작가 이문열은 제사상에 올릴 떡시루에 김이 안 올라 목을 맨 며느리에게서 섬뜩한 아름다움을 발견한다고 하지만, 우리 여성들에게는 이문열의 미적 취향이 섬뜩할 뿐이다.

조상 제사의 원조국인 중국에서도 이제는 사후 1~3년간만 아들딸 불문하고 형편 되는 자식이 상을 차린다. 우리의 관혼상제 문화에 아직도 허례허식이 많은 것은 그것이 창의적인 것도 아니며 차별적이고도 허세적인 양반문화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타이가에 살면서 지혜를 전하는 아나스타시야는 삶이 아니라 죽음을 기억하는 것은 그의 영을 깨어나지 못하게 하며 그를 죽은 상태에 묶어둠으로써 그의 영혼을 괴롭히는 일이 된다고 말한다. 윤회·내세를 믿지 않는다 하더라도 무덤, 비석, 수십년씩 이어지는 제례를 통해 죽음의 세계에 가두어 두고 후손을 위해 복을 달라고 비는 것은 망자를 위해서도 예의가 아니다.

어느 인디언의 시처럼 죽은 뒤엔 천 개의 바람이 되고, 눈 위의 반짝임이 되며, 곡식 위로 내리쬐는 햇빛이 되고, 고요한 아침 부드럽게 내리는 가을비가 되며, 새들의 날갯짓이 되고, 나는 별빛이 되는 것이, 된다고 믿는 것이 훨씬 좋지 않은가.

혹 꿈에 망자가 안 좋은 모습으로 나타났다고 무덤을 옮기거나 점집을 찾을 일이 아니라, 찬란한 빛 속에서 환한 미소를 띠고 세상 만물에 사랑과 축복을 내리는 모습을 수시로 상상해드리는 것도 좋겠다. 남들이 하니까, 옛날부터 해온 것이니 그대로 따를 게 아니라 합리적이고 창의적으로 생각하며 살아보자.

고령화 사회다. 살아 계신 동안 가족여행, 가족소풍, 가족오락회를 열고 검은 흙에서 돋는 초록 새싹과 노랗고 빨간 꽃에 감동받으며 새들의 예쁜 지저귐이나 나와 타인의 미소를 감사하며 함께 즐겨보자. 부모·조상의 유전자는 모두 내게 전해지는 것이니 나와 타인을 귀하게 여기며 서로 돕는 우리에게 조상들은 박수를 쳐주실 것이다.

IP : 14.37.xxx.16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9565 저는 삼십대후반의 일하는 주부입니다...(퍼온글) 4 별달별 2012/04/19 2,235
    99564 저희집은 벌써 모기가 등장했어요~ 2 지겨워 2012/04/19 729
    99563 피자를 어떻게 핑거 푸드로 변신(?) 5 시키나요? 2012/04/19 1,131
    99562 지방에 계신 부모님들 어버이날에 꼭 찾아뵙나요? 5 ... 2012/04/19 1,367
    99561 문대성 탈당 거부 근거로 박근혜 위원장의 언급을 제시 3 밝은태양 2012/04/19 1,029
    99560 학생 정서 행동 발달 선별 검사 설문지를 보내왔네요(초등학교에서.. 3 궁금이 2012/04/19 991
    99559 저처럼 국 안 좋아하는 분 계신가요? 21 ... 2012/04/19 2,946
    99558 곽노현이 박명기 처음안게.. 1 ... 2012/04/19 792
    99557 병행수입그리고 가방에 관심있으신분 봐주세요 2 2012/04/19 1,274
    99556 게임머니 피해 당해보신분 계신가요? 1 ㅠ.ㅠ 2012/04/19 701
    99555 화교논란의 전지현 가족사진~ 27 .... 2012/04/19 56,503
    99554 광명 사시는 분들께 여쭤요. 2 광명 2012/04/19 1,085
    99553 미국으로 친구에게 선물을 보내고 싶은데 추천해주세요. 3 감사의선물 2012/04/19 1,045
    99552 교통사고후 공업사에서 차 수리할때...? 1 ... 2012/04/19 1,120
    99551 포항 시민들에 ‘제수 성추행’ 김형태 왜 찍었나 들어보니… 4 단풍별 2012/04/19 1,711
    99550 친구의 비밀이야기 가족에게 하시나요? 13 2012/04/19 2,397
    99549 순정파 남자는 요즘도 인기없나봐요 ㅎㅎㅎ 5 2012/04/19 2,797
    99548 방금 어떤사람이 커터칼들고 돈내놓으라고 협박.. 8 풍요로운오늘.. 2012/04/19 2,090
    99547 '4.19혁명'과 이승만 이명박 '평행이론' 1 veroni.. 2012/04/19 748
    99546 다시쓰는 한국현대사 읽으신분들 5 박세길 2012/04/19 1,151
    99545 쉐타는 정말 관리가 6 어려워요. 2012/04/19 1,333
    99544 인절미만들때 찹쌀가루 조금 모잘라서 생찹쌀가루 넣으면 큰일날까요.. 인절미 2012/04/19 997
    99543 ‘무늬만’ 애플 공인서비스센터 소비자 ‘헛걸음’ 랄랄라 2012/04/19 933
    99542 매콤한 두부찌개? 간단한거 가르쳐주세요. 배고파 죽겠네요. 5 플리즈 2012/04/19 1,959
    99541 집에 프린터가 없으면 이럴 때 어떡하나요? 7 오디 2012/04/19 3,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