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분단비용이 많을까? 통일비용이 많을까?

safi 조회수 : 920
작성일 : 2012-01-22 20:29:18

*분단비용

분단되어 있는 기간 동안 계속해서 들어가는 비용이지요.  이미 60년이 넘도록 계속해서 분단비용이 들어가고 있고

앞으로도 들어가게 될텐데요. 군사비 지출이 무엇보다 가장 크죠. 대포사고, 전투기 사고 해병대 병사들이 밤새 서해를 지키도록 초소도 세우고, 북한군함이 상륙하지 못하도록 구조물도 세우고... ...

그리고 또 북한이 막고 있어서 우리가 동북3성으로 직선 비행을 못하니 항공비용과 물류비용등의 운송비가 불필요하게 계속 줄줄 세고 있지요.

물론 코리아 디스카운트 비용, 국제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경제가 저평가 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북한이라는 위험요소 때문이라는 건 뭐 다 아는 사실이지.. 이 막대한 경제적 마이너스를 계산하면 군사비 지출한 것보다 더 많을지도 모르죠!?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문제도 아닌데 세계에 무슨 이상 기류라도 생기면 대한민국에 투자된 외국 자본이 제일 먼저 빠져나간다죠~~

분단상태를 지키기 위해서는 요런 비용들이 굵직굵직하게 계속 낭비된다는 것...

또한 전쟁에 대한 두려움, 공포감,

천안함 장병들의 생명, 북핵문제 등의 돈으로 계산 못할 무수한 비용과 희생이 분단비용으로 지출되고 있지요.

 

*통일비용

우선 중요한 것은 통일비용을 마치 북한을 남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비용으로 오해하면 안 된다는 겁니다.

그것은 통일비용으로 책정하는 것이 아니라 통일 이후에 생각해야 할 문제인겁니다. 요걸 생각하느라고 통일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통일 이후에 북한 경제를 어떻게 할 것이냐를 생각하다가 북한에 죽어가는 우리 동포들을 영영 구해내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

통일은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 통일비용은 사람을 살리는 비용!

통일 이후의 비용은 어떻게 사느냐? 더 잘 사느냐의 덜 잘 사느냐의 문제라는 것!!

 

통일비용은 계속해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한시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이지만

분단비용은 통일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들어간답니다. 그리고 통일되고나면 분단비용으로 지출된 상당부분들이 무용지물이 되거나 폐기물처리해야 한다는 것.

그러나 통일비용은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남는 비용이지요.

대한민국 땅이 넓어지죠, 지하자원이 엄청나게 늘어나죠. 무엇보다 생명을 살리게 되니 말입니다.

 

쩐의 원리로도 통일이 분단보다 나은 것 같은데... 아닌가요???

IP : 220.79.xxx.69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정의부터 명확히
    '12.1.22 9:53 PM (123.243.xxx.112)

    분단 비용은 무슨 이유로 무엇무엇이고
    통일 비용은 무슨 이유로 무엇무엇인지부터 명확히 선을 긋고 정해야
    비교할 수 있지요.

    베트남이건 예멘이건 독일이건,
    나뉘었던 나라들이 통일한 사례들을 보면 통일 비용이 확실하게 천문학적이라는 건
    분명히 드러나 있는데,
    분단비용이란 건 실체가 명확하지 않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415 제가 문제겠죠? 이런모임.. 3 유치 2012/01/31 1,247
65414 30만원주고 오리털 패딩인데 살까말까 갈등이 ㅠㅠ 9 갈등 2012/01/31 2,685
65413 매일 야근... 체력관리 어떻게 하세요? 6 홍삼?? 2012/01/31 1,899
65412 헤어스타일 유감.. 1 놀람 2012/01/31 1,014
65411 쓸쓸한 생일... ... 2012/01/31 760
65410 침대 메트리스 커버 고무가 터졌어요. 1 ss 2012/01/31 795
65409 친한 아파트 이웃이 이사간대요~~ 3 손님 2012/01/31 1,989
65408 침대 커버 몇세트씩 있어야 하나요? 2 궁금 2012/01/31 973
65407 상품권을 등기로 보내도 될까요? 3 입학선물 2012/01/31 861
65406 올해토정비결 보고와서 3 부모님 2012/01/31 1,000
65405 리빙원데이 세일제품 콕앤* 제품이요~,, 지름신 2012/01/31 605
65404 추우시죠? 낮엔 보일러 끄고 이러고있어요 6 지금 2012/01/31 1,933
65403 병원 입퇴원확인서도 담당의사 확인? 1 병원 2012/01/31 1,918
65402 김밥 말았는데 낼까진 괜찮겠죠? 4 ........ 2012/01/31 1,034
65401 맞춤법 이야길 보니 어제 들은 이상한 대화 8 의인화 물신.. 2012/01/31 1,784
65400 연아는 이제 피겨 안하나요? 97 급 궁금 2012/01/31 9,347
65399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요 풀하우스 잼있나요? 저는 그거 9 개콘 2012/01/31 1,128
65398 서점에서 폰으로 책 찍어가는 거 범죄 수준 아닌가요? 9 네가지녀 2012/01/31 2,897
65397 광화문 출근 3호선 근처 전세 알아보는데요~ 4 전세 2012/01/31 1,496
65396 이쁜 여배우 이야긴 많지만.. 깜찍해서 좋아하는 여배우 있으세요.. 16 깜찍 2012/01/31 3,023
65395 독서 퀴즈 사이트 독서 2012/01/31 1,199
65394 [원전]한국에서 원전 사고가 나면 어디로 도망가야 할까? 5 참맛 2012/01/31 1,522
65393 허경환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송병철도 잘생긴 개그맨 아닌가요?.. 18 와우 2012/01/31 6,476
65392 빛과 그림자에서 남상미 캐릭자체가 겉도는거 같지 않나요 5 남자의 로망.. 2012/01/31 1,625
65391 아줌마들 몇몇이서 보기 좋은 영화없을까요 5 블루 2012/01/31 1,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