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아직 미혼인데 맞벌이 부부들은...

eyagi 조회수 : 2,196
작성일 : 2012-01-19 21:07:12

직장생활이나 일을해서 수입이 생기면 각자 개인의 재산이 되는건가요?

아님 부부 공동의 재산이 되는건가요?

생활비나 양육비는 공동으로 책임을 지겠지만

그밖의 저축하는 돈이나 보험료 집세 등등은 어떻게 부담을 하게되나요?

내가 번돈을 내가 맘대로 못쓰게 되는건가 해서요.

IP : 175.121.xxx.14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정하기
    '12.1.19 9:09 PM (125.128.xxx.98)

    나름........

  • 2. 결혼 생활의
    '12.1.19 9:13 PM (122.55.xxx.230)

    정의 및 가치관을 어떻게 정하시냐 나름 아닐까 해요. 저는 부부는 같은 곳을 바라 보면서 발을 같이 묶고 뛰는 경기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집이던 노후이던 어떤 목표를 향해 같이 가야하므로, 돈 관련 문제는 오픈하고 매달 정산 하고 있습니다.

  • 3. ..
    '12.1.19 9:26 PM (211.172.xxx.193)

    각자 관리해요. 남편이 생활비 좀 주고요. 재테크도 각자 자기 돈 책임지고 해요. 남편돈 제가 맡았으면 망했어요. 또 제돈은 제가 맘대로 하고 싶구요.

  • 4. ㅇㅇ
    '12.1.19 9:36 PM (58.233.xxx.45)

    결혼전에 여자가 가지고 있던 비상금 아닌 이상, 결혼후에도 다른 주머니 차는 건 좀 그래보여요
    같이 돈 모아야 더 빨리 모으구요..

  • 5. ..
    '12.1.19 10:28 PM (211.172.xxx.193)

    집마다 다른거죠. 각자 관리하는 집도 있을텐데 알아서 할 일 아닌가요. 부정적으로 말할 필요는 없을 거 같아요. 그래보인다니 좀 그렇네요. 둘다 돈에 꼼꼼하게 신경 쓰지 않고 별로 관리를 해야 할만큼 지출이 없는 편이니 급여계좌도 다르고 그냥 두는거죠. 투자하고 싶은데 투자하고 대출같은거 받을때도 각자 명의로 하구요. 굳이 이계좌에서 저계좌로 옮기고 하는것보다 전 이게 더 편한네요.
    우리집은 맞벌이 세전 1.5억 부부인데 따로 관리하는데 작년에 3.5억 모았어요. 남편한테 일임했으면 더 모았을지도 모르지만.
    남편과 전 재테크 관심분야가 다르고 남편이 재테크를 잘하는니까 알아서 하는데다가 전 제가 생각하는 쪽으로 재테크를 하고 싶거든요. 아마 고집이 있어 그런거 같아요.
    그리고 따로 관리한다고 부부사이에 상막하게 네돈내돈 하는걸 의미하는건 아니에요. 그냥 그게 편할 뿐.
    한사람이 관리할거 두사람이 하면 분산투자도 할 수 있고요.
    따로 관리하지만 계좌나 증권계좌만 다를 뿐 뭐 뻔히 알고있죠. 남편 조언대로 투자하기도 하구요.
    제일 편한건 결산이 쉽다는거. 내가 얼마벌고 얼마 저축하고 얼마 투자해서 얼마 벌었는지 잘 아니까 그냥 계좌에 남아있는 잔액이 알려주니까 그런게 편리해요. 재산명의는 집은 같이 사서 공동명의로 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9077 시댁 육촌 결혼식 9 .. 2012/03/28 2,147
89076 이 노래좀 찾아주세요ㅠㅠ 미네랄 2012/03/28 848
89075 일본언론은 이번선거를.. 3 .. 2012/03/28 959
89074 진보신당 10대 정책 1 - 탈탈탈! 한국사회(벗어나야할 5가지.. 3 나거티브 2012/03/28 705
89073 “MB까지 알았다!”조중동, 숨기고 싶니? 3 그랜드슬램 2012/03/28 1,142
89072 이 시 뜻 풀이 해주세요 1 천일홍 2012/03/28 699
89071 19그리고 80. 어떠셨나요 ? 연극 2012/03/28 909
89070 으이그....문도리코 이번엔석사논문 토씨하나 안틀리고 복사? 3 .. 2012/03/28 1,101
89069 이자스민 사무실 번호도 안 갈켜주네요 2 콩나물 2012/03/28 1,367
89068 영국은 미성년자에게 휴대전화 사용을 금하고 있나요? 3 영국 2012/03/28 919
89067 시민사회원로들도 드디어 나선대요~! 드디어!! 4 도리돌돌 2012/03/28 1,024
89066 경옥고 먹어도 될까요 1 신지로이드 .. 2012/03/28 1,764
89065 교육보험 만기로 타 보신 분 계세요? 5 오랜 세월 2012/03/28 1,940
89064 젊잖다라는 말은 없어요 3 ~~~ 2012/03/28 1,597
89063 조금 더 좋은집으로 이사가고 난후. 5 따뜻한 저녁.. 2012/03/28 3,238
89062 유아들에게 사용하기 좋은 어플 추천해주세요. 2 어플추천 2012/03/28 880
89061 범계역주변에 삼겹살 잘하는 식당 추천해주세요~ 범계역 2012/03/28 610
89060 고등학생 보험 다들 있으신가요? 7 보험 2012/03/28 1,109
89059 한국이 살기 힘든건 맞는데 그 이유가 뭐냐면요 83 비교 2012/03/28 15,165
89058 네티즌들 머리 참 좋네요 3 ... 2012/03/28 1,641
89057 주진우한테 딱걸린 BBK검사들 신영철 대법관에게 탄원서 보내 11 밝은태양 2012/03/28 1,898
89056 다른 나라도 일부 빼고는 죽어라 일해야 먹고사나요? 7 ... 2012/03/28 1,559
89055 배달 완료라고 뜨는데 택배는 받지도 못하고..ㅠㅠ 8 택배 사고?.. 2012/03/28 2,429
89054 4대강 전도사들 찍지마 구럼비 2012/03/28 718
89053 82님들 부러워요 2 렌지 2012/03/28 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