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왜 의사집안엔 의사나고 그럴까요?

신기해요 조회수 : 7,900
작성일 : 2012-01-19 13:41:17

물론 타고나기를 명민하게..그런 유전자를 공유하긴 하겠지만

 

왜 의사집안, 박사집안, 법조계집안 같이

직업을 부모와 자식이 공유할 수 있을까요?

 

상위 영점 몇 프로로 공부해야하는데...

 

애들 공부에 돈을 많이써서 일까요?

아님 집안 분위기?

 

암만 생각해도 참 어려운 퍼센트인데...가능한게 신기해요

IP : 211.173.xxx.150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9 1:43 PM (180.230.xxx.122)

    의사집안에 의사도 나기도하고 어디들어본 적도 없는 대학 나온 애들도 있어요
    의사집안에 의사가 나면 더 유심히 보고 기억하니까 그런거죠.

  • 2. 곰돌이
    '12.1.19 1:45 PM (121.149.xxx.217)

    뭐 좋은 직업이니 꼭 자식도 했으면 좋겠다 싶어서 시키는 경우가 많아서 겠죠.
    서울권이 안되면 꼭 지방의대라도 보내더라구요.
    제 주위에서 보면요.

  • 3. ㅇㅇㅇ
    '12.1.19 1:48 PM (121.130.xxx.78)

    보고 배우는 것도 만만치 않거든요.
    부모가 술 담배 쩔어살면 난 저러지 말아야지 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주 드물고
    저절로 몸에 뱁니다. 생활 습관이.
    부모가 절제하고 검약하고 성실하다면 자녀도 알게 모르게 그렇게 되고요.

    나랑 맨날 놀아주는 우리 아빠가 의사더라.
    의사? 별거아니네. 나도 나중에 아빠처럼 되야지.
    아이가 이런 마음 먹기도 쉽고 아이가 마음만 먹는다면 부모가 이끌어주고
    뒷바라지 해주기도 여건이 되니 쉽겠죠.

  • 4. ㅇㅇ
    '12.1.19 1:54 PM (115.161.xxx.209)

    의사들은 자식도 의사가되기 바라고
    아이들도 자연스럽게 의사가 되겠다는 집이 많더라고요.
    어릴때부터 집안분위기도 그렇고요.

  • 5. 그게
    '12.1.19 1:55 PM (61.79.xxx.61)

    보고 배운 것에..
    쉽게 경로를 아는 거 같아요.
    요즘은 부모 직업 이어받는 것 같은..
    너무나 부모와 비슷하게 자식들이 가는거 같아 걱정스럽군요.

  • 6. ㅇㅇ
    '12.1.19 2:01 PM (121.134.xxx.41)

    제가보기에도 동기부여가되는거같아요
    의사들은 돈도잘벌기도하지만 또 사회적으로도 뭐랄까 좀 대우받기도하잖아요
    그래서 저런직업이 좋은 직업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고 동기부여가될거같아요
    부모가 유도하기도하구요

    그리고선생님직안도엄마 딸 선생님 많고
    교수집안도 교수 부모자식 많잖아요
    본인들이 해보니까 이런직업만한게 없다 이런생각이드니까 부모들도 유도하고
    자식들도 보고배워서 그렇게 되는듯

    요즘 청소년들 보면 연예인이 꿈인 애들이 대부분이라고하잖아요

    사실 저런전문직 부모를 둔 자식들 말고 저같은 평범한 직장인 부모를 둔 아이들이 접하는 직업은

    연예인이 다인거같아요 -_- 그래서 막연하게 재밌을거 같고 화려한 인생인것같아서

    연예인이 되고 싶다고 생각하는것 같고..

    미리 간접적으로라도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해주는것이 아이들한테 좋은것 같아요

  • 7. 경로, 정신력
    '12.1.19 2:11 PM (114.207.xxx.163)

    쉽게 경로를 아는 거 같아요. 22222222
    본인 잠재력이 있어도 안 가 본 길에 대한 두려움이 막연히 있거든요.
    부모가 열심히 자기 일 하는 거 자체가 안 가 본 길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해 주는 거죠.

    저희집의 경우, 의사는 아니셨지만 아버지가 엘리트이셨어요,
    공부하며 어려운 일 닥쳤을 때, 과연 내가 할 수 있을까 하는 회의대신
    우리 아버지 딸이니까 난 이 정도는 할 수 있어 이런 단단한
    정신력이 생겨요.

    어깨너머로 배우는게 커요, 제가 동화 책 출간하려다 포기한 적 있는데요,
    심지어 포기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그 과정을 입으로 읊어 주다 보니
    저희 아이는 책 쓰는 일이 누구나 할 수 있는, 아주 가까이 잡을 수 있는 것이라고 느끼더군요.
    제목은 딸기도서관인데, 저에게 빵모양 쿠션 갖다주며 2편 빵도서관도 쓰래요.
    자기가 내용도 대충 잡아주고 ^^

  • 8. ㅇㅇㅇ
    '12.1.19 2:15 PM (121.130.xxx.78)

    요즘은 연예인이나 스포츠선수도
    자식 대물림 많이 하더군요.

    일단 연예인은 타고난 외모나 끼,
    운동선수는 특출한 신체조건과 재능이 유전되고
    거기에 부모의 기반과 노하우가 얹어지면 상승세를 타는 거죠.

    물려받은 재산 말고 일반인이 수십억 부자가 가능한 직종이
    연예인과 운동선수이다 보니 힘들고 험하다해도 재능이 보이면 밀어주나봐요

  • 9. 현실적
    '12.1.19 2:20 PM (211.44.xxx.175)

    주변에 전문직종의 가족, 형제가 없는 경우
    의사, 변호사, 판검사가 그저 나와는 상관 없는 먼 나라 일이라고 생각해요.
    반대의 경우는 현실적인 선택지이고.
    누구에게는 비현실적인 꿈인 것이 누구에게는 당연한 현실.

  • 10. 언니부부의사
    '12.1.19 2:58 PM (110.12.xxx.164) - 삭제된댓글

    조카가 자발적으로 자기도 의사될거라고..
    저희집은 남편이 IT,아이가 자기도 같은 계열 직업 갖고 싶다고 하네요.
    직업 자체가 좋다 돈을 많이 번다 이런거로 선택하는 것보다는
    가까이에서 접하는 직업군이라 그런것 같아요

  • 11.
    '12.1.19 3:02 PM (175.125.xxx.37)

    외가가 의사 친가가 교육자 집안인데요.
    외가쪽 사람들의 공통점은.. 이과머리는 좋으나 진득하게 학문을 연구하는 타입은 아니예요. 대신 다방면에 관심이 많고 사교성이 좋음.
    친가쪽 사람들의 공통점은.. 성실하고 인품이 훌륭하나 전형적인 학자타입으로 다소 심심하고 재미없는 성격의 소유자들..

    타고난 학문적 머리 + 성향이 큰데다 접근성이 높아서겠죠.

  • 12. 돈 보다는
    '12.1.19 3:18 PM (211.230.xxx.149)

    집안 분위기죠.
    남편이 특이한 직업군인데 자식들이 같은 길을 가는 경우가 점점 더 많아져요.
    아마도 부모가 잘 알고 그 정보가 아이들에게로 전달되니까 쉽게 동기부여가 되는 점이 주요한듯..

  • 13. 당근
    '12.1.19 4:34 PM (203.255.xxx.127)

    분위기가 제일 중요하겠죠. 물론 안그런 경우도 있지만 많이 접하면 웬지 익숙하고 안하면 안될 거 같고, 그리고 결정적으로 그 길에 대한 정보를 누구보다 많이 갖고 있겠죠.

    참 이렇게 쓰고 나니 웬지 더 서글픈데요. 나도 내 딸한테 제대로 된 분위기를 조성시켜야 되는데 텔레비젼이나 보고 밥만 많이 먹고 ㅜㅜ 쇼핑이나 다니고

  • 14.
    '12.1.19 5:53 PM (122.34.xxx.39)

    저희아들도 아빠가 의사라 어렸을때부터 시킨적도 없는데 무조건 꿈이 의사에요.
    늘 아빠가 아들의 멘토라 그런거 같아요. 늘 아빠처럼 되고 싶어하니까요. 꿈이 다 이루어지는건 아니지만 한번도 그꿈이 변하지않는거 보면 신기해요. 글구 이과쪽 머리가 확실히 발달되있어요. 과학 수학이 젤 재밌대요..

  • 15. ....
    '12.1.19 6:19 PM (122.34.xxx.15)

    유전80+ 부모를 보고 습득한 습관이나 근성20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414 남자들은 항상 남의탓인가요....? 4 답답녀 2012/01/25 1,048
63413 일학년 수학 더하기 가르치는데 어느수준까지 해야하나요? 1 수학 2012/01/25 634
63412 타은행 입금 되죠? 1 현금 지급기.. 2012/01/25 2,310
63411 한가인 지금 연기... 14 응? 2012/01/25 3,830
63410 MBC 기자들의 제작거부!! 3 아마미마인 2012/01/25 954
63409 진중권씨가 야당 성향의 사람 아니었나요? 29 뭐가뭔지 2012/01/25 2,066
63408 한가인 첫대사 뱉는순간... 7 ㅇㅇ 2012/01/25 4,021
63407 골때리는 언론의 이준석 사랑 1 ... 2012/01/25 715
63406 첫애 출산준비물. 이렇게 물려받아 쓰는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11 음음 2012/01/25 2,128
63405 영주권 포기하신분 계신가요 8 영주권 2012/01/25 3,311
63404 돈으로 산게 평화인가요, 상인가요 3 sukrat.. 2012/01/25 710
63403 학원비는 연말정산이 되는건가요 안되는건가요? 1 2012/01/25 1,859
63402 만두를 만들어 국끓이니 껍질이 분리되네요ㅠㅠ 5 훌러덩 2012/01/25 1,738
63401 캠퍼 메리제인 슈즈 어때요? 3 .. 2012/01/25 2,301
63400 줄넘기,런닝머신 하면 무릎 시큰거리는 분? 2 ... 2012/01/25 1,957
63399 아프리카 탈핵 토크쇼 - 닥치고 탈핵 1 사월의눈동자.. 2012/01/25 454
63398 뉴스시간 변경됐어요. 2 뉴스 2012/01/25 1,150
63397 솔직히 가정폭력쓰는 남편만 아니면 다 보듬고 살만할거 같네요.... 4 ... 2012/01/25 2,443
63396 마음이 지옥입니다 님, 6 남편바람과 .. 2012/01/25 2,208
63395 사용해보신 분 추천 부탁해요...^^ 6 캡슐커피머신.. 2012/01/25 1,326
63394 혹시 남미쪽 브라질 칠레 파나마시티 거주하셨거나 여행다녀오신 분.. 2 sunny 2012/01/25 1,102
63393 SK II 화장품 쓰시는 분들께 질문.. 5 아줌마 2012/01/25 1,740
63392 시아버지와 세뱃돈 1 눈물 2012/01/25 1,220
63391 두돌된 우리 아드님 하루하루가 즐겁나봐요... 5 아드님 2012/01/25 1,911
63390 초등생 지하철탈때 표 어떻게 사는건가요? 3 무인시스템 2012/01/25 1,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