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방금pd수첩을 다시보기했는데요...

ddd 조회수 : 1,789
작성일 : 2012-01-19 00:38:49

정말 가슴이 답답하네요..

한편으론, 아이를 갖기 않기로 결정한게 너무 다행이다 싶기도 하고...

갚을길 요원해 보이는 대출금 수천만원씩 지고 있으면서 외벌이에,,, 아이 둘을

키우는 내또래 가정의 부모를 보니 너무 안됐기도 하고

무슨 나라가 이모양이니 화도나고 그러네요.

 

저도 결혼전에 중산층 가정에서 별 어려움없이 생활하다가

전세대출 받으며 빚으로 시작해 아직 수천만원 빚이 있고, 올 8월 전세만기땐

또 이사를 해야하는 어려운 형편이지만

맞벌이에.....다행이다 해야할지;;; 불임부부라 아이없이  그래도 나날이

대출금은 잘갚아가고 있어

빚을지고 시작한 다른 부부들에비해 그렇게

어려움은 느끼지 못하고 있어요.

 

결혼 3년차 되면서 시험관을 해볼까 생각도 해봤지만,

일을 그만두고 육아에 들어가는 엄청난 돈, 앞으로 수천만원씩 오른 전세값 맞춰 살거

생각하니 아이하나 가지는 기쁨보다  경제적인 어려움을 이겨낼 자신이 없어

신랑의 끈질긴 시험관 요구에 응하지 않았던게 지금은 얼마나 다행인지...

이 방송 보면서 안도하고 있네요.;;;

 

물론 나중에 경제적으로 안정이되면 아이가 없는 빈자리가 크게 다가올지도 모르겠지만

대한민국이 지금 너무 돈이없는 약자들에게 가혹한 시기인거 같고, 이 사회적인 불평등이

그 어떤 노력으로도 쉽게 바뀔거 같지않아, 빚을 다 갚고 좀더 누리며 살기 위해서(누린다고 해봐야 빚없이 사는거;;)

아이를 가지지 못한게 앞으로도 그렇게 한스러울거 같진 않네요.

 

벌써부터 친구들 아이 교육문제로 골머리 썪는거 보면 그냥 이렇게 부부가

맞벌이 하면서 같이취미 생활 공유하고 조금 여유가 되면 봉사도 하고 기부도 하면서

그렇게 사는것도 나쁘지 않다 싶어요.

 

하루종일 열심히 일해도 벗어날수 없는 빚이라면 그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하나요?

정말 사회가 다같이 고민하고 해결책을 찾았음해요..

 

복지에 예산을 조금만 증액해도 나라 망한다고 외치는 사람이 대통령이라,,

이정권에선 기대할거 하나없지만, 앞으로 좀더 서민이 희망을 꿈꿀수 있는

정치인을 뽑고 같이 노력하면 상황이 개선될수 있을거라 기대해봅니다.

 

방송보고,,,마음이 너무 무거워 주절거려봤네요..

 

 

 

IP : 116.127.xxx.16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에휴..
    '12.1.19 12:48 AM (175.125.xxx.77)

    피디수첩에서 맞벌이하다가 대출받고 대출이자를 못갚아서 다시 사채쓴 여자분 인터뷰 보셨나요

    1천만원 빚에서 그다음해 3천되고 그 다음해 5천되서 결국 이자탕감신청한...

    그 여자분도 맞벌이하다가 출산으로 그만두고 다시 재취업하니 월급이 예전엔 남편보다 많았는데
    지금은 더 적고 그것도 다 아기 봐주는 아주머니에게 들어가고 나니 저축은 커녕 그렇게 빚을 지게되었다는..

    휴..

  • 2. 콩나물
    '12.1.19 12:57 AM (211.60.xxx.48)

    저와 같은생각을 하신분은 없나봐요..
    사천대출에 월 이백을 이자로 내던데...
    러쉬애캐쉬같은 대출업체에 대한 강력한 조치와
    국가에서 은행한테 서민을 위한 대출폭을 넓혀야해요

    말도 안되는 상황이더라고요
    보통 카드깡하다 몰리면 사업체에서 대출을 받게되면 여기서부터 바닥이더라고요

  • 3. 콩나물
    '12.1.19 1:01 AM (211.60.xxx.48)

    저역시 신혼때 둘 다 백수된 상태로 임신이 되어 힘들게 살았던 적이 있어요

    카드로 현금 뽑아쓰던 시절이였는데
    그때 생각하니...만약 제가 카드를 돌려막다 못했다면.. 생각하니 아찔하더라고요

    우선 대부업체 빛이 참 무섭더라고요

    힘들었을때 큰애 지우러 병원갔다 초음파에 심장뛰는걸보고 울면서 나온 기억이 나네요

    대부업체...이자율 어떻게 국가에서 제어가 안되나요? 버젓이 광고까지 하면서...휴

  • 4. ...
    '12.1.19 1:39 AM (211.207.xxx.188)

    빛---> 빚

  • 5. 흔들리는구름
    '12.1.19 2:32 AM (61.247.xxx.188)

    국민이 노예에요.

  • 6.
    '12.1.19 9:15 AM (222.98.xxx.193)

    개인의 문제로 치부했던 가난과 그 대물림..이젠 정말 복지와 분배에 신경을 써야하는데. 이노무 개판인 정부는 나몰라라 내주머니 채우기에만 급급하니 원....

    근데 다른얘기긴하만요
    아기 한명 있고 집에서 20분거리 재래시장 다닌다던 부부
    그집은 아직 절약에 대한 마인드가 안잡힌거같아요
    두식구(아기 어리니) 먹을거리를 차가지고 재래시장가서 살만큼 아닌거같던데 게다가 가계부 보여주며 식비지출이 예산에서 10만원초과라는데 거기에 배달음식과 외식이 정말 열몇줄가계부 지출내역중에 8만원 넘게 적혀있더라구요. 치킨 치킨. 추어탕. 피자... 외식만 줄여도 예산안넘는 지출일텐데...

  • 7. 단칸방
    '12.1.19 9:43 AM (114.206.xxx.64)

    저는 그 방송 보며 이해할 수 없는게 그렇게 대출을 받아 살 정도로 어렵다면서 굳이 아파트 샐활을 해야하는지...나이도 많지 않은 거 같던데 원룸이나 단칸방에서 시작하면 빚 부담은 덜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요즘 젊은 사람 자기 형편에 상관 없이 하는 건 다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사는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0234 오늘 고쇼에 빅뱅 나오는데..... 25 밀가루 2012/04/20 4,623
100233 래미안 대치청실이 최첨단으로 장난 아닌 재건축이 될거 같은데 6 ... 2012/04/20 3,156
100232 모시조개 살려주세요.. 3 살림왕초보 2012/04/20 881
100231 통합유치원이나 통합어린이집 관련 정보 어디서 얻을 수 있나요 ?.. 4 힘내자요 2012/04/20 1,365
100230 예전에 일인용 커피 내리는컵이랑 커피 1 좀 찾아주세.. 2012/04/20 1,455
100229 서영석의 트윗 1 .. 2012/04/20 1,396
100228 요즘은 거의 계급사회같아요 11 2012/04/20 4,333
100227 쌓인게 너무 많아 사과해도 용서가 안되요 2 무한 2012/04/20 2,060
100226 정말 창피하고 기가 막힙니다 24 후리지아향기.. 2012/04/20 16,974
100225 갤럭시2 고민인데...이왕이면 LTE 로 하는게 좋겠쬬? 9 고민녀 2012/04/20 2,175
100224 다음타자 올라오시요.. . 2012/04/20 737
100223 웨지샌들 편한가요? 2 화초엄니 2012/04/20 1,508
100222 왼쪽귀가 왜이러지~? 1 twomam.. 2012/04/20 746
100221 김형태, 문대성..아웃되고.. 하태경은요?? 6 단풍별 2012/04/20 1,466
100220 구매권 생겼는데 괜찮은 제품 추천 좀 부탁드려요. 노스페이스 2012/04/20 544
100219 LG U+ 어떤가요? 2 tv고민 2012/04/20 1,040
100218 의료보험 이번달에 폭탄 맞았네요 ㅠㅠ 13 ㅠㅠ 2012/04/20 5,507
100217 어떤거 사야 하나요? 1 치간치실 2012/04/20 639
100216 스텐레스 국자 색이 변했어요,,써도 괜찮은걸까요. 1 즐겨찾기이 2012/04/20 1,589
100215 조산기있는 임산부 이삿날 어떻게 할까요? ㅠㅠ 1 이사 2012/04/20 1,300
100214 한살림 견과류 쌈장 조리법 아시는 분 계신가요? 살림의 여왕.. 2012/04/20 1,304
100213 키우기 쉽고 향기나는 식물 뭐 없나요? 10 향기나는 식.. 2012/04/20 8,774
100212 국민대, 문대성 논문 예비조사서 "표절"(2보.. 9 세우실 2012/04/20 1,645
100211 돌잔치 축의금 15만원 8 조언구함 2012/04/20 7,469
100210 아이가 맞고 오면 담임선생님 혹은 상대 아이 엄마한테 전화하시나.. 13 T.T 2012/04/20 2,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