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할머니 세뱃돈 조언 부탁드려요.

..... 조회수 : 997
작성일 : 2012-01-18 18:06:17

결혼후 6년만에 외갓집에 가볼려고 합니다.

결혼을 하니 외갓집에 갈 수가 없더군요.

결혼 첫해에 남편 인사 시키러 한번 간 외에 6년만입니다.

올해는 아이가 생겼는데, 아이 돌잔치를 직계가족만 모셨던지라,

이모님들이 저희 아이 보고 싶으시다고 야단들이셔서

시부모님께 양해를 구하고 외갓집에 가게 되었습니다.

저희 아이를 이번에 처음 보여드리는 거지요.

결혼을 하니 이렇게 되네요.

 

그런데 세배를 하면 세뱃돈을 드려야 되지 않겠습니까.

이모들께는 세뱃돈 드릴 필요는 없을테고.

문제는 외할머니인데..

외할머니가 너무 젊으십니다.

 

엄마의 새어머니시거든요.

이제 겨우 65세.

 

80대 할머님도 아니고 65세 할머님께

3만원 용돈으로 드리기엔 너무 적은 금액이에요.

하지만 10만원은 참으로 부담스럽기도 해요.

 

아시다시피 이것저것 명절에 들어갈 돈이 워낙 많기도 하고.

또 손 부끄럽게 그냥 가지 않고 외갓집 방문 선물도 준비해두었거든요.

(국산 참기름과 생들기름 세트요.)

 

참, 5살, 7살 사촌동생들에게는 세배 받지 않아도 되겠지요?

얘네들에게 세뱃돈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IP : 61.255.xxx.84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냥
    '12.1.18 6:09 PM (180.64.xxx.147)

    셔츠 같은 거 한장 사다드리세요.
    돈보다 그게 더 나을 거 같아요.

  • 2. 가을
    '12.1.18 6:12 PM (121.101.xxx.200)

    5만원만 드려도 되지 않을까요..외손녀인데..
    저희는 시댁할머님 생신때..
    5만원 드려요..노인정할머님들과 노래방 가시라고..ㅎㅎ

  • 3. ㅁㅁㅁ
    '12.1.18 6:15 PM (115.139.xxx.16)

    전 친정 부모님께 용돈 안 드리는 대신(선물은 챙김)
    외할머니께는 넉넉히 드리는 편인데..
    그건 제가 어릴 때 외할머니 손에서 커서 그런거고.

    원글님 같은 경우는
    엄마가 어릴 때 외할아버지께서 재혼하셔서.. 새외할머니가 친정엄마를 양육해 주셨으면
    10만원과 선물 드리고(꼬맹이들 세뱃돈 패스~ 애들 주는 돈은 그냥 어른께 더 드리세요)
    엄마 다 커서 재혼하셔서, 엄마 양육하지 않은 경우라면 그냥 선물만 드리세요

  • 4. ...
    '12.1.18 8:00 PM (110.14.xxx.164)

    선물만 드려도 되고, 오만원 정도면 될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918 친정없는 명절에 시댁에서 시누 맞이하기 10 휴=3 2012/01/24 3,684
62917 김어준의 뉴욕타임스157 보세요. 8 재밌어요. 2012/01/24 1,885
62916 외국에서 쓴 교육비도 연말정산 되나요? 7 혹시 2012/01/24 1,757
62915 유통기한지난묵먹어도될까요? 2 궁금 2012/01/24 4,384
62914 5세여아 열이 39도 이상인데요.. 8 .. 2012/01/24 10,271
62913 글 지웁니다. 감사합니다. 7 속상합니다... 2012/01/24 2,597
62912 아이들 통장, 어떤 걸로 해주셨나요? 5 저축 2012/01/24 2,462
62911 미국에 아이들데리고 영어공부하러 나가볼까하는데요...막연하긴하지.. 15 영어공부 2012/01/24 3,425
62910 어머님!! 중심을 잘 잡으세요!! 3 무뚝뚝 맏며.. 2012/01/24 1,555
62909 나꼼수 듣고계시죠? 6 .. 2012/01/24 1,832
62908 몇년전에 유명했던 며느리의 일기.. 2 명절 2012/01/24 3,139
62907 부와 성공과 사랑 중에 어느 것을 택하실래요? 11 쐬주반병 2012/01/24 2,797
62906 치아에 관한꿈 1 .. 2012/01/24 960
62905 이런 증세 병원에 가봐야 하는지요? 4 가슴이 답답.. 2012/01/24 1,030
62904 무우와 마늘 없이 김치 맛들게 담글 수 있을까요? 5 김치담그기 2012/01/24 1,990
62903 명절찌개(?) 9 느끼해서 2012/01/24 2,630
62902 보일러 온수는 되는데 난방안되는 거 ㅜㅜ 5 ........ 2012/01/24 7,222
62901 지나가는군요. 4 2012/01/24 1,053
62900 김치 크로니클 미국에서도 인기 있어요? 9 ^^ 2012/01/24 3,526
62899 9,12살 남매 엄마..넘 지쳐요. 5 지친맘 2012/01/24 2,019
62898 구글에서 제 폰번호검색하니 카페게시글이 하나뜨는데요.. 이런 2012/01/24 1,309
62897 운동할때 어떤 브래지어를 하는게 좋을까요? 3 궁금 2012/01/24 1,308
62896 남편이 가사분담을 더 하게 하려면 어떻게 하죠? 4 맞벌이 2012/01/24 1,147
62895 피부때문에그러는데요... 저밑에글... 물광주사요.... 5 moonjj.. 2012/01/24 3,082
62894 소갈비찜 하려구하는데 꼭 끓는물에 데쳐야 하나요? 9 요리초보 2012/01/24 3,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