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사음식에 파를 사용하지 않는다....

.... 조회수 : 16,915
작성일 : 2012-01-18 11:33:09

제사음식에 파,마늘,고추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알고 있었지만 정확한 이유도 몰랐고 작년 차례상에서 기분나쁜일 있어

검색해보니 귀신들이 싫어해서 그렇다고 하더군요.

작년 구정일 입니다.

아버님께선 돌아가셨고 위로 아주버님이 한분 계시지만 이혼하셨고  건강이 좋지 않으셔서

차례를 지내지 않으시고 방에 계셨었어요.

둘째인 우리만 지방에 살고 명절준비는 어머님께서 하시고 전날 일찍가서 제가

어머님과 둘이 준비합니다.

세째인 동서도 가끔 도왔지만 바쁜사업을 하게되어 얼굴보기 힘듭니다.

제가 지켜본 결과어머님께선 요리색상 예쁜걸 조아하셔서 꼭 당근,파를 다져서 고명하시는걸 조아하시더라구요.

아버님 살아 계실때부터 계속 그렇게 해왔었구요.

차례상국을 뜨고 파를 조금 올려 내왔더니 셋째인 시동생이

제사음식에 누가 파를 넣었다고  계속 큰소리로 구시렁 구시렁~

기분이 나빴지만 누구도 이에대해 말하지 않았고 새해 아침이라

속은 부글부글 끓었지만 아무말하지 않았습니다.

집에 돌아오는 길에 신랑한테만 퍼부었네요.

이어 작년 추석~

퇴직하시고 경비일 하시는 아주버님은 당일 근무하셨고

세째네는 바쁘다고 오지 않았지만 국을 파없이 올렷습니다.

어머님은 파를 넣지 않았다고 머라 하십니다.

아~네하고 그냥 파를 넣었습니다.

 

구정이 다가오니 그 생각에 울컥하네요.

아버님때부터 계속 했었고 첫째,둘째가 있는데

사전상의도 없이 모든사람 앞에서 큰 잘못을 한냥 큰소리 낸게 참 기분나빴습니다.

아주버님한테 고자질할까 생각중입니다.

신랑한테만 얘기했는데 묵묵무답이고 혼자 명절때 가져갈 물건 챙기면서 생각나 하소연 해봣습니다.

하지만 어머님을 위해서 자주 못뵈니 만날때만이라도 최대한 챙기고 즐거운 마음으로 일하고

일부러 푼수짓을 하며 웃음을 선물하려 노력하는 며느리입니다.

아버님 돌아가실때 아버님 몫까지 어머님한테 해야지 다짐했었는데도 그게 잘 안돼네요.

이 글을 계기로 제 잘못,반성만 늘어가네요.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즐겁고 건강한 설명절 보내시길 바랄께요~

 

 

 

 

 

 

 

 

IP : 175.119.xxx.11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8 11:35 AM (59.19.xxx.165)

    지방마다 달라요

    전라도인 시댁 마늘,파 마구마구 사용하던데요

  • 2. ㅇㅇ
    '12.1.18 11:36 AM (211.237.xxx.51)

    맞아요 그런말 있어요 제사음식에 파 마늘 고춧가루등 향신채넣지 말라고.............
    저는 다 안넣는건 너무 입맛에 안맞아서 마늘은 나물하고 탕국 등에 좀 넣습니다..

  • 3. 에효...
    '12.1.18 11:37 AM (211.109.xxx.184)

    어느 장단에 맞춰야하나요...
    그시동생들 지네들 조상 음식은 본인들이 만들라고 하고 싶네요. 피한방울 섞이지 않은 며느리는 동네북인가

    저희시댁은 (저외며느리) 시동생 둘이 있지만, 찍소리 못하고 먹습니다..그리고 저희시댁은 마늘 파 다 넣어요. 뭐 귀신도 먹어야하지만, 살아 있는 사람이 더 중요? 하다 생각해서인듯..만들면서도 막 먹습니다.
    님 너무 신경쓰지마시고요..나중에 저런 얘기나오면, 어머님이 넣으라고 해서 넣었다고, 당당히 말씀하세요.
    암말 안하고 있으면 바보 알고 더 퍼부어요...힘내세요

  • 4. ,,,
    '12.1.18 11:38 AM (110.13.xxx.156)

    전라도도 파 ,마늘 안넣죠
    어떤분은 산사람 먹을거라 파 마늘 넣는다는분도 있습니다.
    집집마다 달라요

  • 5. 파도 안쓰나요?
    '12.1.18 11:39 AM (211.107.xxx.33)

    전부칠때 파넣지 않아요? 파전도있는데? 마늘 고춧가루는 안쓴다는거 알고있지만 ..집집마다 풍습이 다르니 .세째 시동생 참 경우없는 사람이네요 그게 무슨 큰일이라고 저라도 위로해 드릴게요 ..

  • 6. 에그~
    '12.1.18 11:43 AM (112.168.xxx.63)

    옛 풍습으로 보면 향신채를 넣는게 아닌게 맞죠.
    지방마다 다른게 아니라..
    그런데 그냥 각자 집에서 맞게 넣을 거 넣고 뺄껀 빼는거죠.

    옛 제사는 죽은 조상을 기준으로 음식을 했으니 귀신들이 싫어하는 걸 빼야 한다가
    당연한 거였지만

    어디 지금 그렇나요?
    원래 제사음식은 맛도 안보고 먼저 절대 먹으면 안돼는 거지만
    지금 어디 그래요? ㅎㅎ

    그냥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하고 집집마다 다른거죠.

  • 7.
    '12.1.18 11:46 AM (175.207.xxx.116)

    비밀도 아닌데 말하세요..^^

    그리고 저도..예전에는 이래야 한다..뭐 이런 생각 가졌는데.
    뭐 그럴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고..제사예법은 지방마다 달라서

  • 8.
    '12.1.18 11:51 AM (203.226.xxx.110)

    파 마늘 안 넣는건 쉬이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고 책에서 읽었어요.

  • 9. ...
    '12.1.18 12:02 PM (218.234.xxx.17)

    저도 처음 듣네요. 파 마늘 안들어가는 거.. 하긴 그건 동서양 공통인가봐요? 드라큐라도 싫어하는 게 마늘..
    - 이게 향이 강하기도 하지만 파, 마늘은 살균 성분도 있는데 그것이 귀신 퇴치..로 전이된 거 같아요.

    그런데 궁금한데.. 파를 넣지 않으면 고기산적에는 고기만 넣나요? 고기-대파 등 같이 쪼르르 끼어넣잖아요.
    그리고 잡채는 안하시나요? 잡채에도 파 들어가는데..(모친이 명절 때 파를 빼고 잡채 만든 기억이 없어서..)

  • 10. 저희는
    '12.1.18 12:03 PM (222.121.xxx.183)

    저희는 우선은 파, 마늘 없이 음식을 해요..
    그런다음 젯상에 올릴 것만 따로 담아두고 나머지는 파 마늘은 넣어요..

  • 11. 집마다 다름
    '12.1.18 1:33 PM (141.223.xxx.32)

    저희도 친정은 파 마늘 모두 사용했었는데 결혼해 보니 안넣네요. 어머니가 절에 다니셔서 그런가하고 생각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우리 시어머니를 보면 제사음식은 어머니 마음대로 하시더라고요. 준비에 책임이 있는 사람이 그런 권리도 있어서 그건 좀 마음에 듭니다. 그래서 나중에 제가 전권을 이양받게 되면 저 역시 제 마음대로 하려고 합니다.
    일단 어머니는 생선을 탑을 쌓듯이 잔뜩 찌시지만 저는 한두마리로! 준비를 많이 간소화하면 제사준비도 할만할거다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 12. ...
    '12.1.18 1:43 PM (175.119.xxx.117)

    검색해 봤지만 여기 댓글들이 더욱 세세하고 쏙 들어오는군요.
    결혼 16년차에 이런소릴 들으니 더욱 부아가 낫엇습니다.
    위로와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13.
    '12.1.18 1:47 PM (150.183.xxx.253)

    직접 음식 안하는 남자들 궁시렁데는거 너무 싫어요
    그럼 직접하든가.

    그 와이프가 바보인거지
    남편 그런말 하게 냅두다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355 애가 철이 들었는지,,,??? ^^ 2 치통맘 2012/01/25 898
63354 가슴을 뭉클하게 한 책과 사이트들 1 제니아 2012/01/25 1,067
63353 영화 부러진 화살 이해가 안되는 부분 질문요 6 부러진 화살.. 2012/01/25 1,316
63352 코스트코 캐비넷 사용하시는분 계신가요? 4 수납장 2012/01/25 2,028
63351 모유수유 아님.. 11 초보맘 2012/01/25 1,432
63350 키톡에서 맛난 닭볶음탕 레시피는? 추천해 주세요. 마그돌라 2012/01/25 568
63349 글 내려요...댓글 감사합니다^^ 11 띨순이 2012/01/25 2,201
63348 브리타정수기 필터밑으로 물이 안흘러요 5 ... 2012/01/25 1,519
63347 혼자 사시는 분들..모두 자기명의 집에서 사세요? 1 ... 2012/01/25 1,229
63346 떡볶이 소스 아이들이 먹기에 맵지 않은가요? 3 풀무원 2012/01/25 927
63345 청주에서 세종시로 이사하는데 업체 추천 좀 해주세요 엔젤나라 2012/01/25 793
63344 경기도권도 서울시로 편입을 하면 어떨까요? 12 마크 2012/01/25 2,228
63343 윤선생 영어문법 어때요?? 2 영여 2012/01/25 1,890
63342 외교부 찾은 위안부 피해 할머니의 눈물 1 세우실 2012/01/25 496
63341 시누한테 선물같은거 해줘야하나요? 5 궁금 2012/01/25 1,866
63340 갑자기 생각나는 말빨 좋던 보험 판매원 2 -_- 2012/01/25 1,167
63339 방과후 학교 강사는 어떻게 신청하는거에요? 3 방과후학교 2012/01/25 1,799
63338 마음이 지옥입니다. 원글2 80 sos 2012/01/25 16,292
63337 곰국으로 냉면 육수 만들수 있나요? 1 냉면 2012/01/25 1,112
63336 더운 나라에 살다 와서 피부가 엉망 방법 없을까요 8 피부 ㅠㅠ 2012/01/25 1,890
63335 예비중1, 대치동 영어학원 추천해주세요 9 학원문의 2012/01/25 5,645
63334 구강외과 전문의 추천 꼭 좀 부탁드립니다. 2 여름이야기 2012/01/25 1,230
63333 2년간 한달에 30-40만원정도 절약된다면 이사 가시겠어요? 18 이사 2012/01/25 5,806
63332 조언을 구하는 글에 조언 올렸다가 면박만 당했네요 6 벙찜 2012/01/25 1,374
63331 백숙하려는데 찹쌀 대신 일반쌀 넣어도 되나요? 2 세아이사랑 2012/01/25 3,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