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북한 퍼주기?' 그 진실은?

능선길 조회수 : 1,134
작성일 : 2012-01-17 22:13:25

<<'정부가 북한에 빌려준 식량차관 상환을 요청하기로 했다'는 <매일경제> 17일자 보도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그런 사실이 없다. 계약대로 하는 것 뿐"이라고 해명했다.>>

<<정부는 지난 2000년부터 2007년까지 대북 포용정책에 따라 총 6차례에 걸쳐 차관 형태로 쌀과 옥수수 등 식량 약 7억 2천만 달러(약 8,260억원)를 10년 거치 20년 상환, 이자율 1% 조건으로 빌려줬다. 차관계약은 한국수출입은행과 북측 조선무역은행이 체결했다.

차관계약에 따라 오는 6월 7일이 첫 상환기일로 8천8백만 달러에 대한 원리금인 583만 달러(약 67억원)를 돌려받아야 한다. 만약 북측이 상환하지 못하면 계약에 따라 연체이자율이 2%로 올라간다.

한편, 북측은 2008년 초 경공업 원자재 차관인 8천만 달러의 3%인 240만 달러를 아연괴 1천톤으로 현물 상환한 전례가 있다.>>- 통일뉴스

==================================================

==================================================

==================================================

김대중 노무현 정권 하에서 북에게 제공된 식량은 공짜가 아니라 <외상 판매>한 것이죠.

쌀 소비 감소와 풍년, 여기에 수입쌀로 인해 쌀이 남아돌게 되었습니다.

당시 정부는 농민들로부터 벼를 수매했습니다. 이에 대한 명칭이 <추곡수매제>입니다. 정부의 비축 물량이 넘쳐나는데도 정부는 농민들이 생산한 벼를 수매하여 보관해야 했습니다. 보관할 창고가 부족하다보니 개인 창고를 임대하여 수매한 벼를 보관했습니다. 창고 임대료는 물론이고, 보관된 벼를 관리해야 하다 보니 막대한 관리비가 발생하게 됩니다.

벼는 생물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쌀의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식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사료용으로 처분해야 하는데, 사실 쌀은 사료용으로도 그리 용이하지 못합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쌀이 과잉이다 보니 정부는 수매한 벼를 시중에 풀 수도 없고, 시중의 쌀 공급이 과잉인 상태에서 정부가 수매한 벼를 시중에 풀게 되면  쌀값은 폭락하게 됩니다(정부의 수매 물량은 농민이 생산한 벼를 전부 수매한 것이 아니라 일부만 수매). 가뜩이나 어려운 농민들 죽이는 짓이 되겠죠. 정부는 남는 수매 물량을 이럴 수도 없고 저럴 수도 없는 상황을 맞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 처한 정부로써 찾은 해법이 남는 쌀을 북에게 파는 것이었습니다.

 

일반 국민들은 정부가 북에게 공짜로 쌀을 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사실은 차관 형식으로 제공한 겁니다. 다시 말해 <외상 판매>를 한 것이죠.

 

당시 국제시세에 비해 국내 쌀 가격이 월등이 높았습니다. 국내의 남는 쌀을 외국에 팔수도 없지만 설령 국내의 남는 쌀을 외국에 수출할 수 있다고 해도, 유통비는 제외하더라도 정부가 농민들로부터 수매한 쌀값의 반값도 받지 못할 상황이었습니다.

 

정부는 북에게 외상으로 쌀을 판매하면서 제값을 받고 팔았습니다. 북으로서는 국제시장에서 수입하는 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남쪽으로부터 쌀을 수입한 것이죠. 정부로서는 외상으로 파는 대신 제값을 받은 것이고, 북은 국제시세보다 비싼 값에 사는 대신 외상이었던 것이죠.

정부로서는 사실 북에게 절이라도 해야 할 상황이었습니다. 사실이 이럴진대 수구세력들은 <퍼주기>라며 입에 거품을 물었죠.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는 이러한 내막을 국민에게 소상이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수구세력들이 <퍼주기>라며 입에 게거품을 무는데도 내막을 공개하지 않은 것이죠. 왜 그랬을까요?

IP : 121.159.xxx.6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1059 개인 의류 쇼핑몰 사기당한 것 같아요..어떡하죠? 7 ㅠㅠㅠ 2012/03/09 2,932
    81058 증등 교과서 학교마다 다른가요? 4 ... 2012/03/09 1,585
    81057 제 이름은 여옥이예요 2 여옥 2012/03/09 2,137
    81056 9살 아들의 뽀뽀가 과해집니다 ㅡㅡ;; 9 고민아짐 2012/03/09 4,002
    81055 칼라프린터기 싼거 쓰는분들 써보시니 어떤가요 2 프린터 2012/03/09 1,357
    81054 [원전]日 사고원전 주변 주민 상당수 갑상선 피폭 1 참맛 2012/03/09 1,589
    81053 인터넷 강의 들을려면 어떤 것 구입하면 3 어떤것이 좋.. 2012/03/09 1,517
    81052 수영복 고수님들! 사이즈 좀 알려주세요 4 수영복이요~.. 2012/03/09 1,783
    81051 체크카드 추천요~~` 8 ... 2012/03/09 2,094
    81050 김지윤 반박 “MB정권과 해군 당국이 해적” 25 베리떼 2012/03/09 2,316
    81049 ..................................ㅠ.. 9 별달별 2012/03/09 2,040
    81048 국가조찬기도회, "MB는 하나님이 기름 부은 대통령&q.. 13 호박덩쿨 2012/03/09 2,057
    81047 (펌) jyj가 폭행 인정하고 사과했네요. 37 흠,,, 2012/03/09 4,365
    81046 선녀를 부탁해 -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요. 1 깔깔 2012/03/09 1,760
    81045 꿈꾸 면서도 치유가 되나요? 4 2012/03/09 1,312
    81044 전여옥 비례1번된 국민생각은 도대체 무슨 당인가요? 11 eee 2012/03/09 3,594
    81043 행주삶는냄비? 좀추천해주세요~ 8 난나야 2012/03/09 3,543
    81042 여대생 백팩 추천 부탁드려요 6 새내기 2012/03/09 2,182
    81041 키작은 초2 남자아이..호르몬 치료 고민 4 저신장증 2012/03/09 3,121
    81040 호주산 양모카페트 세탁하려면 1 호주산 2012/03/09 4,569
    81039 좋은 걸로 추천 좀 해주세요 7 초경하면 2012/03/09 1,601
    81038 [원전]“전학 간 아이들, 방사능 전염 이유로 왕따 당해” 1 참맛 2012/03/09 1,632
    81037 24평 면피가죽쇼파 고르질 못하겠어요.ㅠㅠ 6 아그네스 2012/03/09 1,698
    81036 'CNK 의혹' 김은석 前대사 구속영장 기각 3 세우실 2012/03/09 1,275
    81035 아이들 비타민 좋은거 추천해 주세요 1 어디거? 2012/03/09 1,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