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북한 퍼주기?' 그 진실은?

능선길 조회수 : 1,173
작성일 : 2012-01-17 22:13:25

<<'정부가 북한에 빌려준 식량차관 상환을 요청하기로 했다'는 <매일경제> 17일자 보도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그런 사실이 없다. 계약대로 하는 것 뿐"이라고 해명했다.>>

<<정부는 지난 2000년부터 2007년까지 대북 포용정책에 따라 총 6차례에 걸쳐 차관 형태로 쌀과 옥수수 등 식량 약 7억 2천만 달러(약 8,260억원)를 10년 거치 20년 상환, 이자율 1% 조건으로 빌려줬다. 차관계약은 한국수출입은행과 북측 조선무역은행이 체결했다.

차관계약에 따라 오는 6월 7일이 첫 상환기일로 8천8백만 달러에 대한 원리금인 583만 달러(약 67억원)를 돌려받아야 한다. 만약 북측이 상환하지 못하면 계약에 따라 연체이자율이 2%로 올라간다.

한편, 북측은 2008년 초 경공업 원자재 차관인 8천만 달러의 3%인 240만 달러를 아연괴 1천톤으로 현물 상환한 전례가 있다.>>- 통일뉴스

==================================================

==================================================

==================================================

김대중 노무현 정권 하에서 북에게 제공된 식량은 공짜가 아니라 <외상 판매>한 것이죠.

쌀 소비 감소와 풍년, 여기에 수입쌀로 인해 쌀이 남아돌게 되었습니다.

당시 정부는 농민들로부터 벼를 수매했습니다. 이에 대한 명칭이 <추곡수매제>입니다. 정부의 비축 물량이 넘쳐나는데도 정부는 농민들이 생산한 벼를 수매하여 보관해야 했습니다. 보관할 창고가 부족하다보니 개인 창고를 임대하여 수매한 벼를 보관했습니다. 창고 임대료는 물론이고, 보관된 벼를 관리해야 하다 보니 막대한 관리비가 발생하게 됩니다.

벼는 생물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쌀의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식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사료용으로 처분해야 하는데, 사실 쌀은 사료용으로도 그리 용이하지 못합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쌀이 과잉이다 보니 정부는 수매한 벼를 시중에 풀 수도 없고, 시중의 쌀 공급이 과잉인 상태에서 정부가 수매한 벼를 시중에 풀게 되면  쌀값은 폭락하게 됩니다(정부의 수매 물량은 농민이 생산한 벼를 전부 수매한 것이 아니라 일부만 수매). 가뜩이나 어려운 농민들 죽이는 짓이 되겠죠. 정부는 남는 수매 물량을 이럴 수도 없고 저럴 수도 없는 상황을 맞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 처한 정부로써 찾은 해법이 남는 쌀을 북에게 파는 것이었습니다.

 

일반 국민들은 정부가 북에게 공짜로 쌀을 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사실은 차관 형식으로 제공한 겁니다. 다시 말해 <외상 판매>를 한 것이죠.

 

당시 국제시세에 비해 국내 쌀 가격이 월등이 높았습니다. 국내의 남는 쌀을 외국에 팔수도 없지만 설령 국내의 남는 쌀을 외국에 수출할 수 있다고 해도, 유통비는 제외하더라도 정부가 농민들로부터 수매한 쌀값의 반값도 받지 못할 상황이었습니다.

 

정부는 북에게 외상으로 쌀을 판매하면서 제값을 받고 팔았습니다. 북으로서는 국제시장에서 수입하는 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남쪽으로부터 쌀을 수입한 것이죠. 정부로서는 외상으로 파는 대신 제값을 받은 것이고, 북은 국제시세보다 비싼 값에 사는 대신 외상이었던 것이죠.

정부로서는 사실 북에게 절이라도 해야 할 상황이었습니다. 사실이 이럴진대 수구세력들은 <퍼주기>라며 입에 거품을 물었죠.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는 이러한 내막을 국민에게 소상이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수구세력들이 <퍼주기>라며 입에 게거품을 무는데도 내막을 공개하지 않은 것이죠. 왜 그랬을까요?

IP : 121.159.xxx.6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7751 82cookㅠㅠㅠㅠ 4 ........ 2012/03/25 1,374
    87750 전라도식 열무김치 2 어쩌나 2012/03/25 3,113
    87749 불후 패티김편 최종우승자 스포는 없나요? 8 알리너무싫어.. 2012/03/25 1,856
    87748 제주여행 당일치기 조언 좀 주세요 3 조언 좀 2012/03/25 1,203
    87747 이정희없은 관악을의 김희철 고군분투. 3 .. 2012/03/25 1,132
    87746 1박2일 주원씨 눈의꽃 왜 확 잘라버려요? 11 모냐 2012/03/25 4,069
    87745 요즘 담아먹기 좋은 물김치 재료가 궁금합니다. 2 김치선물 2012/03/25 1,380
    87744 신김치 6 /// 2012/03/25 1,292
    87743 낼 빕스 전 매장에서 만원 맞죠? 21 ... 2012/03/25 12,449
    87742 갑자기 곱창이 마구 당겨서 식당에 갔는데, 기분이 확 ㅡㅡ;;;.. 2 내장도고기 2012/03/25 1,661
    87741 전남 광양 매화 언제가 절정인가요? 3 2012/03/25 1,419
    87740 아이 헌옷이 도움이 될 만한 곳 알려주세요~~ 2 애솔 2012/03/25 972
    87739 휴대폰 가격담합 응징해야죠? 눈팅족~ 2012/03/25 628
    87738 스텐냄비 사용시 알맞은 도구는 무얼까요? 2 핫도그 2012/03/25 3,373
    87737 오늘 오바마 발언에 좌익들은 불만이 많겠네요 4 freeti.. 2012/03/25 1,254
    87736 이제니가 신민아 소속사 같은곳을 만났더라면? 7 이제니 2012/03/25 4,113
    87735 24시간 영어방송 라디오있네요 4 추천 2012/03/25 2,552
    87734 오늘 동물농장 보신 분 계세요? 6 미우미우 2012/03/25 1,987
    87733 고양이 두마리 궁디팡팡하면서 살아요. 7 말랑제리 2012/03/25 1,960
    87732 글 하나만 올려요 하나만 2012/03/25 701
    87731 80년대말 학력고사 보신분 계신가요? 22 대학생 2012/03/25 5,228
    87730 그리스도대학이 어떤 대학인가요? 화곡동에 있다는데 8 자랑... 2012/03/25 2,287
    87729 케이팝 박지민양 오늘 노래 너무 감동적이네요^^ 13 * 2012/03/25 4,050
    87728 전산회계, 세무 자격증 따면 나이 50에 취업 가능할까요? 8 취업희망 2012/03/25 7,135
    87727 이수근이랑 차태현이 입은 패딩 어디껀지 아시는분 1박2일 2012/03/25 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