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북한 퍼주기?' 그 진실은?

능선길 조회수 : 428
작성일 : 2012-01-17 22:13:25

<<'정부가 북한에 빌려준 식량차관 상환을 요청하기로 했다'는 <매일경제> 17일자 보도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그런 사실이 없다. 계약대로 하는 것 뿐"이라고 해명했다.>>

<<정부는 지난 2000년부터 2007년까지 대북 포용정책에 따라 총 6차례에 걸쳐 차관 형태로 쌀과 옥수수 등 식량 약 7억 2천만 달러(약 8,260억원)를 10년 거치 20년 상환, 이자율 1% 조건으로 빌려줬다. 차관계약은 한국수출입은행과 북측 조선무역은행이 체결했다.

차관계약에 따라 오는 6월 7일이 첫 상환기일로 8천8백만 달러에 대한 원리금인 583만 달러(약 67억원)를 돌려받아야 한다. 만약 북측이 상환하지 못하면 계약에 따라 연체이자율이 2%로 올라간다.

한편, 북측은 2008년 초 경공업 원자재 차관인 8천만 달러의 3%인 240만 달러를 아연괴 1천톤으로 현물 상환한 전례가 있다.>>- 통일뉴스

==================================================

==================================================

==================================================

김대중 노무현 정권 하에서 북에게 제공된 식량은 공짜가 아니라 <외상 판매>한 것이죠.

쌀 소비 감소와 풍년, 여기에 수입쌀로 인해 쌀이 남아돌게 되었습니다.

당시 정부는 농민들로부터 벼를 수매했습니다. 이에 대한 명칭이 <추곡수매제>입니다. 정부의 비축 물량이 넘쳐나는데도 정부는 농민들이 생산한 벼를 수매하여 보관해야 했습니다. 보관할 창고가 부족하다보니 개인 창고를 임대하여 수매한 벼를 보관했습니다. 창고 임대료는 물론이고, 보관된 벼를 관리해야 하다 보니 막대한 관리비가 발생하게 됩니다.

벼는 생물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쌀의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식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사료용으로 처분해야 하는데, 사실 쌀은 사료용으로도 그리 용이하지 못합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쌀이 과잉이다 보니 정부는 수매한 벼를 시중에 풀 수도 없고, 시중의 쌀 공급이 과잉인 상태에서 정부가 수매한 벼를 시중에 풀게 되면  쌀값은 폭락하게 됩니다(정부의 수매 물량은 농민이 생산한 벼를 전부 수매한 것이 아니라 일부만 수매). 가뜩이나 어려운 농민들 죽이는 짓이 되겠죠. 정부는 남는 수매 물량을 이럴 수도 없고 저럴 수도 없는 상황을 맞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 처한 정부로써 찾은 해법이 남는 쌀을 북에게 파는 것이었습니다.

 

일반 국민들은 정부가 북에게 공짜로 쌀을 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사실은 차관 형식으로 제공한 겁니다. 다시 말해 <외상 판매>를 한 것이죠.

 

당시 국제시세에 비해 국내 쌀 가격이 월등이 높았습니다. 국내의 남는 쌀을 외국에 팔수도 없지만 설령 국내의 남는 쌀을 외국에 수출할 수 있다고 해도, 유통비는 제외하더라도 정부가 농민들로부터 수매한 쌀값의 반값도 받지 못할 상황이었습니다.

 

정부는 북에게 외상으로 쌀을 판매하면서 제값을 받고 팔았습니다. 북으로서는 국제시장에서 수입하는 가격보다 훨씬 비싼 값으로 남쪽으로부터 쌀을 수입한 것이죠. 정부로서는 외상으로 파는 대신 제값을 받은 것이고, 북은 국제시세보다 비싼 값에 사는 대신 외상이었던 것이죠.

정부로서는 사실 북에게 절이라도 해야 할 상황이었습니다. 사실이 이럴진대 수구세력들은 <퍼주기>라며 입에 거품을 물었죠.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는 이러한 내막을 국민에게 소상이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수구세력들이 <퍼주기>라며 입에 게거품을 무는데도 내막을 공개하지 않은 것이죠. 왜 그랬을까요?

IP : 121.159.xxx.6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9202 급해요. 옷에 돼지기름이 묻었는데 어찌해야빠질까요? 3 얼룩 2012/03/08 2,121
    79201 갑자기 오후시간이 비었어요 3 두글자 닉넴.. 2012/03/08 718
    79200 생리때 유난히 피곤하고 힘드네요 15 피곤 2012/03/08 24,725
    79199 춘곤증인가봐요 벌써 2012/03/08 501
    79198 하체비만 빨리골라주세요 헬스 요가중 3 하체 2012/03/08 1,681
    79197 200 정도로 살 수 있는 가방 추천부탁드립니다. 8 음냐.. 2012/03/08 1,503
    79196 <급질> 경기도 시흥시나 안산시 안양시 근처에 괜찮은.. 2 날쌘두리 2012/03/08 3,792
    79195 불어 발음법 아시는 분, 도움 부탁드려요 9 불어.. 2012/03/08 1,107
    79194 과외그만둘 때 뭐라고 얘기하면 좋을까요? 5 고민고민 2012/03/08 2,436
    79193 크롬쓰시는분들 질문좀 하나만요 2 마우스우측검.. 2012/03/08 514
    79192 쉐프윈 카이저냄비세트는 어떤가요 1 거북맘 2012/03/08 1,444
    79191 은퇴후 어느정도 있어야 노후보장 될까요? 8 노후걱정 2012/03/08 2,998
    79190 야자 다 시키시나요? 3 고1 2012/03/08 1,079
    79189 3월 8일 목사아들돼지 김용민 PD의 조간 브리핑 세우실 2012/03/08 513
    79188 엠팍과 여기의 비교... 9 별달별 2012/03/08 1,423
    79187 안암동 고려대학교 주차아시는 분? 4 고려대 가는.. 2012/03/08 5,549
    79186 강남역에 30대 중반여자 4명이서 밥먹고 수다떨곳 추천부탁드려요.. 2 냠냠이 2012/03/08 1,206
    79185 친미·반공 우상화하는 정치 목사들에 대한 비판 고조돼 2 호박덩쿨 2012/03/08 402
    79184 샘플많이안줘도 좋은데...본품만 싸게 살수있는곳... 1 설화수 2012/03/08 859
    79183 110볼트 전자제품에 돼지코플러그??만 끼워쓰면 되나요? 7 ... 2012/03/08 1,756
    79182 안깨지고 예쁜 커피잔 없나요? 5 이빠진 잔 2012/03/08 1,504
    79181 박정희의 또다른 ‘장물’ 청구대학 2 샬랄라 2012/03/08 707
    79180 대성,린나이, 경동 어디가 좋은가요? 13 보일러교체 2012/03/08 6,014
    79179 여기 종북빨갱이들의 하루일과..... 5 별달별 2012/03/08 514
    79178 lte는 역시 lg가 제일 나은가요? 14 lte는 2012/03/08 1,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