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등학교 때 미국에 1년 있을 수 있다면 몇학년 끝나고 갈까요??

america 조회수 : 2,349
작성일 : 2012-01-14 23:39:54

남편 직장에서 1년 정도 외국에 파견이 가능해요.

같이 데리고 갈 수 있는데 지금 애는 6살이구요...

초등학교 몇 학년 때 가는 게 아이 언어 배우는 데 효과적일까요??

저희 애는 기본적으로 영어에 관심이 있는 애이고 두 돌 전에 알파벳은 읽었어요.

어린이집에서 영어 수업 2번 정도 있는데 그 때 배운 걸 많이 기억하고 저한테 얘기해줘요.

저도 애 낳기 전 영어 강사였고 영어에 노출이 좀 있는 편이죠.

몇 학년 쯤 가는 게 좋을지 고민이 되네요. (생각하고 있는 지역은 뉴저지예요)

 

 

 

 

IP : 124.197.xxx.215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초등은
    '12.1.15 12:01 AM (118.217.xxx.152)

    2학년 1학기 마치고 가서 4학년 1학기로 1년 반 다녀오는 것이 제일 좋다고 하더군요. 그 전후로 맞추어서 1년 정도로 계획하지면 되지 않을까요

  • 2. ...
    '12.1.15 12:05 AM (84.145.xxx.50)

    몇살때에 가는것도 물론 중요할 수 있는데..

    그것보다 거 중요한 것이.. 어느 정도 준비된 상태에서 가느냐 인것 같아요.

    한국에서 준비가 잘 된 상태에서 미국에서 1년 있게 되면 ..그야말로 날개를 달 수 있지만..

    전혀 준비 없이 가게 되면.. 1년 동안 미국에서 배운 영어가.. 1년 한국에서 열심히 하는 아이들의 영어 수준에 훨씬 못 미치는 경우가 많지요.

    굳이 학년을 알고 쉽다면.. 일반적으로는 초등 4학년 정도엔 다시 한국 학교에 들어와야 앞으로 적응에 문제가 없다는 견해가 많으니..
    2학년이나 3학년때 가서 1년 있는게 좋겠죠.

    저도 신랑 일로 외국 나와 있는데... 큰아이는 영어유치원 3년에 초등 1학년을 한국에서 보내며 대치동 영어 학원을 매일 다녔었는데..
    이곳에 오자마자 의사소통에 전혀 문제 없이 바로 적응했구요. 1년이 지난 지금은 반 아이들과 문제 없이 잘 지내고 학교 활동도 잘하고 있습니다.

    반면 같은 나이의 준비 없이 온 한 한국아이는 저희보다 1년 먼저 와서 2년이 지났는데도 아직 ESL 과정을 매일 하고 있고 발음도 많이 부족합니다.

    간혹.. 전~~혀 준비 없이 가도 아이들은 6개월이면 다 뗀다는 사람들이 있는데..

    제가 겪고 본 수많은 케이스들을 볼 때 준비된 상태로 와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현대 6살이니 2-3년 열심히 하시고 1년 다녀오시는 것이 기간 대비 큰 효과를 볼 수 있을꺼라 생각됩니다.

  • 3. 새날
    '12.1.15 12:34 AM (67.81.xxx.18)

    뉴저지 살고 있어요
    미국 초등 1,2학년은 거의 유치원 수준의 영어라고 생각 합니다
    영어 공부를 위해서라면 3학년 이후에 오는게나아요
    제 생각엔 한국 학기로 3학년 2학기에 오면 여기 3학년1학기에 입학하게 되는데....
    실은1년은 좀 짧습니다

  • 4. ..
    '12.1.15 1:09 AM (112.121.xxx.214)

    3,4 학년때가 제일 좋은거 같아요.
    너무 어리면 학교에서 배우는게 별로 없고요, 배워도 금방 까먹어요.
    5,6학년쯤 되면 이미 좀 늦은 감도 있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202 [컴앞 대기] 건강검진...정말 찬란한 결과네요 3 고민맘 2012/01/20 2,322
62201 과메기 먹으면 피부 좋아지나요? 7 부자패밀리 2012/01/20 2,217
62200 누런 치아에는 어떤 색 립스틱을 발라야 될까요? 6 ,,,,, 2012/01/20 3,767
62199 시어머니의 잔소리가 정말 싫었다는 시어머니의 잔소리 2 ... 2012/01/20 1,756
62198 매리야~ 님 혹시 보고 계세요? 8 ... 2012/01/20 1,633
62197 긴병에 효자 없다고,,, 9 ,,, 2012/01/20 3,407
62196 헤드헌터 이용해 분 계신가요? 4 겨우살이 2012/01/20 1,746
62195 햄스터 집 청소하기 편한거 어디서 파나요? 1 2012/01/20 1,005
62194 찜용 갈비를 구워먹어도될까요. 1 꼬기꼬기 2012/01/20 1,907
62193 얼만가요? 스키복대여 2012/01/20 510
62192 자기야에서 김생민 부인이 들고나온 가방.. 5 아이러브 2012/01/20 8,450
62191 뒤늦게 문화적 소양이 발전하신 분 있으세요? 9 베이글 2012/01/20 2,363
62190 남편이 갑자기 변했다고 쓴 사람 후기예요 28 감사해요 2012/01/20 10,976
62189 나꼼수에 대해 좋은점(?) 이야기 부탁드려요.. 6 ... 2012/01/20 1,454
62188 냉면 싫어하시는 부운~~~^^ 10 겉절이 2012/01/20 2,328
62187 아줌마는 서글픈 이름 1 독서하는 아.. 2012/01/20 1,064
62186 은행이 많이 있습니다.먹는방법? 3 먹는은행 2012/01/20 1,395
62185 새식탁 vs 의자만 사기 vs 식탁의자천갈이 8 헷갈려 2012/01/20 8,443
62184 국제학교 학년에 대해 잘 아시는분 계시나요? 4 해피명절~ 2012/01/20 1,557
62183 스마트폰 예금 추천인... 4 카페라떼 2012/01/20 952
62182 미드는 어디서 보는 거예요? 4 왕답답 2012/01/20 1,422
62181 골드미스들 국제 결혼 많이 하는 추세인가요?? 9 ==== 2012/01/20 2,908
62180 '해품달'에서 '공주자갸' 4 우리말 2012/01/20 2,411
62179 쓸개빠진 호남의 민주당지지자들 --- 민통당 3차 4차 최고회의.. 2 구민주당지지.. 2012/01/20 1,584
62178 여자아기 이름좀 골라주고 가세요 21 작명의도 2012/01/20 2,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