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등학교 때 미국에 1년 있을 수 있다면 몇학년 끝나고 갈까요??

america 조회수 : 2,329
작성일 : 2012-01-14 23:39:54

남편 직장에서 1년 정도 외국에 파견이 가능해요.

같이 데리고 갈 수 있는데 지금 애는 6살이구요...

초등학교 몇 학년 때 가는 게 아이 언어 배우는 데 효과적일까요??

저희 애는 기본적으로 영어에 관심이 있는 애이고 두 돌 전에 알파벳은 읽었어요.

어린이집에서 영어 수업 2번 정도 있는데 그 때 배운 걸 많이 기억하고 저한테 얘기해줘요.

저도 애 낳기 전 영어 강사였고 영어에 노출이 좀 있는 편이죠.

몇 학년 쯤 가는 게 좋을지 고민이 되네요. (생각하고 있는 지역은 뉴저지예요)

 

 

 

 

IP : 124.197.xxx.215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초등은
    '12.1.15 12:01 AM (118.217.xxx.152)

    2학년 1학기 마치고 가서 4학년 1학기로 1년 반 다녀오는 것이 제일 좋다고 하더군요. 그 전후로 맞추어서 1년 정도로 계획하지면 되지 않을까요

  • 2. ...
    '12.1.15 12:05 AM (84.145.xxx.50)

    몇살때에 가는것도 물론 중요할 수 있는데..

    그것보다 거 중요한 것이.. 어느 정도 준비된 상태에서 가느냐 인것 같아요.

    한국에서 준비가 잘 된 상태에서 미국에서 1년 있게 되면 ..그야말로 날개를 달 수 있지만..

    전혀 준비 없이 가게 되면.. 1년 동안 미국에서 배운 영어가.. 1년 한국에서 열심히 하는 아이들의 영어 수준에 훨씬 못 미치는 경우가 많지요.

    굳이 학년을 알고 쉽다면.. 일반적으로는 초등 4학년 정도엔 다시 한국 학교에 들어와야 앞으로 적응에 문제가 없다는 견해가 많으니..
    2학년이나 3학년때 가서 1년 있는게 좋겠죠.

    저도 신랑 일로 외국 나와 있는데... 큰아이는 영어유치원 3년에 초등 1학년을 한국에서 보내며 대치동 영어 학원을 매일 다녔었는데..
    이곳에 오자마자 의사소통에 전혀 문제 없이 바로 적응했구요. 1년이 지난 지금은 반 아이들과 문제 없이 잘 지내고 학교 활동도 잘하고 있습니다.

    반면 같은 나이의 준비 없이 온 한 한국아이는 저희보다 1년 먼저 와서 2년이 지났는데도 아직 ESL 과정을 매일 하고 있고 발음도 많이 부족합니다.

    간혹.. 전~~혀 준비 없이 가도 아이들은 6개월이면 다 뗀다는 사람들이 있는데..

    제가 겪고 본 수많은 케이스들을 볼 때 준비된 상태로 와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현대 6살이니 2-3년 열심히 하시고 1년 다녀오시는 것이 기간 대비 큰 효과를 볼 수 있을꺼라 생각됩니다.

  • 3. 새날
    '12.1.15 12:34 AM (67.81.xxx.18)

    뉴저지 살고 있어요
    미국 초등 1,2학년은 거의 유치원 수준의 영어라고 생각 합니다
    영어 공부를 위해서라면 3학년 이후에 오는게나아요
    제 생각엔 한국 학기로 3학년 2학기에 오면 여기 3학년1학기에 입학하게 되는데....
    실은1년은 좀 짧습니다

  • 4. ..
    '12.1.15 1:09 AM (112.121.xxx.214)

    3,4 학년때가 제일 좋은거 같아요.
    너무 어리면 학교에서 배우는게 별로 없고요, 배워도 금방 까먹어요.
    5,6학년쯤 되면 이미 좀 늦은 감도 있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610 소소한 현금 지출 질문? 절약하자^^.. 2012/01/22 899
62609 올해도 빈손으로 왔네요 13 단감 2012/01/22 4,562
62608 박근혜가 대통령되면 진짜 걱정되는게... 12 노란피망 2012/01/22 2,594
62607 대학등록히는법과 예치금은 1 궁금한 1인.. 2012/01/22 1,576
62606 편두통의 원인은 역시 스트레스 였네요. 1 두통 2012/01/22 1,709
62605 속상해요..전부친거..망쳤어요 13 .. 2012/01/22 6,395
62604 내가 다니던 한의원 또 망했어요. 7 한의원 2012/01/22 5,363
62603 백화점에서 대접 받기가 뭘까요? 42 뼈도 서민 2012/01/22 8,389
62602 아이브로우 질문. 더불어 아이라이너 추천! 화장품 2012/01/22 955
62601 시누 병원비 얼마정도 줘야 할까요? 4 .... 2012/01/22 1,710
62600 죄송한데 쪽밍크 어떤가요??? 밍크 2012/01/22 4,118
62599 차례 지내고 8시 30분 출발 무리인가요?^^;; 3 우울한 며느.. 2012/01/22 2,169
62598 팟캐스트가 뭔가요? 3 ... 2012/01/22 2,170
62597 친정 어머니 수분 크림 좀 추천해 주세요.. 11 2012/01/22 3,403
62596 워킹맘들 조언좀부탁드립니다. 4 즐겨찾기이 2012/01/22 1,553
62595 새해 복 많이 받으셔요~~~~ ^^ 6 세우실 2012/01/22 599
62594 교장선생님 연설은 왜 항상 길까요? 8 ..... 2012/01/22 1,210
62593 뼛속까지 서민이라고? 12 알바싫어 2012/01/22 1,826
62592 여자화장실에 줄이 길게 늘어서 있는건 8 ... 2012/01/22 2,785
62591 대통령이던 손녀가 뭘 입던 관심 없어요. 20 그게 2012/01/22 2,982
62590 안갔어요 10 혼내줄거야 2012/01/22 2,183
62589 명절 최대 스트레스가 되고 있는 시숙이야기 2 미치겠다 2012/01/22 2,225
62588 책 많이 읽으시는 분~ 7 울 아이의 .. 2012/01/22 2,284
62587 적우 순위? 7 너무 아쉬워.. 2012/01/22 2,943
62586 19평 오피스텔 관리비가 40만원 ㅠㅠ 9 관리비 2012/01/22 7,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