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최고의 육개장 요리법을 찾습니다.

칭찬고픈 며느리 조회수 : 3,068
작성일 : 2012-01-11 16:09:20

아침에 LA갈비 요리법 물은 며느리입니다.

 

시어머니께서 육개장 끓이라십니다.

시댁식구들 저희집에 다~오시는데 이 추운데 뜨건 국물 있어야 한다고'''.

LA갈비처럼 멋진 레서피 주실 분 또 없으신가요?

한 번도 끓여 본 적 없는데 걱정이 앞섭니다.

잡고기 말고 사태나 양지만 넣어서 토란,파,숙주 넣어 맛난 요리법을 찾습니다.

고사리는 안 넣구요.

집들이거든요.ㅠㅠ부탁드립니다.

IP : 118.45.xxx.30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1 4:13 PM (14.47.xxx.160)

    일단 양지를 덩어리로 사다가 핏물빼고 푹 끓이고 덩어리는 건져내서 먹기좋게 찢어놓고..
    육수는 기름기좀 걷어낸다음 숙주 데쳐내서 재료들을 양념에 미리 조물조물 무쳐 간이 들게
    한다음 두가지 합체해서 푹 끓이시면 됩니다.
    텁텁하니 고추장 넣지마시고.. 집간장으로 간하세요..

  • 2. 원글
    '12.1.11 4:22 PM (118.45.xxx.30)

    혹시 고사리 말고 다른 야채 넣어서 맛있는 경우 있을까요?
    파 숙주 토란말고 말입니다.

  • 3. 나라냥
    '12.1.11 4:24 PM (180.64.xxx.3)

    역시 고깃국은 고기비율이 높아야 국물이 맛있어요.
    고깃덩이로 찬물에 넣고 푹 끓이세요.. 한 3~4시간 끓여야해요. 초반 30분정도는 센불로.나머지는 약한불로 뭉근하게요.
    초반30분 센불은 물을 적게잡고 끓이고 찬물 한바가지 넣고 푹 우리면 좀 더 맛있는 느낌이에요^^;
    고깃국물 다 내면 고기건져 손으로 찢구요..뜨거워요; 조심;; 국물은 기름 건져내요.
    숙주는 데쳐서 꼭 짜서 듬성듬성 썰구요
    토란은 데쳐진거 사세요. 씻어서 찬물에 좀 울궈두세요. 아린맛 있거든요. 이것도 꼭 짜서 듬성 썰어두고요
    고기찢은거,숙주,토란대 고추기름,고춧가루,집간장 이렇게 넣는데요.
    간은 버무린거 좀 집어먹어봐서 짭짤하면 되요. 30분정도 두고 간 배면 국물에 넣고 같이 끓여요.
    국물간은 집간장으로 봐도 되고, 소금넣어도 되구요. 육개장같은건 좀 간간해야 맛있더라구요. 짜면안되구요^^;
    대파는 마지막에 넣으심 되요.

  • 4. 나라냥
    '12.1.11 4:28 PM (180.64.xxx.3)

    느타리버섯 넣으세요. 이것도 결대로 쭉쭉 찢어서 살짝 데쳐서 꼭 짜서 넣음되요..
    레시피 살펴보니, 고추기름1, 고춧가루4, 국간장3, 마늘1~2,후추,소금 이렇게 들어가네요.
    고추기름이나 고춧가루는 매운거 호불호에 따라 가감 하시구요

  • 5. gma
    '12.1.11 4:28 PM (210.204.xxx.253)

    이*트에 보니 육개장에 들어가는 나물들 말려서 따로 팔던데요-
    http://www.emartmall.com/display/item.do?method=getItemInfoViewDtl&item_id=15...

    겉봉에 레서피도 완전 간단 버전으로 쓰여있던데 ㅎㅎ

  • 6. ...
    '12.1.11 4:34 PM (175.115.xxx.121)

    저도 여기저기 뒤져서 엊그제 한 냄비 끓여 먹었는데...

    전 느타리 버섯도 넣었구요 파를 넉넉히 넣어야 맛있다고 하더군요.

    파도 데쳐서 양념에 버무려 놓구요.

    글구 고추기름 내는 것 대신에 양념에 버무려 놓은 재료들을 볶다가 육수를 부어 끓이면 걍 끓이는 것 보담 맛

    있다길래 그렇게 했는데 나름 맛있게 잘 먹었네요^^ 참고 하세요~~

  • 7. 저는..
    '12.1.11 4:50 PM (175.118.xxx.145)

    버섯 데쳐서 넣으면 더 맛있더라구요^^

    생으로 바로 넣었더니 버섯냄새가 너무 강해서..본연의 느낌이 안 살아서요...

  • 8. 우리 육개장
    '12.1.11 5:03 PM (121.147.xxx.151)

    우선 고기는 사태와 양지 둘다 쓸 수 있는데
    양지는 맛에서 더 월등하고 사태는 기름이 좀 적습니다.

    1. 고기는 꼭 덩어리로 사오시고 핏물을 1시간 이상 빼주시고 잘 씻은 후 끓이고
    (전날 밤 끓여 놓고 다용도실에 내 놓으면 밤새 생긴 하얀 굳기름 걷어내기만 하면 되요.)

    2. 숙주와 파를 손질합니다( 파를 살때는 흰 부분이 더 많은 파를 사고 흰부분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3. 고기가 푹 익었으면 절반만 덜어 내 찢어 참기름, 약간의 소금, 깨소금 파로 무쳐 따로 그릇에
    담아 놓습니다.

    4 . 절반 남은 고기도 다 찢어 토란대와 참기름에 조물조물 후 국국물에 다시 투하~~

    4. 담백한 육개장이 좋으시면 고추가루 1~2큰술, 얼큰 칼칼한 맛을 즐기시려면 고추가루 넉넉히 투하

    5. 토란대가 어느 정도 부드러워지면 숙주 파도 투하 토란대가 부드러워질때까지 좀 더 끓이고

    6. 집간장과 소금으로 간을 하고 후추가루를 약간 넣어준다.


    좀 더 시원한 육개장을 원하시면 전 날 밤
    북어나 황태 머리와 다시마 새우 멸치 무 양파 표고(있는 것만 넣어도 됩니다)를 넣고
    육수를 우린 후 다음날 한 번 슬쩍 끓이시던지
    아니면 그냥 그 국물만 고깃국물과 합쳐서 만들면
    더 깊은 맛이 나요.
    물론 이땐 고기국물을 끓일때 물을 적게 잡아야겠죠.

    집간장과 소금 두가지로 간을 하는 이유가 깊은 맛을 위한 거라네요.
    전 여기에 멸치젓 다린 걸 약간 넣어 세가지로 간을 하지만~~

  • 9. 우리 육개장
    '12.1.11 5:06 PM (121.147.xxx.151)

    집들이 음식이라 좀 더 돋보이게 하려면
    마지막에 오명으로 지단을 올리고 파송송이도 올리고
    절반 그릇에 찢어 양념에 조물거린 고기도 듬뿍 보기 좋게 올립니다^^

  • 10. 우리 육개장
    '12.1.11 5:06 PM (121.147.xxx.151)

    오타 오명=>고명

  • 11. 내 방식
    '12.1.11 5:28 PM (116.37.xxx.141)

    울 친정이 이게 전문인데요
    제가 본대로 끓이면 다들 ㅊ칭찬......
    레시피랄건 없지만 포인트는
    각종 나물을 따로 무칩니다
    집간장 고춧가루 참기름 마늘다진것 조물조물 무쳐놉니다
    죄다 따로.
    고사리, 토란대, 숙주 대파 공통 사항입니다.
    국물내기 비법중 특이사항은 숙주 만큼은 아니어도 콩나물을 약간 넘어야 국물이 시원ㅐ요
    무 한통 넣으셔야해요. 통으로 ....어느정도 익으면 건져서썰어 넣습니다
    대파는 나중에 넣는데 많이 넣어야 시원합니다
    나물을 참기름과 고춧가루로 무쳤기때문에 나중에 따로 고추기름 만들지 않아도 되구요.
    다른 분처럼 고기도 익으면 건지섬 손으로 쫙쫙 찢어서고춧가루 소금 파 마늘 아주 조금씩 주물러서 따로 준비한다
    국그릇에 담아낼때 고명으로 얹어내요

    제가 친정엄마와 가장 다른것은 엄마하는데로 해도 깊은맛이 덣한건데
    나름 해결책은 참치액젓입니다
    국간장으로 어느정도 간을 하고 액젓을 넣으면 식당처럼 깊은 맛이 납니다
    중요한건, 참치액젓을 넣은후 뚜껑을 열고 김을 날려야 합니다
    그래야 비린맛이 않나요
    참치액젓은 미역국에도 요긴하구요

  • 12. 올리브
    '12.1.11 5:59 PM (116.37.xxx.204)

    고추기름은 판단 잘하세요.
    평소 식구들이 벌겋게 기름 뜬것을 좋아하는지 아닌지를요. 실컷 애쓰고 망칠수 있어요.
    호불호의 문제랍니다.

  • 13. 원글
    '12.1.12 5:09 PM (118.45.xxx.30)

    어머나,전부 다 친정어머니처럼 가르쳐 주셨네요.
    건강하세요.감사합니다.

  • 14. 감사
    '13.6.2 2:08 PM (110.70.xxx.140)

    육개장 비법 저장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856 음식사진 찍는 외국인 블로거 거의 없지 않나요?????? 15 음식사진 블.. 2012/01/12 4,539
58855 단층집 여름에 무지 덥다는데 옥상을 어떻게 해야 덜 더울까요? 11 리모델링 2012/01/12 1,764
58854 [원전] 기사 2개 and 소식 하나 2 참맛 2012/01/12 1,093
58853 도톰하고 부드러운 수건 어디서 사면 될까요? 3 수건체인지 2012/01/12 3,036
58852 시엄마가 진심으로 이뻐해 주시는데 싫으신 분 있나요? 9 으먀 2012/01/12 2,376
58851 부사구와 형용사구좀 판단해 주세요. 7 아리송..... 2012/01/12 1,001
58850 오늘 최고 댓글 - 회개합니다.(공지영 샤넬백 기사) 28 송아지 2012/01/12 4,184
58849 흥국 무배당암플러스보험 전환하라고 전화왔는데... 6 보험 2012/01/12 808
58848 찜갈비 호주산은 코스코가 제일 싼가요? 2 갈비씨 2012/01/12 1,284
58847 중국국제항공 괜찮나요~~?? 3 아이궁금 2012/01/12 1,233
58846 신경치료 끝난 어금니...덮어 씌우기 전인데..아프네요~ 3 .. 2012/01/12 1,805
58845 예비 며늘 생일 선물 8 시월드 2012/01/12 4,602
58844 난 보너스 140 오빤 4500 7 부러워 2012/01/12 3,733
58843 갤럭시s2 정말 잘나가네요. 9 해맑음 2012/01/12 1,657
58842 자꾸 여고시절 생각이 나는 걸 보니 늙었나봐요. 1 충무로박사장.. 2012/01/12 602
58841 룸세븐 책가방 어떤가요? .... 2012/01/12 1,096
58840 다운패딩도 불량이 있나요? 5 속상 2012/01/12 664
58839 박원순 아들 공익 판정한 의사, 병역비리 기소 전력 있다 6 2012/01/12 1,165
58838 설 보너스 받았어요^^ 5 해우 2012/01/12 1,724
58837 토란대 말린거 샀는데 손질법좀 알려주세요 4 속시원히 2012/01/12 11,843
58836 동원 개성 왕만두 드셔보신분 질문이요. 15 답변부탁 2012/01/12 3,390
58835 지하철 타는 방법 좀... (부끄부끄) 14 촌년됬어 2012/01/12 8,535
58834 봉주2회 또 100인분 나갑니다~ 6 나꼼 2012/01/12 955
58833 영작 하나만 도와주세요 1 dud 2012/01/12 404
58832 밥따로 물따로 다이어트 해보신 분! 6 정말 효과?.. 2012/01/12 5,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