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일본인들이 우리나라 쪽에 집을 많이 산다고 하던데...

조회수 : 2,824
작성일 : 2012-01-11 15:03:52
며칠전 방송에서요.
일본 방사능 때문에
불안한 일본인들이 한국 쪽에
거처를 마련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하더라고요.

돈 있는 일본인들 한국에 집 사서
사는거 별다른 제약이 없나봐요?




IP : 112.168.xxx.63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거 진짜에요??
    '12.1.11 3:10 PM (14.52.xxx.59)

    저도 궁금해서 사촌동서(실제로는 팔촌쯤 되나 ㅠ)가 부산에서 부동산하길래 물어봤더니 누가 그러냐고 하더라구요 ㅎㅎ

  • 2. ,,,
    '12.1.11 3:14 PM (110.13.xxx.156)

    그러게요 저 아는분도 해운대 센텀쪽 부동산 하는데
    요즘 일본사람들 부산에 집 많이 사냐 하니 누가 그런 말도 안되는 소리 하냐네요

  • 3. dd
    '12.1.11 3:23 PM (125.177.xxx.135)

    머 한국에 연고가 있는 일본 관련분들이 몇몇 부산에 사긴 했겠죠. 한명 보고나서 전체라고 해석을 해버리니 원...

  • 4. 음..
    '12.1.11 3:30 PM (122.32.xxx.149)

    저도 그런소리 들었는데요. 전 꽤 신빙성있는 분한테 들은거라....헷갈리네요..ㅠㅠ

  • 5. 윌스맘
    '12.1.11 3:31 PM (115.126.xxx.140)

    저도 들었어요. 송도신도시쪽에 많이 산다고..

  • 6. 음...
    '12.1.11 4:48 PM (175.214.xxx.3)

    집을 사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한국으로 좀 들어오긴 하던데요. 여긴 부산이구요...해운대랑은 떨어진 곳인데요, 작년들어 일본인 초등학생 몇 명이나 전학 왔어요. 왜 왔냐고 물어보니 지진 후에 걱정이 되어서 왔다고 하고, 아빠들은 사업 아니면 프리랜서 일인 것 같은데 자세히는 모르겠고... 엄마들은 전업 아니면 일본어 강사 요리 강사 등등 하던데요. 애들이 고학년인데 한국말을 잘 못해서... 지금 많이 늘긴 했지만 고생 많이 했어요.

  • 7. ....
    '12.1.11 4:58 PM (211.44.xxx.175)

    저도 부산 쪽에 많이 산다는 이야기 들었어요.

  • 8. 우리나라에..
    '12.1.11 4:58 PM (218.234.xxx.17)

    우리나라에 집살 정도 일본인이면 그냥 미국이나 하와이에 집 사지 않을까요? 우리나라 좋은 곳에 집 사는 가격이나 하와이 집값이나 같을 듯. (그니까 미국 부촌 말고, 적당한 곳.. 하와이도 부촌 말고 적당히 살기 좋은 곳)

  • 9. ..
    '12.1.11 5:10 PM (221.154.xxx.82) - 삭제된댓글

    헛소문이예요..어쩌다 몇명을 확대한..
    지금 송도 거래 전혀 안되고 있씁니다.무슨 일본인이 와서..
    영주권도 없이 한국에 들어와서 산다구요? ㅋㅋㅋ
    지금 평창이랑 제주도는 돈 몇십억주면 영주권나와요..누가 영주권 받아갔나요?
    그리고 우리나라 물가나 집값이 비싸서 메리트도 없구요..
    만약에 간다면 차라리 중국에 가겠네요..
    일본이나 우리나라나 매한가지인데

  • 10. ......
    '12.1.11 5:19 PM (211.32.xxx.171)

    일본인들 회사퇴직 하고 나서 주로 동남아쪽으로 가서 집사고 노후를 거기서 보내는 경우가 많더군요.
    예전부터 그랬어요.
    지진이야 원래 항상 일어나는거고 원전사고도 지금은 언제 그런일이 있었느냐는듯 분위기가 여기하고는 딴판이에요.
    오히려 여기서 걱정하지.

  • 11. 좀 딴 이야기지만..
    '12.1.11 8:26 PM (61.37.xxx.39)

    지진에 떠는 일본, 소문에도 떠는 한국이라는 책을 본적이 있습니다.
    일본의 지진이나 원전사고 그리고 우리나라국민들과 일본국민들의 기질을 비교해서 쓴 책이에요.
    시간 나시면 한번 보세요. 그냥저냥 읽어볼만 해요.

    그리고 일본에서 지진은 당연하게 생각하는 자연재해의 일종이죠.
    일본인들은 땅이 움직이는게 정상적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런데 과거와는 달리 지금은 지진이 한번 일어나면 그 여파가 연쇄적으로 발생해서 피해가 큰거 같아요.
    옜날에는 원전도 없었고 정유공장도 없었잖아요.
    최근에 일본의 지질학자들과 일본정부는 조만간에 초대형 지진이 일어날거라는 예측을 했더군요.
    그동안 너무 오랬동안 평화가 지속되었다고~

  • 12. ...
    '12.1.11 9:31 PM (116.37.xxx.214)

    한국에 연고가 없는...저랑 안면만 있는 일본분들 몇분이 해운대쪽에 집 사셨어요.
    아이때문에 도쿄로 돌아가기 무섭다고 주재원으로 와있던 일본인 친구도 이번에 집 샀었어요.
    아버지의 오랜 친구분도 원전 사고후에 집 구입하셨고...
    제 주변엔 꽤 있어요.

  • 13. Brigitte
    '12.1.11 10:56 PM (94.218.xxx.72)

    비행기로 1시간 거리인데 얼마나 큰 메리트가 있을까요..한국이나 일본이나...

  • 14. 하와이나 싱가폴
    '12.1.11 11:16 PM (115.161.xxx.209)

    그쪽간다는 얘긴들었어도
    한국이나 일본이나 위험하긴 똑같은데 뭐하러 오겠어요
    일본애들 북한에 우리나라 사람들보다 민감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441 가죽지갑을 세탁했어요ㅠㅠㅠ 1 미미르 2012/01/15 2,769
58440 [펌]후배와 선배 4 충격 2012/01/15 1,089
58439 저처럼 게으른 사람 있나요? 글 없어졌나 봐요--서운.. 1 ........ 2012/01/15 988
58438 전세..머리 아파요.조언 좀 부탁드려요. 6 .. 2012/01/15 1,600
58437 인터넷에서 상시적 선거운동 할수있게 만든 정동영의원 1 미륵 2012/01/15 480
58436 친정엄마도 선물이나 물건에 심드렁한 편인데요 4 ... 2012/01/15 1,295
58435 저도 걱정인형 왔어요 4 오마낫 2012/01/15 1,470
58434 덮어놓고 시비거는 여자는 어찌 생각해야하나요? 5 시비 2012/01/15 2,359
58433 가짜 와인을 먹었는지 술이 안깨요. 3 괜찮은 방법.. 2012/01/15 720
58432 차라리 얻어맞아서 진단서라도 끊을수 있음 좋겠어요 3 ........ 2012/01/15 1,076
58431 암걸리신 친정엄마가 식사를 제대로 못하시고 계신데.. 9 .. 2012/01/15 2,176
58430 겸재 정선 좋아하시는분들~ 2 2012/01/15 664
58429 학교폭력 예방 위해 ‘엄한’ 남교사 늘려야 7 ........ 2012/01/15 1,016
58428 이제 곧 설날 2 씩씩하게 2012/01/15 557
58427 곽노현서울시교육감, 업무복귀할까, 1심판결에 교육계주목 기린 2012/01/15 816
58426 아이패드로 TV도 볼 수 있나요? 3 컴맹구출부탁.. 2012/01/15 1,341
58425 베이지계열 차 가지신 분들께 질문이요! 세차 자주하세요? 차주 2012/01/15 374
58424 "원전이 무한에너지? 우라늄도 30~40년이면 고갈&q.. 2 무서워요. 2012/01/15 647
58423 강북사는게 죄도아니고..노페도 맘대로 못입겠네요 5 ^^ 2012/01/15 2,206
58422 여고생용 다이어리와 귀마개를 사야하는데 도움좀 주세요. 3 Happy .. 2012/01/15 572
58421 [공모전] PAT 아이디어 공모전에 도전 해 보세요! 친환경 2012/01/15 362
58420 미국에 거주하시는 회원님... 4 궁금녀 2012/01/15 1,186
58419 기분나빠요-개인의취향 7 ㅠㅠ 2012/01/15 2,428
58418 부산 병원 추천 부탁드려요.. 3 문의 2012/01/15 1,150
58417 미국에 소포로 간식거리를 보내려고 해요. 3 도와주세요~.. 2012/01/15 1,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