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육개장에 왜 미리 재료를 데쳐서 넣는 거에요?

이런.. 조회수 : 3,466
작성일 : 2012-01-09 22:34:18
육개장을 좋아하는데 키톡 보고 저도 직접 만들어볼까 토란대, 고사리, 숙주 등을 사왔어요. 
그런데 왜 모든 레시피에 미리 데쳐서 간을 해놓으라 하는 거에요?
다른 국은 육수 끓으면 재료들 그냥 넣잖아요. 미리 데쳐놓거나 하지 않고..

사실은..
.
.
.
레시피 무시하고 "어차피 국물에 들어가면 다 똑같아~" 이러고 풍덩풍덩 넣었는데 육개장이 써요. ㅠ.ㅠ 
토란대는 데친 토란대를 사왔고, 고사리도 잘 불려져 있는 거였는데, 
재료를 데치지 않아서 그런 건지, 아니면 고추기름 만들 때 태워서 그런 건지..
암튼 써요..무우까지 넣었는데..ㅠ.ㅠ 

내일 다시 한번 도전해보려구요. 쓴 이유가 미리 데치지 않아서인가요? 
IP : 218.234.xxx.17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침
    '12.1.9 10:35 PM (59.19.xxx.165)

    미리 데쳐서 넣어야 합니다 안그럼 쓴맛이 나요,,,그래야 더 맛있고요,,

  • 2. 토란대가 데친 거였는데..
    '12.1.9 10:37 PM (218.234.xxx.17)

    둘마트에서 데친 토란대를 사온 거였거든요. 그래도 그럴까요?

  • 3. 파..
    '12.1.9 10:42 PM (121.157.xxx.119)

    잎부분 미끈미끈한걸 데쳐서 다 씻어내시더라고요 시엄니는.

  • 4. 클라우디아
    '12.1.9 10:42 PM (112.165.xxx.116)

    전 데치지 않고 했는데, 괜찮았는데요.... 토란대는 건조된거 그냥 물에 담궜다가 팔팔 끓을때 모든 재료 넣었구요... 데치지 않아서 썬것은 아닌것 같아요.

  • 5. 허억...
    '12.1.9 10:42 PM (218.234.xxx.17)

    역시 토란대가 문제였군요. ㅠ.ㅠ 전 데친 토란대라 괜찮은 줄 알았더니..

    답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 6. 육개장메니아
    '12.1.9 10:46 PM (14.32.xxx.77)

    사람들과 똑같이 얘네들도 개성이 강한것 보다는
    한번씩 데쳐서 맛을 순하게 해준뒤에
    넣어야 조화로워집니다. 간만 잘하고 원래가 맛난고기
    를 넣고 어느정도 푸욱 끓여주면 맛나지요.
    싱거운것보다는 간이 제대로 되있으면 씹히면서 더욱 맛나요.
    데쳐서 하면 고사리는 더욱 부드럽고
    토란대는 그댈 넣음 먹으면서 목 아린걸
    느껴야 하는 경우도 생기구요. 파는 그냥 넣어도 되구요.

  • 7. 에휴..
    '12.1.9 10:49 PM (218.234.xxx.17)

    정석대로 내일 다시 한번 도전해볼께요~
    늦은 밤에 답글 달아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행복한 꿈 꾸세요~

  • 8. 마음이
    '12.1.10 7:35 AM (222.233.xxx.161)

    안 데치고 하면 시간오래 걸려서 별로더라구요

  • 9. ...
    '12.1.10 8:18 AM (220.120.xxx.92)

    저도 육개장 좋아해서, 육개장만은 밖에서 안사먹고 늘 제 입에 맞게 만들어 먹는데요..
    데쳐서 양념하면 양념이 채소에 잘 스며들어서라고 알고 있어요. 특히 뜨거울때 양념하면 더...
    파는 안에 끈적끈적한 진을 제거하고 넣으면 국물이 더 깔끔해지구요..
    여름엔 파에 진이 많아서 더 힘들다 했어요.
    파를 길게 자른 다음, 한쪽만 칼집을 넣어 평평하게 도마에 펼치세요.
    그리고 칼로 쓸듯이 진을 제거한 후 적당한 크기로 잘라 물로 헹궈서 국에 넣으면 그리 힘들지 않아요..

  • 10. 제발
    '12.1.10 2:35 PM (203.233.xxx.130)

    데친다는 것은 과도하고 머금고 있는 수분을 뺌과 동시에 (수분이 빠지니까 데치고 나면 적당히 흐물흐물해집니다) 과 날것일때 가지고 있는 지나치게 강한맛 (쓴맛, 풋내.) 을 빼내는 과정입니다.
    이는 거꾸로 하면 데치지 않고 바로 국에 넣으면 국물에 재료의 수분이 다 녹아나와서 국물맛이 밍밍해지고 날것이 가지고 있는 재료의 불필요한 강한맛이 국속으로 다 녹아들게 된다는겁니다. 이게 데쳐넣는 이유입니다. 제 경험상으로는 데치는것으론 부족하더라구요. 숙주만 데쳐서 넣고 고사리, 토란대는 데친것을 사서 따로따로 밑간을 해서 잘 볶아주고 대파도 한번 살짝 굽듯이 볶아준 후 넣으니까 맛이 겉돌지 않고 장례식장에서 먹는것처럼 (ㅎㅎ) 입에 붙는 육개장이 되더라구요.

  • 11. 제발
    '12.1.10 2:40 PM (203.233.xxx.130)

    저는 그래서 명절이나 제사뒤에 삼색나물중 고사리 무침은 바로 냉동실에 얼려버려요. 이미 데쳐서 볶은거라 육개장할때 얼린채로 바로 넣어버리면 편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502 오늘만 같아라 가족관계도 아시는분~ 7 daisy 2012/01/13 1,124
59501 백김치 변색과 쓴 맛은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요? 김치 2012/01/13 1,293
59500 뱀꿈 해몽좀 해주세요 7 이상한꿈 2012/01/13 2,481
59499 지방간에 녹즙이 좋을까요? 11 지방간 2012/01/13 5,609
59498 어릴때 먹었던 잊지 못하는 외국과자 이름을 찾고 싶어요 12 ........ 2012/01/13 2,753
59497 성장탕 먹이고 싶은데 한의원 소개 부탁드려요~ (강남,서초) 2 처음처럼.... 2012/01/13 1,268
59496 봉도사 면회하고온 주진우기자트윗!! 3 ㅋㅋ 2012/01/13 2,682
59495 초등영어학원보내시나요. 7 .. 2012/01/13 4,894
59494 생협도 검색하니 여러군데던데 어디서 사야해요??? 2 생협어디 2012/01/13 904
59493 TV특강 좀 찾아주세요.. 82분들,,, 2 아보카도 2012/01/13 686
59492 회 몇킬로 뜨면 좋을까요? 3 어른 여섯명.. 2012/01/13 1,051
59491 자신을 사랑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4 dd 2012/01/13 2,069
59490 동물 보호소에 안 쓰는 이불 보내는 방법 아시는 분 5 ... 2012/01/13 1,801
59489 부끄러운 넋두리... 5 2012/01/13 2,301
59488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권 비교 3 사랑이여 2012/01/13 966
59487 저 취향이 독특한가봐요~내시가 제일 좋아요 ㅡㅡ;; 7 해품달 이야.. 2012/01/13 1,738
59486 주민등록증대신 운전면허증도 5 외국여행시 2012/01/13 1,378
59485 생일이 어색한 사람.... 2 나무 2012/01/13 1,331
59484 영어 질문... 2 rrr 2012/01/13 738
59483 남편 식구들 어이없고 기가 2 막히네요 2012/01/13 2,511
59482 강아지를 어느 정도로 혼내야 할까요? 20 2012/01/13 4,368
59481 부천에 있는 맛있는 부페 11 초이스 2012/01/13 2,471
59480 대성 기숙학원중에 가장 전통있고 본원직영은 어디인가요? 2 급함 2012/01/13 1,565
59479 여동생이 결혼하는데, 축의금으로 얼마가 적절할까요? 3 해피트리 2012/01/13 1,805
59478 홍콩,대만,싱가폴등 아시아 비슷한 다른나라들도 불황,취업대란인가.. ... 2012/01/13 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