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육개장에 왜 미리 재료를 데쳐서 넣는 거에요?

이런.. 조회수 : 3,759
작성일 : 2012-01-09 22:34:18
육개장을 좋아하는데 키톡 보고 저도 직접 만들어볼까 토란대, 고사리, 숙주 등을 사왔어요. 
그런데 왜 모든 레시피에 미리 데쳐서 간을 해놓으라 하는 거에요?
다른 국은 육수 끓으면 재료들 그냥 넣잖아요. 미리 데쳐놓거나 하지 않고..

사실은..
.
.
.
레시피 무시하고 "어차피 국물에 들어가면 다 똑같아~" 이러고 풍덩풍덩 넣었는데 육개장이 써요. ㅠ.ㅠ 
토란대는 데친 토란대를 사왔고, 고사리도 잘 불려져 있는 거였는데, 
재료를 데치지 않아서 그런 건지, 아니면 고추기름 만들 때 태워서 그런 건지..
암튼 써요..무우까지 넣었는데..ㅠ.ㅠ 

내일 다시 한번 도전해보려구요. 쓴 이유가 미리 데치지 않아서인가요? 
IP : 218.234.xxx.17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침
    '12.1.9 10:35 PM (59.19.xxx.165)

    미리 데쳐서 넣어야 합니다 안그럼 쓴맛이 나요,,,그래야 더 맛있고요,,

  • 2. 토란대가 데친 거였는데..
    '12.1.9 10:37 PM (218.234.xxx.17)

    둘마트에서 데친 토란대를 사온 거였거든요. 그래도 그럴까요?

  • 3. 파..
    '12.1.9 10:42 PM (121.157.xxx.119)

    잎부분 미끈미끈한걸 데쳐서 다 씻어내시더라고요 시엄니는.

  • 4. 클라우디아
    '12.1.9 10:42 PM (112.165.xxx.116)

    전 데치지 않고 했는데, 괜찮았는데요.... 토란대는 건조된거 그냥 물에 담궜다가 팔팔 끓을때 모든 재료 넣었구요... 데치지 않아서 썬것은 아닌것 같아요.

  • 5. 허억...
    '12.1.9 10:42 PM (218.234.xxx.17)

    역시 토란대가 문제였군요. ㅠ.ㅠ 전 데친 토란대라 괜찮은 줄 알았더니..

    답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 6. 육개장메니아
    '12.1.9 10:46 PM (14.32.xxx.77)

    사람들과 똑같이 얘네들도 개성이 강한것 보다는
    한번씩 데쳐서 맛을 순하게 해준뒤에
    넣어야 조화로워집니다. 간만 잘하고 원래가 맛난고기
    를 넣고 어느정도 푸욱 끓여주면 맛나지요.
    싱거운것보다는 간이 제대로 되있으면 씹히면서 더욱 맛나요.
    데쳐서 하면 고사리는 더욱 부드럽고
    토란대는 그댈 넣음 먹으면서 목 아린걸
    느껴야 하는 경우도 생기구요. 파는 그냥 넣어도 되구요.

  • 7. 에휴..
    '12.1.9 10:49 PM (218.234.xxx.17)

    정석대로 내일 다시 한번 도전해볼께요~
    늦은 밤에 답글 달아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행복한 꿈 꾸세요~

  • 8. 마음이
    '12.1.10 7:35 AM (222.233.xxx.161)

    안 데치고 하면 시간오래 걸려서 별로더라구요

  • 9. ...
    '12.1.10 8:18 AM (220.120.xxx.92)

    저도 육개장 좋아해서, 육개장만은 밖에서 안사먹고 늘 제 입에 맞게 만들어 먹는데요..
    데쳐서 양념하면 양념이 채소에 잘 스며들어서라고 알고 있어요. 특히 뜨거울때 양념하면 더...
    파는 안에 끈적끈적한 진을 제거하고 넣으면 국물이 더 깔끔해지구요..
    여름엔 파에 진이 많아서 더 힘들다 했어요.
    파를 길게 자른 다음, 한쪽만 칼집을 넣어 평평하게 도마에 펼치세요.
    그리고 칼로 쓸듯이 진을 제거한 후 적당한 크기로 잘라 물로 헹궈서 국에 넣으면 그리 힘들지 않아요..

  • 10. 제발
    '12.1.10 2:35 PM (203.233.xxx.130)

    데친다는 것은 과도하고 머금고 있는 수분을 뺌과 동시에 (수분이 빠지니까 데치고 나면 적당히 흐물흐물해집니다) 과 날것일때 가지고 있는 지나치게 강한맛 (쓴맛, 풋내.) 을 빼내는 과정입니다.
    이는 거꾸로 하면 데치지 않고 바로 국에 넣으면 국물에 재료의 수분이 다 녹아나와서 국물맛이 밍밍해지고 날것이 가지고 있는 재료의 불필요한 강한맛이 국속으로 다 녹아들게 된다는겁니다. 이게 데쳐넣는 이유입니다. 제 경험상으로는 데치는것으론 부족하더라구요. 숙주만 데쳐서 넣고 고사리, 토란대는 데친것을 사서 따로따로 밑간을 해서 잘 볶아주고 대파도 한번 살짝 굽듯이 볶아준 후 넣으니까 맛이 겉돌지 않고 장례식장에서 먹는것처럼 (ㅎㅎ) 입에 붙는 육개장이 되더라구요.

  • 11. 제발
    '12.1.10 2:40 PM (203.233.xxx.130)

    저는 그래서 명절이나 제사뒤에 삼색나물중 고사리 무침은 바로 냉동실에 얼려버려요. 이미 데쳐서 볶은거라 육개장할때 얼린채로 바로 넣어버리면 편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6782 안타까움 ㅜㅜ20대에 정치에 관심없는 애들 굉장히 많습니다. 14 20대 2012/04/12 2,297
96781 어떤 선거때보다 더 1 대구출신 나.. 2012/04/12 636
96780 (급)폴리에스테르,레이온 섞인 남방세탁법 1 @@ 2012/04/12 1,195
96779 여성과 남성 엄청난 수학실력의 차이는? 2 .. 2012/04/12 1,121
96778 앞에 jk글 중 일부 격하게 동감해요 18 ㅈㅈㅈ 2012/04/12 2,884
96777 아.............. 2 힘냅씨다 2012/04/12 642
96776 정치따위에 관심없던 예전으로 돌아가기 14 다시시작 2012/04/12 1,433
96775 여의도 벚꽃 언제 만개하나요? 2 2012/04/12 1,026
96774 정신 차려야 되는데ᆢ 6 정말 2012/04/12 722
96773 b형 독감 얼마나 가던가요?-조언절실 9 6학년 아이.. 2012/04/12 2,332
96772 새누리, 과반 넘긴 1당…서울은 여전히 한계 外 (스압) 7 세우실 2012/04/12 1,950
96771 [사진]故 노 전 대통령 묘역 만지는 문재인-민홍철ㅠ 9 ... 2012/04/12 3,000
96770 대구사람들.. 4 그치만! 2012/04/12 1,100
96769 美 한인 여변호사가 불륜남편 살해하고 자살 4 zzz 2012/04/12 3,431
96768 전여옥.정옥임.송영선.홍준표는 안봐도 되는거죠? 10 .. 2012/04/12 1,422
96767 선생님이 아이 핸드폰 압수한지 2주째 12 이와중에 2012/04/12 2,359
96766 투표에 부정선거에 멘붕왔는데 가게에 SBS방송국에서 촬영온다는 .. 3 망탱이쥔장 2012/04/12 1,079
96765 펌) 소득별 정당 지지율 4 ... 2012/04/12 1,453
96764 기분들 푸시고...... 박근혜의 한계를 보아서 기쁘게 생각합니.. 19 ........ 2012/04/12 2,329
96763 민주당이 왜 무능한가요..?? 5 왜? 2012/04/12 930
96762 민주당은 왜이리 무능할까? 13 ㅠ.ㅠ 2012/04/12 1,475
96761 속상해서요 3 힘냅씨다 2012/04/12 571
96760 [퍼옴] 가난한 사람들은 왜 부자를 위해 투표하나 9 멘탈붕괴중 2012/04/12 1,954
96759 무한도전 폐지될건가봐요 21 퍼옴 2012/04/12 13,717
96758 문대성 3 .. 2012/04/12 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