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멸치 다시마 육수를 낼때요

해피트리 조회수 : 9,662
작성일 : 2012-01-06 15:10:57

모든 요리책, 또는 요리프로그램 보면

육수내기전 멸치 내장 머리 떼어내서 손질하고,

국물 끓으면 다시마 건지라고 하쟎아요.


저도 처음에 항상 저렇게 육수를 내다가,

요즘에는  다시마를 그냥 멸치와 함께

끝까지 끓이는데 특별히 국물이

다시마즙으로 끈적해지는 느낌 전혀 없고, 

국물이 맛있기만 합니다.

(물론 육수물 다 우리면, 멸치와 함께 다시마 건지고요)


멸치 역시 내장과 머리 떼어내라고 하는데

내장만 떼고 머리는 그냥 같이 두고 끓이는데

이거 역시 맛의 차이를 모르겠고요.  

 

저만 미각이 둔감한 건가요?  

다른분들은 맛이 차이가 느껴지세요?

너무 당연시 여기는 사실이 꼭 맞는것이

아니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IP : 182.212.xxx.61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6 3:14 PM (59.15.xxx.184)

    저도 그냥 씁니다
    근데 물 양에 다시마가 과할 땐 끈적거려요
    멸치도 괜찮은 거 쓰면 쓰거나 비린 맛 덜하고 좀더 진해요
    어떨 땐 머리만 모아 육수 내기도 해요
    주재료에 따라 육수가 그 맛을 덮을 때도 있고 상관없을 때도 있어 그때그때 봐서 합니다 ^^

  • 2. 멸치는
    '12.1.6 3:14 PM (119.203.xxx.138)

    내장만 빼고 머리는 넣어야 국물이 맛있어요.
    어두육미 ^^.
    다시마는 건져내지 않고 계속 나두면
    다시마 자체가 끈적끈적 해지더라구요.

  • 3. ㅇㅇ
    '12.1.6 3:16 PM (119.192.xxx.98)

    멸치는 대가리 안떼고 내장(멸치똥)만 떼는것 아닌가요.
    다시마는 오래 끓이면 끈적한 물질이 우러나서 너무 끓이지 말고 건져내라는것 같은데.
    요리프로그램은 좀 다시마를 아까울만큼 안 우려내더라구요. (아깝게시리)
    암튼 뭐 자기 입에 맛있으면 장땡이죠

  • 4.
    '12.1.6 3:19 PM (175.214.xxx.124)

    다시마를 오래 끓이면 끈적끈적한 거품이 위로 떠오르긴 하더라구요. 맛에 큰 차이가 있다기 보다...
    그런데 원래 다시마는 끓는 물에 우리는 것보다, 쓰기 하루 전에 찬물에 넣고 천천히 우려야 담백하고 맛있다고 하긴 하더군요. 제 일본인 친구가 나라에서 나름 유서깊은 료칸을 하는데 그 친구가 그러더라구요.

  • 5. 참맛
    '12.1.6 3:19 PM (121.151.xxx.203)

    진작 올리시지, 멸치 한포, 머리 다 떼놓았는데..... 도로 붙일 수도 없고...

  • 6. .....
    '12.1.6 3:33 PM (121.138.xxx.42)

    저도 내장만 떼고 다시마와 멸치를 찬물에 넣고 낮은 불로 오래 끓입니다.
    맛이 좋은데요. 다시마 따로 넣고 또 뺴고..귀찮아서 그냥 한꺼번에.
    그래도 맛 좋던데요..

    바로 위, 참맛님.
    따로 떨어진 머리 넣으시면 되잖아요..
    저도 내장 떼다 보면 머리 따로 떨어져요.

  • 7. sd
    '12.1.6 3:34 PM (59.1.xxx.81)

    저도 다 넣고 끓여요
    다만, 육수 내기 전에 빈 냄비를 불에 달구면서 냉동보관한 멸치를 넣고 기름없이 볶아서 비린내를 날려줘요
    살짝 갈색이 나게 고소한 냄새가 나도록 볶은 후에 물을 붓고 다시마 넣고 끓여요
    다시마도 나중까지 뒀다가 다 먹어요

  • 8. ...
    '12.1.6 3:38 PM (210.178.xxx.200)

    멸치 내장 빼서 기름없이 팬에 볶아서 뜨거운 김 빠진 후 락앤락에 담아서 냉동실 보관해서 필요한만큼만 빼서 사용하고 있어요

  • 9. apfhd
    '12.1.6 3:42 PM (211.176.xxx.232)

    멸치 다듬어서 오븐에서 말리면 바삭하게 잘 말라요. 팬에 볶으면 가루가 너무 떨어지고 번거로워서

  • 10. 멸치머리와 내장에서
    '12.1.6 4:06 PM (182.210.xxx.51)

    중금속 나온다 그래서 전 다 빼고 사용하구요 다시마는 오래 끓이면 영양가를 도로 다시마가 흡수한다 그래서 조금 끓이고 꺼내서 잘게 잘라서 반찬으로 해먹어요

  • 11. ...
    '12.1.6 4:14 PM (218.38.xxx.14)

    멸치 손질해놓고 쓸때마다 전자렌지 20~30초 돌려서 해요.. 괜춘하네요~

  • 12. 요리
    '12.1.6 7:57 PM (123.248.xxx.70)

    다시마는 10-15분 정도면 다시가 나올만큼 다
    나온 거라고 합니다 그리고 절대 100도씨 넘어 부글부글 끊이면 안좋구요. 다시마 내부의 불순물과 잡내도 다 나오거든요. 끓지 않게 15분 정도 끓이다 손톱으로 눌러 콕 들어가면 건져 냅니다. 일본요리학교에서 배우는 다시마 우려내는 기본방법입니다.

  • 13. 요리
    '12.1.6 8:02 PM (123.248.xxx.70)

    다시마는 원래 다시마 하나의 맛보다는 멸치나 가츠오부시 등과 결합되어 상승효과는 내는 데 의의를 두는 거 같아요.

    그리고 일본에서는 보통 맑고 깨끗한 국물을 낼 때나 조림, 소스 등에 사용하는 기본 다시로 쓰는 1번다시는 저 방법을 이용하고 전골이나 불투명한탕은 부글부글 같이 끓이기도 하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6562 흑인들은 4 평소궁금했던.. 2012/02/27 2,228
76561 <시사IN> 추가폭로 “나경원 또 호화 피부숍 출입”.. 11 다크하프 2012/02/27 2,259
76560 부산사시는분들 대저짭짤이 어디가 정확한가요? 7 메니아 2012/02/27 1,723
76559 청첩장 만들때 제가 장녀라고 적나요? 8 봄신부 2012/02/27 4,358
76558 ‘콘크리트 어항’ 청계천 잘못된 복원 손질한다 7 세우실 2012/02/27 979
76557 남자아이가 소변을 너무 자주 보는데 어떤병원을.. 4 남아엄마 2012/02/27 5,530
76556 도미노 슈퍼슈프림피자 맛있나요?? 7 ... 2012/02/27 2,308
76555 마음 다스리는 책 추천해주세요 3 도서 2012/02/27 1,287
76554 미쿡 랴도 듣는데 한쿡 국민들 정말 웃기고 황당함.. 33 jk 2012/02/27 4,490
76553 (우문) 15년된 신도시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가을바람 2012/02/27 1,019
76552 아이들 컴퓨터나 TV어느정도 허용해주세요? 중독 2012/02/27 519
76551 동대문시장에 보세 옷 사려면 어디로 가야하나요?(급질) 8 2012/02/27 2,527
76550 개콘도 좋지만 1 하오챠오 2012/02/27 713
76549 위축성 위염에 어떤 음식이 좋을까요? 2 ^^ 2012/02/27 8,610
76548 생일선물..200만원 카드쓰기 5 생일.. 2012/02/27 1,927
76547 책을 왜 읽으시나요? 32 여러분은 2012/02/27 3,524
76546 혹시 방송관계자분들 안계십니까? 4 dddd 2012/02/27 1,312
76545 아이 쇼파좀 골라주세요~ 뽀연 2012/02/27 729
76544 어른들 나이 들면서, 본위위주로 생각하게 되나요? 2 엄마TT 2012/02/27 1,040
76543 복합기 좀 추천해주세요 4 요랑 2012/02/27 924
76542 독일 베를린 사시는 분 계신가요? ... 2012/02/27 674
76541 장농면허 도로연수 받아야 되는데... 2 겁쟁이 2012/02/27 1,588
76540 분당인데 운전연수 도와주실 선생님 소개해주세요 3 20년된장롱.. 2012/02/27 937
76539 일본산 카레나 소스류 좋아하시던 분 계시죠? 7 이런 2012/02/27 1,749
76538 저희 아이 심심해서 책을 읽는걸까요? 11 외동아이 2012/02/27 1,850